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라이젠에 대해

작성자
Lv.60 카힌
작성
17.02.24 23:55
조회
1,153

두번이나 라이젠에 대해 글을 썼고 이번이 마지막입니다.


AMD의 라이젠 전략은 꽤나 성공적으로 보입니다.


1. 불도저의 전략적 실패에서 벗어나 과거로 돌아간 정책으로 코어당 성능을 인텔의 브로드웰급으로 끌어 올렸다.

2. 내장그래픽을 빼고 코어수를 늘렸으며, 원가절감까지 성공.

3. SMT의 효율에선 놀랍게도 인텔을 넘어섰다.

4. 마케팅 포인트이자 실 사용시 유용한 자동오버클럭기술까지도입했다.


지금까지 나온 정보를 종합해보면 라이젠은 인텔과 거의 같은 효율을 갖지만 최적화면에서 부족했던 2년전의 브로드웰 정도로 굳어져 가고 있습니다.


즉, 코어당 성능에서 부족할 뿐 아니라 기본클럭에서 밀리고 있습니다.

인텔의 최신 CPU의 기본클럭이 상당히 높은데 반해 라이젠은 2세대는 되야 가능하리라 보여집니다.


그러나 현존 익스트림 급 바로 아래 중 최상위라 할 수 있는 i7-7700K(4코어8쓰레드)의 가격이 사십장정도이고 거의 비슷한 가격의 라이젠 1700이 8코어16쓰레드 입니다.


즉 딸랑 4코어만 이용하는 게임에선 라이젠 최상위급인 1800X가 아니고선 7700K에 견주기 어렵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6코어를 이용하는 게임에선 앞설 수 있고, 8코어를 다 사용하는 게임이 늘어날수록 더 유리해집니다. 


여기에 하나 더해 SMT의 효율이 놀랍게도 더 앞서기 때문에 코어수가 늘어날수록 성능향상폭이 적어지는 현상을 약간은 상쇄하고 있습니다.


멀티코어를 이용하는 모든 작업에서 라이젠 1700이 7700K를 압도할 것으로 거의 굳어져가고 있으며, 6코어 이상을 제대로 지원하는 최신 고사양 게임에서 역시 앞서고 있습니다. 


자신이 주로 하는 게임이 2~3년 된 경우라면 라이젠으로 넘어갈 필요성은 낮아지지만 앞으로 나올 게임을 주로 할 것이며, 또 게임하면서 방송을 같이 하거나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하고픈 분들이라면 라이젠이 월등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난 번 글을 올렸을 때도 이미 굳어져가는 분위기였지만 설마 하던 반응이 그나마 조금 있었다면, 지금은 이견이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럼에도 불도저 때를 언급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당시 이미 출시전 3주 전쯤이면 이미 다 기대 이하라는 것을 알 고 있었던 것과는 완전히 딴 판입니다.


제가 내린 개인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CPU로 다중작업을 하거나 앞으로 나올 최신게임을 즐기려면 라이젠으로.

2. 최신게임에 민감하지 않고, 주로 하는 게임이 최소 1년 이상 지난 게임에 다중작업을 별로 하지 않을 경우 인텔이 더 나을 것. 

3. 단 인텔 중고시세 폭락이 시작되고 있는 이 시점에 조금 만 더 기다린 후 중고 구매는 괜찮은 선택일 수 있으나 신상품으로 7700K를 구매하는건 비추천.

4. 3월2일 출시 전후로 나올 벤치를 꼭 확인 후 행동.


만일 벤치에서 자동으로 오버클럭 되는 부분이 기대보다 높다면 어떠한 경우에도 라이젠이 나을 것이고, 기대 이하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부분이 그다지 감이오질 않는 상탭니다.


p.s 최근에 유출된 자료 일부에선 6쓰레드 이상 사용하는 게임 중 라이젠 1700(40선)의 IPC가 i5-6600과 거의 같은 모습도 보이고 있습니다.  (SMT의 앞선 효율과 더불어 아무래도 친AMD 게임이겠죠)





Comment ' 3

  • 작성자
    Lv.63 이정하
    작성일
    17.02.25 00:07
    No. 1

    저는 적어도 출시 후 한 달까진 얼리어댑터 분들 반응을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텔과 엔비디아가 오랜 협업으로 호환성이 좋다는 점도 한 가지 변수겠지요.

