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55 짱구반바지
작성
17.06.07 12:02
조회
969
한국인의 91%는 근거없는 추론을 한다고 대답했다고 하더라고요.


당장 저만 봐도 그렇더군요.

사드 배치 관련하여 육군 중장이 입을 다무는걸 보고

"뭔가 지키고 싶어서 다무는 게 확실해!" 라고 생각했습니다.


이 생각이 "지키고 싶어서 입을 닫는게 아닐까?"가 아니라 "확실해!" 라고 가는 것 자체가 근거없는 추론이죠.


아닐까? 라고 한다면 여지를 두고 다른 가능성을 받아들이는 것이지만 확실해! 라는 스탠스는 좀 위험하죠.


그 기사를 본 뒤로 최대한 추측을 하지 않으려 하고 하더라도 아닐까? 하는 식으로 바꾸려 하는데 그렇게 되니 뭔가 아님 말고식으로 변하더라고요.


어쨌드 모두 도움안되는 바보같은 스탠스임에는 여지가 없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추측을 하더라도 내가 생각한게 정답일까? 끊임없이 비판하게 되었고 그렇게 되자 결국 스스로가 아닌 어떤 정보를 얻기 위해 노력하게 되었는데요.


이 정보들이 뉴스 및 책인데 가짜정보들이 판을 쳐서... 결국 가짜 지식들이 가득해 지더군요.


가짜뉴스를 거르는 힘을 기르는게 진짜 목표가 되었습니다.


사실 2012 대선 때 박근혜 관련 기사 중 이게 기억납니다.


박정희가 디졌다는 소릴 들은 박근혜의 첫마디가 "전방은 어떻습니까?" 였답니다. 이걸 보고 국방에 힘을 쏟나보다 싶어서 지지했었는데 그녀는 그런 말을 할만한 뇌가 없죠. 결국 가짜뉴스였는데 저는 거기에 당했던 거죠.


휴우...투표를 잘못해서 죄송합니다.


Comment ' 10

  • 작성자
    Lv.55 짱구반바지
    작성일
    17.06.07 12:05
    No. 1

    http://www.hankookilbo.com/m/v/fda33689f1e0466192f89f64df7367cd

    찬성: 0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55 짱구반바지
    작성일
    17.06.07 12:05
    No. 2

    관련 기사를 찾았습니다.

    찬성: 0 | 반대: 2

  • 작성자
    Lv.71 타타르
    작성일
    17.06.07 12:09
    No. 3

    그게 개별적 사안에 대해선가요. 인생 전체를 통들어 생각해보라고 한 뒤 나온 조사결관가요? 인생 통들어 비합리적 생각 안 해본적이 있으려나 ㅠ

    찬성: 3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5 짱구반바지
    작성일
    17.06.07 12:47
    No. 4

    모르겠습니다. 근데 비논리적 생각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걸 확신하는 게 잘못된거죠. 저는 비논리적 생각에서 멈추지 않고 확신을 합니다. 늘 그렇죠. 그래서 고치려고 노력중인데 어렵네요.

    찬성: 0 | 반대: 4

  • 작성자
    Lv.35 일민2
    작성일
    17.06.07 13:34
    No. 5

    예전부터 글을 읽을 때는 행간을 읽고,
    이야기를 들었을 때는 가장 상식적인 사항에서 이해하라고 들었습니다.

    소설도 아니면서,
    비 논리적인 혹은 비 상식적인 신문기사들을 많이 봅니다.

    에를 들면, 순간 포착 영상이 전부인 양 하는 것.
    전이 어떻고 후가 어떠하며,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등은 빼 먹고서는
    자신의 느낌이 진실인 양.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7.06.07 14:33
    No. 6

    박근혜가 다시온다해도 저는 박근혜 뽑습니다. 문재인뽑을바에야

    찬성: 5 | 반대: 15

  • 작성자
    Lv.68 장과장02
    작성일
    17.06.07 15:27
    No. 7

    이성적인 판단과 감정적인 판단을 구분하기란 어렵습니다. 자기가 믿고 싶은 걸 사실이라고 스스로 믿어버리는 건 어리석은 짓이고, 사실이 아닌 걸 알면서도 사실이라 말하는 건 추한 짓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5 흔들릴때한잔
    작성일
    17.06.07 15:33
    No. 8
  • 작성자
    Lv.47 내일은
    작성일
    17.06.07 17:36
    No. 9

