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47 기신
작성
03.09.18 00:59
조회
406

[펌]  문화일보 2003년 9월17일

출판계 중국시장 눈독  

막오른 베이징 국제도서전에 32개사 참 여 “한국 출판의 황금시장이다”, “당장 열리는 시장이 아니다”.

국내 출판업계의 중국시장 공략을 두고 의견 이 분분하다.

시장 확대 가능성에 희망을 걸면서도, 지난 몇년간 의 경험에서 ‘다시 보기’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는 것.

! 중국 시장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은 베이징(北京) 국제도서전의 양적 성장이다.

이 도서전은 저작권과 출판물의 직접 계약이 이 뤄지는 아시아 최대의 출판 견본시장.

5월에 열리던 행사가 올해 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의 여파로 17일 개막돼 5일 동안 베이징 전람관에서 열린다.

지난 1998년에는 36개국 800개사가 참가했는데, 이번에는 50개국 1000개사로 늘었다.

참가규모가 5 년 동안 25% 늘어난 것이다.

격년제에서 지난해부터 연례 행사로 바뀌었고, 행사장도 이전 개최지보다 큰 곳으로 옮겼다.

국 출판계도 지난 1998년 도서전부터 중국 시장의 가능성을 감지 하고 눈독을 들여왔다.

한국관에 공동·독자부스를 설치한 출판 사가 98년 3개, 2000년 7개, 2002년 21개에서 올해는 일본을 능 가하는 32개로 늘었다.

저작권 수출액도 98년 23건(10만달러)이 었으나, 2002년 167건(92만달러)에 이어 올해는 200건(150만달러 )을 예상하고 있다.

대한출판문화협회 국제부 안준모씨는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의 1 0년 참가 실적을 베이징 도서전 1회 참가로 이뤄낸 만큼 국내 출 판계가 중국 진출에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은 큰 흐름”이라고 전 했다.

중국 출판시장은 한국과 사뭇 다른 구조를 갖고 있다.

정보의 사 유화와 경쟁을 도모하는 지식산업의 측면과 국영을 전제로 한 선 전·교육의 수단으로 보는 기조가 공존하고 있는 것.

565개의 국 영 공인 출판사만이 출판업을 할 수 있지만 실제는 이들 국영업 체와 개인의 합작형태인 1만여개의 대리업자들이 출판업에 참여 하고 있는 이중 구조를 갖고 있다.

시장 규모는 4조원대(2000년 기준)로 국내 2조원 시장(학습지 포함)의 두배에 달한다.

이중에 급성장한 분야는 과학, 어학, 아동분야 시장이다.

직업학 교, 대학 중심의 첨단기술과 과학분야의 성장이 출판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 것.

중국의 저작권 수입이 대부분 미국, 영국, 독일에 집중돼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창의적인 학습을 강조하 는 중국 교육정책의 변화, 적성에 따른 자유노동시장의 형성, 세 계적 트렌드를 쫓고자 하는 욕구도 크다는 점도 주목할만한 중국 출판시장의 특징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출판계의 중국 공략은 가격과 질적 경쟁에서 다소 우위를 갖는 어학 등의 실용서, 아동, 만화 등에 편중되고 있다.

이번 도서전에 참가한 중앙 M&B, 두산동아, 웅진닷컴, 계림닷컴, 예림당 등의 출판사들도 이들 분야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일선에선 외화내빈(外華內貧)이라는 지적이 많다.

진닷컴 국제업무팀 김경순 과장은 “현재 150권 정도 저작권 수 출을 했지만, 추가로 인세가 나오고 있는지 말할 수 없는 상황” 이라고 말했다.

복제가 많고 유통과정이 투명하지 않아 판매보고 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국내 출판사들은 저작권 수출협상때 책의 판매량에 따른 인세보다는 선인세(초판 발간량에 준하는 인세)를 올리는데 급급해하고 있고, 이것마저 도 도서가격(대략 3000~4000원 수준)이 낮은데다 협상 문화가 달 라 애를 먹고 있는 형편이다.

김 과장은 “중국측은 한국 책의 저작권 가격이 영미권에 비해 낮다는 점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 책의 질에 따라 가격을 매기는 협상이 쉽지 않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출판관계자들은 중국 출판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을 가 장 큰 문제로 꼽는다.

중국에 저작권을 수출하고 있는 한솔동의 보감 김우진 대표는 “중국 사람들이 무슨 책을 원하는지 모른 채 중국 땅을 밟는 출판사가 대부분”이라며 “이것이 언어장벽 을 쉽게 넘을 수 있는 아동, 만화분야에 쏠리게 만드는 요인”이 라고 지적했다.

한국출판연구소 백원근 선임연구원은 “중국 시장이 내수시장 일 변도였던 한국 출판에 있어서 무언가 공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유일한 시장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면서 “하지만 지금 까지 중국측 요구에 따라 수동적으로 각개약진하는 방식에서 벗 어나 공동으로 시장, 유통정보를 파악하고 공략 분야를 개척하는 땅고르기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오승훈기자

=========================================================================

음...... 무협계도 슬슬 준비를 해야 할 때가 온 것 같군요.

중국이 조만간 미국만큼 한국에 큰 영향을 끼칠 국가가 될 가능성은 높습니다.

이미 무역 규모도 미국과의 규모를 추월했고, 북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나라도 중국입니다.