    라이젠-메인보드-램/VGA로 이어지는 호환성을 장담할 수 없으니까요.

    거기에 인텔 익스트림/제온 라인업의 레인수를 통한 M2, M2레이드 및 멀티VGA까지 고려한다면야.

    그래도 라이젠으로 인해 인텔 제품군 가격이 떨어지게 된다면, 그것만으로도 상당히 만족스러울 것 같습니다.

    독주를 좀 막아줘야 흙 퍼다 장사하는 인텔의 횡포를 좀 막을 수 있겠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적당히해라
    작성일
    17.02.25 00:09
    No. 2

    저도 암드에 한번 크게 당했더니 한달은 좀더 지켜봐야 알거 같네요.. 그래도 이번에 시년회?를 보면서 느낀거지만 암드가 이번에 인텔을 한번쯤은 이갸봣으면 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5 하영민
    작성일
    17.02.27 17:19
    No. 3

    정말 한번쯤 이겨봤으면 좋겠네요.
    인텔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3975 사실이 궁금하네요 +5 Lv.36 옥탈플로 17.02.27 1,242
233974 문피아 홍보는 대중없나봅니다. +7 Lv.78 대추토마토 17.02.27 1,248
233973 K팝스타 후기 +3 Lv.60 카힌 17.02.26 1,001
233972 타임 트래블러 재밌네요 (타임슬립) +2 Lv.6 푸른아이들 17.02.26 945
233971 면회 +6 Lv.26 기수열외 17.02.26 1,032
233970 관심종자 +2 Lv.83 형이보거든 17.02.26 1,127
233969 오랜만에 육군복무신조를 다시 봤는데 +12 Lv.32 뒹굴보노 17.02.26 1,205
233968 정치글은 토론마당으로 +9 Lv.1 [탈퇴계정] 17.02.26 839
233967 지난 이벤트때 개인정보 팔아서 얼마나 벌었나? +8 Lv.69 목마른여우 17.02.26 1,103
233966 세상에 변희재의 주장을 강호정담에서 보다니.. 이건 아... +9 Lv.1 [탈퇴계정] 17.02.26 1,175
233965 20대후반 남자 지갑 뭐 쓰시나요? +11 Lv.99 소시지에그 17.02.25 1,116
233964 지인 몇몇이 쓰는 탈세 방법입니다. +14 Lv.1 [탈퇴계정] 17.02.25 1,337
233963 신의 타이밍! +8 Personacon 적안왕 17.02.25 868
233962 표지는 보통 계약된 회사에서 만들어 주는 건가요? +3 Lv.22 콜드펜슬 17.02.25 952
233961 무협토크 팟캐스트 발견!!! +5 Lv.60 카힌 17.02.25 891
233960 음악에 관련된 소설 찾아요... +3 Lv.87 도시백수 17.02.25 815
» 라이젠에 대해 +3 Lv.60 카힌 17.02.24 1,154
233958 공포의 꿍꿍따... +4 Lv.83 형이보거든 17.02.24 1,042
233957 부루마블을 참고하여 설정을 만든다면... +11 Lv.57 사는이야기 17.02.24 1,155
233956 작품을 보고싶은게 아니라 작가를 보고싶은거다. +3 Lv.45 매일글쓰기 17.02.24 1,250
233955 유시민 작가의 국가란 무엇인가 +12 Lv.60 카힌 17.02.24 1,414
233954 삼국지의 색깔.. 이유가 뭘까요? +3 Lv.1 [탈퇴계정] 17.02.24 968
233953 가성비甲의 스마트폰은? +21 Personacon 水流花開 17.02.24 1,350
233952 여러분이 생각하는 19금 +7 Lv.11 소설책벌레 17.02.24 1,143
233951 탑매같은 소설없나요?? +7 Lv.88 드토리 17.02.24 1,197
233950 종종보지만 여전히 이해안되는 나이 레파토리 +11 Personacon 묘한(妙瀚) 17.02.24 1,135
233949 금요일이네요. +4 Lv.32 0김호영0 17.02.24 981
233948 집에 있는 옛날 무협소설들 버릴까요? +12 Lv.25 시우(始友) 17.02.24 1,224
233947 이제야 일 순서가 눈에 보이네요. +5 Lv.25 시우(始友) 17.02.24 1,076
233946 코딩배워보신분들께 질문 +17 Lv.56 다크월넛 17.02.23 1,149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