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구름
작성
02.10.07 17:59
조회
1,490

명대(明代)의 백화무협소설(白話武俠小說)의 발단 중국의 근·현대 무협소설과 문언무협소설은 모두

무협소설의 범주에 속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문화성질을 가지고 있다. 문언무협소설은 중국 상층사회

사대부 문인의 정신적인 산물이었고, 근·현대 무협소설은 완전한 민간사회 대중문화의 산물인 것이다.

송대는 중국 고대사회가 근대사회로 전환되는 중요한 과도기였으며, 중국근대의 대중문화 -근·현대 무협소설

을 포함하여- 의 원류는 송대 도시사회로 소급될 수 있다. 당시의 시민들은 한가하면 설화(說話),

즉 다른 사람이 해 주는 이야기를 들었다. 일부 사람들은 설화인(說話人)이 이야기할 때 사용했던 원고인 화본(話本)을 약간 수정하여 의화본(擬話本)을 창작하기도 했는데, 의화본안에는 민간 협사와 관련된 작품이 많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장은 저속하고 구술(口述)에 가까웠기 때문에 소설과 비슷할지라도 일치하지는 않았다.

송·원 이후에 중국 사회에 나타나 주목을 받은 문화적 현상은 <서회(書會)> 문인의 출현이었다.

<서회>조직은 민간 예인과 함께 민간을 다니며 민간의 예술창작에 종사했던 문인의 동업성 창작단체로,

후대에 <서회재인(書會才人)>이라고 불리우기도 했다. 이들의 구성원들은 상층사회 사대부 문인 계층에서

도시사회 저층의 민간 문인으로 하락한 사람들이었다.

그들의 출현은 중국 문화사상 일대 사건이었고, 중국의 대중문화는 이로부터 모습이 바뀌어 송·원대 이후

대부분의 백화소설이 그들의 손에 의해 지어져 나오게 되었다. 명대 백화단편소설의 흥성과 더불어 통속장편

소설의 창작 조류가 탄생하였다.

그것들은 모두 당시 민간사회 대중문화의 산물이었으며, 그 가운데 《수호전(水滸傳)》은 근대 무협소설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는데, 이는 작자가 원래 무협소설에 속하는 몇 가지 소재를 영웅사적 서술방식으로 창작

을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은(殷)나라 주왕(紂王)을 정벌한다는 이야기를 묘사한 《봉신연의(封神演義)》는 황당하면서도 낭만적인 필법을 취하고 있다.

신마(神魔)가 서로 싸우는 장면들이 묘사되어 있으며, 비검(飛劍), 도술(道術), 선진(仙陳), 요법(妖法)이 그

속에 충만해 있다. 기기묘묘함이나 환변신이(幻變神異)들은 30년대 《촉산검협전(蜀山劍俠傳)》의 선구가

되고 있다. 명대의 장편 장회소설에서 《수호전》은 고대 사실형 무협소설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고,

《봉신연의》는 고대의 황당하고 낭만적인 유형의 무협소설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유형의 필법은 후대 무협소설 창작에 계속 영향을 미쳤다. 또한 중국의 소설 창작은 역대로 역사화·영웅

화와 신비화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애정서(愛情書)를 저술한 작품, 특히《금병매》의 등장으로 이같은 창작

구조가 무너질 수도 있었다.

출처 cinecom21.com


Comment ' 7

  • 작성자
    Lv.35 김역인
    작성일
    02.10.07 19:03
    No. 1

    봉신연의... 소위 봉신방으로 불리우는 이 소설

    많은 생각을 하며 보아야 할 소설입니다.
    봉신방에는 3개의 방파가 나옵니다.

    천교, 절교, 그리고 불교가 나온다...

    이중 천교는 현 중국을 대표하는 곤륜파이며 절교는 우리들의 조상인 장백산쪽 신선들... 그리고 불교이렇게 나옵니다.

    이 봉신방이 중국인의 입장에서 쓰여졌지 때문에 절교쪽 인물들이 모두 요괴에대 나쁜 인물들처럼 쓰여져 있지만 사실은 그러지 않습니다.