    한국인만 그런건 아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2 pascal
    작성일
    17.06.07 21:05
    No. 10

    그걸 보고 박근혜를 뽑았을 분이면 다른걸 보았어도 박근혜를 뽑았을거에요.걱정마세요. 당한게 아니에요. 님은 그 기사를 본 게 아니라. 그 기사가 필요했던 것뿐이에요. 걱정ㄴㄴ

    찬성: 1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5020 오늘 NBA 보다가 속이 뒤집어지더군요 Lv.55 짱구반바지 17.06.08 838
235019 추억의 마이클잭슨, 처음 문워크가 세상에 공개 된 날 +3 Lv.60 카힌 17.06.08 996
235018 sf우주배경 헌터소설 찾습니다. +3 Lv.49 wei 17.06.08 831
235017 FA 이정현, KCC 명품 2번 계보 이을까? +2 Personacon 윈드윙 17.06.08 829
235016 고대로마 vs 후한 +8 Lv.59 파워드 17.06.08 1,072
235015 내 선호작품 다시 보기 +2 Lv.84 엘림 17.06.08 770
235014 소설이 인기없을까 두렵네요 +2 Lv.40 여우란 17.06.08 957
235013 다른 작가님들은 글을 1편 쓰는데 얼마정도 걸리시나요? +11 Lv.40 스플렌더 17.06.07 1,020
235012 밤마다 즐기는 특이한 야식!! +16 Lv.34 고룡생 17.06.07 945
235011 벌써 3개월째 무단연중인데... +6 Lv.52 사마택 17.06.07 1,162
235010 요즘 스포츠물은 천편일률적이네요 +9 Lv.69 tosla 17.06.07 1,009
235009 의사 소설 있나요? +2 Lv.61 소요권법 17.06.07 792
» 지난번에 어떤 기사를 봤는데요. +10 Lv.55 짱구반바지 17.06.07 970
235007 요즘도 단군신화를 가르치는지 궁금하군요 +34 Lv.60 카힌 17.06.07 1,148
235006 작품의 새 글을 올리면..... +5 Lv.17 개망초 17.06.07 1,041
235005 안타까운 주도산, 옆으로도 빠져라 Personacon 윈드윙 17.06.07 724
235004 안내자(가이드)가 많이 번다고 하네요. +13 Lv.4 남성학 17.06.06 1,178
235003 유료전환 직후 연재의 안타까움. +6 Lv.85 고락JS 17.06.06 1,337
235002 주인공 설정에서 이해가 안 가는게 +20 Lv.92 라라. 17.06.06 1,512
235001 이벤트....ㅜㅜ +1 Lv.51 끙냥 17.06.05 791
235000 호식이 치킨 먹으면 형사 합의금 내는 격인가? +4 Lv.24 약관준수 17.06.05 1,225
234999 소설 제목을 찾고싶어요...ㅠㅠ +2 Lv.69 매난국죽1 17.06.05 1,077
234998 요즘 연예계물 많이 나오네요..ㅋㅋ좋다 +1 Lv.48 맛간코코아 17.06.05 988
234997 이런 앱 개발할 수 없을까요? +6 Lv.25 시우(始友) 17.06.04 1,010
234996 인터넷 댓글에 대해서 문득 생각났습니다. +4 Lv.99 狂天流花 17.06.04 1,011
234995 현대판티지 소설 찾아요 ㅠㅠ +4 Lv.1 [탈퇴계정] 17.06.04 1,021
234994 사최매 이거 해피앤딩으로 끝나나요? +10 Lv.71 gtx460 17.06.04 1,265
234993 임해군 온양 파트 안보신분 (스포아님) +1 Lv.1 [탈퇴계정] 17.06.04 850
234992 국대 이야기 +2 Lv.51 끙냥 17.06.04 858
234991 탑 오르는 소설 제목 아시는 분? +4 Lv.66 도미니에 17.06.04 1,023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