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100원의 가치와 연재의 무거움

작성자
Lv.85 고락JS
작성
17.12.29 02:13
조회
565


예전에는 어딘가 연재를 한다는 것은 참 큰 의미가 있는 일이었죠.

그 작품이 어디 스포츠지에 기고가 됐건, 작품의 질이 어쨌건, 순수문학에 가깝건,

대중문학에 가깝건, 적어도 대중적으로 어느 정도 인정을 받는 작가란 의미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오늘날에는 연재란 의미를 흔히 인터넷에 유료로 글을 올리는 행위로 받아들입니다.

(물론 무료연재도 있습니다만,)


이걸 작가의 관점에서 보면 내가 올린 글의 횟수만큼, 일정지분을 받아낼 수 있는 유료연재는 과거 대여점 전성시절에 여러 대여점들에 많이 팔리는 게 중요했지, 잘해야 한 대여점에 두 권 정도 팔리는, 그래서 대여점에서 대여하는 횟수에는 전혀 관여할 수 없는 시절에 비해서는 금전적으로 이득인 것은 분명합니다.


독자 입장에서는 분명 편리한 부분도 있지만, 책에 비해서 부족한 부분도 있겠죠.


단 확실한 것은 평가의 기준이 권에서 회로 바뀌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글을 보여주는 방식이 바뀌었으니, 당연한 이야기죠.


이건 다시 작가의 입장에서 보면 무겁고, 어려운 이야기죠.


과거 권으로 평가받던 시절에는 그 안에 잠시 숨을 돌리는 내용도 허용이 됐습니다.

그 부분이 필요가 정말 있었던, 불필요했던,

작가 입장에서는 한 권이란 분량 안에 편집자의 독촉을 받는 와중에 글을 쓰는 본인도 숨을 고르는 과정을 적당히 집어넣을 수가 있었죠.

(그러다 권 전체가 무슨 내용이 없냐?는 비난을 받는 경우도 물론 있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회당 돈을 내야하는 시스템에서는 그런 여유가 허용되질 않죠.

~했습니다. 로 한두 줄, 서너 줄 요약으로 끝낼 수 있는 분량으로 1회 분을 이끌어가면

댓글에는 당연하게도 비판적인 글들이 올라옵니다.


근데 이건 독자분들을 탓할 수도 없습니다.

권당 보는 시스템에서는 적당히 늘어진, 혹은 여유 잡는 부분은 적당히 스킵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가 책을 볼 때 종종 쓰는 기술.)

회당 보는 시스템에서 기껏 기대하고 클릭한 한 회 분량 전체를 스킵하라는 것은 너무한 요구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전 100원의 무게가 참 무거워보입니다.

대여점 시스템에서는 작가가 자신이 쓴 글이 출판사에서 책이 되어 그게 총판을 거쳐 대여점으로 들어가서 그 일정부분이 다시 자신에게 돌아오는 과정을 피드백하기가 어렵습니다. 좀 막연한 감이 있죠.


하지만 유료연재에서는 독자의 클릭이 100원이란 가치로 바로 몸으로 와닿습니다.

(실제 작가가 얻는 수입은 그보다는 당연히 작습니다만.)

그리고 동시에 비판도 몸으로 바로 와닿죠.


(이건 그냥 제가 즐겨보던 글을 보면서 느꼈던 감정들이 여지없이 댓글에 주르륵 올라온 것을 보면서 떠오른 생각들을 적어봤습니다.)




Comment ' 1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7.12.29 16:57
    No. 1

    지금 나오는 편당 결제를 세편씩 합쳐서 300원씩 결제를 시키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에요.

    편당결제가 나온 이후. 한편에 기승전결을 모두 담는 추세로 가서, 독자에게는 여유가 없고, 작가는 빡빡한 글자내에서 어떻게든 안간힘을 쓰게 되어 있어서 제한이 너무 크다고 봅니다.

    너무 작은 이야기가 연결되는 것으로 이어져가고 있으니, 작품의 질이 오히려 떨어지는게 아닐가 우려스럽습니다.

    또한 일본의 소설가가 되자 처럼. 책으로 출판물이 나오게 되면, 스토리를 분리시켜서, 웹 연재분과 책내용이 서로 다르면 어떨까 싶더군요.

    그렇지만 역시 제가 생각한다고 해서 바뀌지는 않겠죠.

    찬성: 1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7334 조아라 작품 왜 수정해서 들어오는거죠? +2 Lv.69 연재성 17.12.29 539
237333 무협볼때마다 의문이 드는게.. +18 Lv.49 악휘S 17.12.29 710
237332 축구 소설보다 야구 소설이 났네요. +4 Lv.98 경천 17.12.29 725
237331 연참대전 참가 버튼은 아직 생기지 않은 거죠? +4 Lv.31 JHK서랍 17.12.29 506
237330 작가는 독자 차단이 일방적으로 가능한데 독자는 왜 작가... +7 Lv.38 아재학살자 17.12.29 1,053
» 100원의 가치와 연재의 무거움 +1 Lv.85 고락JS 17.12.29 566
237328 조아라&문피아 콜라보 이벤트 왜 이런 거죠? +21 Lv.49 미르네 17.12.28 791
237327 운치 있는 일 +8 Lv.35 일민2 17.12.28 523
237326 연재예약이 잘 안되는 느낌입니다. +4 Lv.52 라토르 17.12.28 652
237325 존중에서 불신. +13 Lv.52 사마택 17.12.28 638
237324 친구초대 이벤트 베너 위치.. +3 Lv.85 천지패황 17.12.28 410
237323 선호작.. +9 Lv.67 신기淚 17.12.28 683
237322 황당하네요. +32 Lv.70 쪼사장 17.12.28 1,004
237321 욕설과 눈물은 필살기로 남겨두는 것이 좋네요. +7 Lv.1 [탈퇴계정] 17.12.28 669
237320 바이올렛 에버가든, +4 Lv.69 고지라가 17.12.28 547
237319 주변환경 묘사의 기본은 생략이다. +11 Lv.60 카힌 17.12.28 711
237318 팀 승리가 먼저! 바뀌어가는 1번 트렌드 +6 Personacon 윈드윙 17.12.28 508
237317 문피아에 연재하는 소설에 욕설 수위에 대해 질문드려요. +6 Lv.31 JHK서랍 17.12.28 628
237316 사이트별 아이디 비번 만드는 비법 +8 Lv.60 카힌 17.12.27 527
237315 찌질잔액기부 이벤트. +4 Lv.77 난감 17.12.27 509
237314 제목 골라주세요오! +39 Lv.1 [탈퇴계정] 17.12.27 609
237313 문피아는 알뜰폰은 소비자로 보지도 않나? +6 Lv.37 scoped 17.12.27 675
237312 판타지에서 '빙의'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15 Lv.35 벽운碧雲 17.12.27 583
237311 폴아웃4 VR버전의 의미 +3 Lv.60 카힌 17.12.27 540
237310 제목 아시는 분 +3 Lv.99 범패 17.12.27 462
237309 총 7만자 17화를 연재했습니다. +15 Lv.22 우주수 17.12.27 891
237308 불필요하지만 끌리는 것 +28 Personacon 적안왕 17.12.27 794
237307 정치질 하는 사람 싫어요 ㅜㅜ +6 Lv.69 고지라가 17.12.27 569
237306 이해하지 못하는 것 +5 Personacon 적안왕 17.12.27 596
237305 소설 제목을 추천해주세요! +23 Lv.1 [탈퇴계정] 17.12.27 634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