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8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6.11.20 07:22
    No. 1

    글을 남긴 곳이 어딘가요. 넷 상에 올리셨습니다. 그럼 내 것이면서 보는 사람과 공유되는 것입니다. 공감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라 봅니다. 그렇게 나누는 것이죠

    찬성: 2 | 반대: 5

  • 작성자
    Lv.99 라크로케타
    작성일
    16.11.20 09:14
    No. 2

    힘내세용

    찬성: 3 | 반대: 1

  • 작성자
    Personacon [탈퇴계정]
    작성일
    16.11.20 10:38
    No. 3

    악의나 불의는 언제나 존재해왔습니다. 다만 우리가 관심을 두지 않았을뿐.
    어쩌다 이런 사회가 되었는지 생각해 볼 필요는 있겠죠.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42 류판산맥
    작성일
    16.11.20 11:13
    No. 4

    불교에서 말하기를 인생은 고통이라고 합니다. 고통을 인내하며 사는 것은 범부의 삶이요, 고통이란 그 마음을 이해하며 사는 것, 그것이 보살의 삶이라 하더이다. 그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나고 죽는 것과 행과 불행이 순환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니 해가 뜬다고 좋아하고 해가 진다고 우는 것은 우둔한 자의 몫으로 남겨두고 우리 모두 제 마음을 잘 살펴 깨달아가는 사람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양심이 밝으면 그에 따라 행동하시는 것도 나중에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사는데 도움이 될 것이요, 그 양심을 지금은 져버리고 현실에 고개를 숙이는 것도 나중에 돌아보고 다시 양심을 세울 수 있으니 큰 죄는 아닙니다. 반드시 지금하지 않으면 안 될 일은 없습니다. 형편되는 대로 사세요. 내 마음을 괴롭히지 마세요. 제가 40을 바라보는 형으로서 그냥 두서없이 말씀드려 봅니다. 용기는 불굴이 아니라 잊지 않음이 아닐까요?

    찬성: 2 | 반대: 1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구름말이
    작성일
    16.11.20 19:10
    No. 5

    고맙습니다. 무언가 세련된 수식이라도 해드리고 싶은데 올라오는 감정이 커서 겨우 이런 단순한 인사밖에 드리지 못하겠습니다. 지금은 이렇게 수레에 올라타서 혼자 중얼거릴 뿐이지만 언젠가는 내려서 직접 걷고 싶습니다. 앞에서 끌 자신은 없지만 뒤에서 밀어주는 사람 정도는 되고 싶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69 고지라가
    작성일
    16.11.20 14:58
    No. 6

    악의에 편승하면 되요. 다들 그렇게 하고 있거든요.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6.11.20 23:40
    No. 7

    님이 말하는 '떨리는 두려움' 이란 모자르거나 옹졸해서가 아닙니다. 그것의 이름은 '책임감' 입니다.

    찬성: 1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85 담적산
    작성일
    16.11.21 16:33
    No. 8

    정답에 가까워 보임.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