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5

  • 작성자
    Lv.99 이통천
    작성일
    16.12.17 09:16
    No. 1

    글쎄요. 저도 이젠 증발지와 결정지? 명칭이 맞나? 로 나누고 수로와 바닥에 검은타일을 깔아야한다는걸 아니까 최소 신국사의 주인공정도는 가능할듯. 신국사에서 악역은 독자적으로 천일염 만들다가 손해만 봤죠. 결론은 기초지식과 시행착오를 거치면 성공하는걸로, 참 입지가 중요하데요.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41 바람의별
    작성일
    16.12.17 12:02
    No. 2

    예나 지금이나 천일염은 노동집약적 산업이고 기후 영향을 많이 받죠. 그리고 품질이 떨어지는 소금의 대량생산에 적합한 방법이고요. 초반에 과도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조선시대 사람들도 바닷물 증발시켜서 소금 나온다는거 모르지 않았지만 익숙하고 확실한 방법이 있는데 엄청난 초기 투자가 필요하면서 성공이 보장되지 않는 방법을 사용하려고 하진 않죠.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68 개백수김씨
    작성일
    16.12.17 12:10
    No. 3

    옛날 자주가던 할머니댁 바닷가 시골에서 어떤 영감님이 직접 소규모 염전(100평 정도)을 만들으셔서 운영하시던데.... 정말 조잡한 기술로 소금 만드는거 보면 천일염 제작방법이 그리 어려운 것만은 아닌거 같습니다.
    다만 아무래도 대규모 생산하려면 입지 문제 같아요.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고, 태풍과 비내리는 날이 많아서 대단위로 염전을 만들어 천일염 생산하기는 상당히 까다로울것 같습니다.

    찬성: 2 | 반대: 1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6.12.17 15:51
    No. 4

    우리나라는 과거에 소금이 부족했던 시절도 있고 또 소금이 생각보다 그리 많이 부족하지 않은 시절도 있고 해서...근데 그렇게 많이 부족하지 않더라도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 보다 더 쌀 테니까 천일염이 더 좋긴 하겠죠.
    과거 기준으로 소금이 필요한게 더 중요하지 품질은 따질게 있나 싶네요. 단, 오염문제는 요즘같진 않았겠죠

    찬성: 1 | 반대: 2

  • 작성자
    Lv.47 내일은
    작성일
    16.12.18 09:25
    No. 5

    근데 천일염보다 자염이 질이 좋다는걸 과거 사람들은 몰랐을꺼 같은데..
    과거사람: 소금은 짠게 좋은거지..
    이랬을꺼 같네요ㅋ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