물론 중국은 속성상 강해지면 미국보다 더했으면 더했지, 못하진 않을 겁니다.==;

게다가 미국은 거리나 멀지만 중국은 거리마저 가깝기 때문에, 영향을 받게

되면 굉장히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 미국 근처의 국가들이 미국에

정치, 경제적으로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 것을 보면 예상될 수 있는 일입니다.

캐나다 같은 G7도 경제의 80% 이상을 NAFTA에 의존하니까요. ==;;)

하지만 위험은 언제나 기회라는 양날을 가지고 있는 법입니다.

물론 한국 무협의 한국화나 또는 아예 중국 역사화, 또는 현대화 등의

중국인이 흥미를 가질만한 변화가 필요할 것입니다.(이건 그냥 해보는

말입니다만, 현대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무협은 어떨까요? ==;;)

어쨌든 무협 소설이야말로 서적 분야에서는, 중국 시장에서 성공을

거둘 큰 가능성을 지닌 분야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중국의 출판계가

좀더 투명해진 다음에나 가능하긴 하겠습니다만......==;; 해적판이

판을 치는 세상이니.

어쨌든 논의나 생각 정도야 지금 해도 나쁠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

(그런데, 이게 과연 강호 정담에 어울리는 글일까요? @,@?)


Comment ' 1

  • 작성자
    Lv.99 가류운
    작성일
    03.09.18 19:05
    No. 1

    강호정담에 충분히 어울립니다.
    현대 중국을 무협으로 하는 소설을 아직 보지 못했지만, 만화는 있는 것
    으로 압니다. 제목이 기억나진 않지만 재미있더군요. 중국시장에 파고
    들려면 아무래도 상당한 시장조사를 거쳐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어려운 일이지만 누군가 해야 하고, 시장의 앞날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해야 할 일입니다. 어느 출판사가 이런 일을 해낼지... 그동안 무협출판
    을 많이 했던 곳에서 시동을 걸어야 할 것입니다. 이익에만 너무 집착하
    지 않고 선 투자개념으로 매출의 일정부분을 투자하는 출판사가 나왔으
    면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007 몸이 바닥을 향해 깔리면서 +1 Lv.43 은파람 03.09.18 141
14006 우리 베르킨라빈스뚜리원 아수쿠림을 먹어BOA요 +7 Lv.1 행운 03.09.18 280
14005 [펌]디겐 인터뷰 기사-와룡강 +10 Lv.68 雪竹 03.09.18 559
14004 만화총출동 +21 Lv.1 달에게묻다 03.09.18 369
14003 조금 황당한.. 이야기.. +4 『GUIN』 03.09.18 280
14002 따라해 BoA Yo +9 Lv.1 후잉후잉 03.09.18 220
14001 [펌] 어느 작가의 푸념... +6 ▦둔저 03.09.18 511
14000 [전조협]전조협 회원들만 보세요~ +9 Lv.23 어린쥐 03.09.18 277
13999 학교에서 있었던 일..-_-; +8 Lv.1 무영검신 03.09.18 251
13998 나를 엄습해오는 시험의 압박.. 그리고... +2 Lv.13 은검객 03.09.18 157
13997 경지에 이른 게임방 죽돌이..-_- +10 Lv.1 무영검신 03.09.18 376
13996 일일단어셤.부제-후기 +6 柳韓 03.09.18 189
13995 2005학년도 수능 모의고사...ㅠ.ㅠ +12 Lv.18 검마 03.09.18 485
13994 어제 한일전 일본 네티즌 반응입니다^^ +10 Lv.1 소오 03.09.18 775
13993 청어람에서는 베이징 국제도서전에 안가는가? +8 Lv.99 가류운 03.09.18 351
13992 책 잘 받았습니다 +5 Personacon mo 03.09.18 248
13991 솔로몬 선택의 고승덕 변호사. +14 태백 03.09.18 524
13990 보고싶다아이가 틴구야.. +6 Lv.1 술퍼교교주 03.09.18 253
13989 자축합니다. 5000점. +20 Lv.16 아자자 03.09.18 296
13988 [필독/홍보] 퀴즈게임 좋아하시는 분들... +3 Lv.18 건곤무쌍 03.09.18 328
13987 상큼한 노래..[볼륨업] +12 Lv.1 술퍼교교주 03.09.18 526
13986 아래 미치도록 패고 싶다... +20 Personacon 금강 03.09.18 767
13985 한줄로 못 우끼면 술퍼 잠수함당..;; +25 Lv.1 술퍼교교주 03.09.18 432
13984 미치도록 패고 싶었다...'초딩별곡'. +29 Lv.43 관독고 03.09.18 794
» [펌] 출판계 중국 시장 눈독 - 문화일보 +1 Lv.47 기신 03.09.18 407
13982 키즈아토의 매드무비 <Tomorrow Never Knows> +1 Lv.1 望想 03.09.18 208
13981 귀여니 소설을 읽었는데.. +16 Lv.1 강달봉 03.09.18 576
13980 뱅자의 실체는 바람둥이(?)였다 +2 Lv.1 강달봉 03.09.18 384
13979 헉 큰일이다. 컴퓨터 고수분 도와주세요~ +3 백아 03.09.18 551
13978 무쌍맹 해체.... +5 Lv.18 건곤무쌍 03.09.18 368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