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東方龍
작성
03.02.17 10:11
조회
1,271

세한연후(歲寒然後) 지송백(知松栢) - "날씨가 추워진 후에 비로소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에 시듦을 안다"

공자의 논어(論語) 자한(子罕)편에는 다음과 같이 말이 있습지요.

'날씨가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ttached Image

사람이 태평성대(太平聖代)한 시대, 즉 평온한 때에 살 때는 별로 표시가 나지 않고 그 사람의 진실한 됨됨이를 알 수가 없지만, 큰일을 당하고 나면 그때서야 비로소 그 사람의 절의와 지조를 알 수 있다는 내용의 말이지요.

이처럼 세한연후(歲寒然後) 지송백(知松栢)이란 말은 항상 처음과 끝이 같은, 이리저리 갈대처럼 수시로 흔들리거나 변치 않은 굳은 지조와 절개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걍, 이래저래 몇 개의 글을 읽다보니 그런 고사가 떠올라서...^^

사람은, 역시나 오랫동안 겪어봐야 알 수가 있다는...^^

흐르는 곡은 얼후 연주곡 "夢(DREAM)"...


Comment ' 13

  • 작성자
    Lv.1 등로
    작성일
    03.02.17 10:15
    No. 1

    호호..참으로 좋은 말 입니다.. 그렇죠, 사람은 겪어봐야 안다구..
    저두 글케 생각함다..^0^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0 흑저사랑
    작성일
    03.02.17 10:51
    No. 2

    한국인의 정서 역시 소나무 입니다..^^
    푸르름의 한결 같음같이 살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주신검성
    작성일
    03.02.17 12:14
    No. 3

    애국가에도 나오지 않습니까??ㅎㅎㅎ
    소나무처럼 의기있게 살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Reonel
    작성일
    03.02.17 13:31
    No. 4

    전 소나무 잎처럼 가늘고 길게 살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6 담천우
    작성일
    03.02.17 13:56
    No. 5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역시나 사람은 겉으로 판단할 수 없는 것이죠.
    멋진 말씀이셨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妖舌
    작성일
    03.02.17 14:20
    No. 6

    작년 년말에 전국민들에게 보여준 사례가 있었죠.
    돈많고 잘생긴(?) 회장님의...닭짓.^^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9 애호가
    작성일
    03.02.17 18:48
    No. 7

    \"날씨가 추워진 후에 비로소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에 시듦을 안다\"
    위 부분이 좀 이상한데요.

    \'송백의 푸르름을 안다\' 아닌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東方龍
    작성일
    03.02.17 19:22
    No. 8

    ㅎㅎㅎ
    모두 같은 의미입니다.
    여기서는 시듦을 안다, 푸르름을 안다, 지조를 안다, 혹은 그냥 소나무와 잣나무를 알 수 있다, 모두 통용됩니다.
    여기서는 소나무와 잣나무가 그만큼 다른 초목들에 비해서 푸르름이 오래가고,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뒤에 시듦을 안다\"라고 해석했습니다.

    한자가 같은 글자라도 그만큼 해석의 여지가 여러 모로 많고 문맥이나 사용하는 이, 읽는 이의 기분에 따라서 다양하게 쓰이는 것은 님도 잘 아실테고요.
    여기서는 소나무와 잣나무의 지조와 한결 같음을 \"뒤에 시듦을 안다\"라고 해석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작성일
    03.02.17 22:15
    No. 9

    -_-;; 겪어봐야 안다라..

    중학교를 겪으면 어케 변해있을지.. 궁금하군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9 애호가
    작성일
    03.02.18 00:55
    No. 10

    동방룡님, 어쨌든 뒤에 시듦을 안다로 해석하는 것은 의미연결에 무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변함이 없다는 뜻인데 뒤에 시든다는 것은 결국 나중에 변한다는 것이 되버리는 것이지요.

    그리고 감각적으로 봤을 때도 상록수는 낙엽을 우리 눈으로는 관찰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상록수가 나중에 시든다? 이건 어쨌든 문제가 있는 해석 같군요.

    오뉴월에는 모든 풀과 나무가 푸르지만 서리와 눈이 내리면 나머지 초목은 시들고 송백은 의연하게 푸르름을 유지하고 있는 자태!