    옛날 중국인들이 가정에 흉함이 있으때마다 빌던 인물이 바로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입니다. 그럼 이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 누구냐?

    바로 은나라의 태사 문중입니다.

    재물을 빌때는 관운장에게 빌지만 악귀를 쫓거나 흉함을 제거하기 위해선 모두 9개의 뇌부를 관장하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께 빌었지요...

    중국인들이 봉신방의 승자였던 자신들의 조상신들을 나두고 패자의 수장인 태사문중에게 비는지는 다시한번 생각할만하다고 생각됩니다.

    나중에 봉신방과 옥추보경에 대해서 글을 올리도록 하지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일호
    작성일
    03.02.27 06:26
    No. 2

    미투 캠패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張秋三
    작성일
    03.07.06 20:09
    No. 3
  • 작성자
    Lv.25 티미.
    작성일
    04.01.14 22:36
    No. 4
  • 작성자
    冥王
    작성일
    06.07.22 22:41
    No. 5

    聖地巡例 中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風靈刃
    작성일
    06.08.27 14:31
    No. 6

    성지순례 中...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 재배산삼
    작성일
    07.02.23 23:08
    No. 7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15 추리소설을 읽다 보니... +7 이건희 02.10.09 1,318
1114 장경의 성라대연... 출간. +8 Personacon 금강 02.10.09 1,362
1113 한글날이라..... +9 심상복 02.10.09 1,493
1112 개인 아이콘....... +12 Lv.1 동의서생 02.10.09 1,505
1111 개인 아이콘들 만들어 보세요... +34 Personacon 금강 02.10.09 1,800
1110 백상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5 구름 02.10.08 1,582
1109 금농(金農)을 아시는 지요... +7 Lv.7 절대미검 02.10.08 1,433
1108 ‘가을 아침에’- 김소월 +7 Lv.35 김역인 02.10.08 1,419
1107 [펌]6. 신파(新派) 무협소설의 등장 +8 구름 02.10.07 1,684
1106 [펌]5. 민국(民國)이래의 무협소설의 창작열기 +6 구름 02.10.07 1,427
1105 [펌]4. 청대(淸代)의 공안소설(公案小說)과 삼협오의 +7 구름 02.10.07 1,595
» [펌]3. 명대(明代)의 백화무협소설(白話武俠小說)의 발단 +7 구름 02.10.07 1,491
1103 [펌]2. 송대(宋代)의 무협소설 창작 여파 +6 구름 02.10.07 1,113
1102 [펌]1.당대(唐代)의 전기(傳奇 +9 구름 02.10.07 1,762
1101 [플래시] 살아난 이소룡 +11 鐵血男 02.10.07 1,467
1100 [펌]서유기 +6 Lv.35 김역인 02.10.07 1,710
1099 추혈객 전4권 끝 +9 Lv.1 적나라닥 02.10.06 1,819
1098 끝까지 도배해 보자...구요.. +7 Lv.20 흑저사랑 02.10.05 1,229
1097 [알림] 개인이벤트 9월대상자 선정 발표 +20 Lv.1 寒柏居士 02.10.04 1,445
1096 감상란에 추천 좀 해주세요.. +14 Personacon 금강 02.10.04 1,487
1095 [天風]잡담. 무협만화구분 +11 Lv.1 천풍유협 02.10.04 1,498
1094 정말 좋은 곳이네요 +8 Lv.84 동네박 02.10.04 1,233
1093 표변도.....실망... +12 둔저 02.10.03 1,646
1092 미르님께.......... +6 Personacon 유리 02.10.03 1,207
1091 제목을 알고 싶습니다.. +11 대붕이월령 02.10.03 1,364
1090 잠시 들립니다. +8 미르 02.10.03 1,201
1089 신무예 무협소설 - 추혈객 +9 유심조 02.10.02 1,424
1088 10월12일 기대되는군요. +10 천공무조백 02.10.02 1,233
1087 인생의 큰돌 (펌) +7 Lv.99 운동좀하자 02.10.02 1,457
1086 사마쌍협에 대한 질문. +10 천공무조백 02.10.02 1,387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