    그렇다면 늦게 시든다는 표현은 어폐가 있는 것 같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여청
    작성일
    03.02.18 05:47
    No. 11

    흐음..우리 사촌형이 좌우명으로 삼아오던 문구...^^
    歲寒然後知 松栢之後凋
    조선이 배출한 걸출한 선비 추사의 세한도에 나오는 화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東方龍
    작성일
    03.02.18 12:17
    No. 12

    변함이 없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고고한 추상성이며 하나의 상징에 지나지 않습니다, 애호가님.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르름이 지조를 의미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정말로 영원합니까?

    여기서는 오히려 그 유한성에 의미를 두고 \"뒤에 시듦을 안다\"라는 표현이 더욱 마음에 와 닿기 때문에 그러한 해석을 이용한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동양에서는 직설적인 해법보다는 다소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남을 수 있는 표현을 즐겼지요.
    예를 들어 불로장생과 불사는 문자로 보면 확연히 의미가 다르지만, 거의 실질적인 사용에서는 그 뜻이 대동소이합니다.
    오래 산다는 것과 죽지 않는다는 것, 이것은 인간이 오래도록 무병장수하기를 바라는 옛사람들의 간절한 기원과 같은 것이었죠.
    이미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세한연후 지송백이란 말은 적어도 서너 개의 해석이 뒤따르기 때문에, 무엇이 올바르다, 무엇이 틀리다라는 말은 그다지 의미가 없을 듯 하군요.
    결론적으로 대동소이합니다.

    그럼 이만.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9 애호가
    작성일
    03.02.18 20:58
    No. 13

    무슨 말씀인지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576 이것참..-_-;; 생과사는 종이한장차이라고?--;;;; +7 하얀나무 03.02.18 664
5575 [필독]오늘 8시, 후기지수 정팅이 있답니다. +2 Lv.18 검마 03.02.18 347
5574 대구 지하철 사건을 보며... 인간의 본성이란... +6 Lv.18 검마 03.02.18 663
5573 대구지하철 객차안서 사체 100여구 발견 -_-;;; +5 류민 03.02.18 428
5572 내개그는 생선가게야~ +6 Lv.1 무협의꿈 03.02.18 485
5571 으으 심심하다.... +2 Lv.23 어린쥐 03.02.18 312
5570 [신간소식]이현의 상검(商劍)출간요!! Lv.1 神색황魔 03.02.18 324
5569 대구 지하철 방화 범인에 대한 속보 +6 Lv.99 寤寐不忘 03.02.18 625
5568 청룡만리 출간!! (광고라기 보다는..걍 좋아서.. ^^) +28 Lv.99 운동좀하자 03.02.18 646
5567 위소보야말로 심검의 고수다! +2 성유야천 03.02.18 672
5566 소리바다 중지 된다고 하네요 +3 현필 03.02.18 665
5565 흐흐. 진정한 매니아라네요^^ +6 Lv.1 소오 03.02.18 622
5564 싸이트 속도에 대해서 댓글 바랍니다.... +36 Personacon 금강 03.02.18 822
5563 ㅜㅜ 지하철 방화..... +2 태양바람 03.02.18 718
5562 [펌] 엘리베이터 +6 Lv.1 푸른이삭2 03.02.18 765
5561 나름데로의 고민.. +2 Lv.30 남채화 03.02.18 598
5560 대구지하철에 방화사건이 일어났다구 하내요 +3 Lv.1 뾰로통군 03.02.18 487
5559 후루꾸 카운셀러..[1],[2].. +3 Lv.1 술퍼교교주 03.02.18 572
5558 백수들의 지침서 +3 Lv.1 술퍼교교주 03.02.18 690
5557 늦었군요..발표합니다.. +7 Lv.1 술퍼교교주 03.02.18 572
5556 연재한담에서 유료화 논쟁 +3 애정다반사 03.02.18 771
5555 오늘 디아2를 하다가... +2 Lv.1 무협의꿈 03.02.18 608
5554 오늘 고무림 상태가 메롱이군요... +3 Lv.99 혈랑곡주 03.02.17 763
5553 난 애들이 싫어! +2 妖舌 03.02.17 745
5552 [만화] 신문연재만화 모음/ 그들도 영화처럼(영웅)/용하... +3 Lv.1 푸른이삭2 03.02.17 1,168
5551 아아... 드디어 깻슴더... +4 하얀나무 03.02.17 633
5550 저도 컴백을..!! +5 Lv.8 이정수A 03.02.17 547
5549 ^^서태지 스페셜앨범이 나왔습니다. +10 Lv.37 주신검성 03.02.17 826
5548 온라인 게임을 소재로 한 소설. +7 Lv.19 바다거북5 03.02.17 802
5547 무협 만화요~~ +6 장현숙 03.02.17 699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