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12

  • 작성자
    Lv.54 닥터하이츠
    작성일
    15.10.29 20:10
    No. 1

    오죽하면 세상은 수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겠습니까?
    가장 증명하기 어려운건 대 명제인데
    수리에 기반한 것들은 웬만하면 풀리게 돼있죠.
    그 덕분에 인간은 한단계씩 발전해 온 것이고요.

    숫자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모두 해결 한 후
    더이상 숫자로는 풀리지 않는 문제들이 많아질 때
    인류는 오히려 한단계 도약할 기회를 얻게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이 말은 증명할 수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9 오늘도요
    작성일
    15.10.29 20:48
    No. 2

    음...

    전제: (1) 소수는 2개의 약수( 1과 자기자신 )을 갖는다. 소수가 아닌 자연수는 3개 이상의 약수를 갖는다.
    (2) 약수의 개수가 무한대인 자연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증명\"
    (1) 1보다 큰 자연수가 소수가 아니라면 1과 자기자신을 제외한 약수를 하나 이상 가진다.
    (2) 그 약수가 소수가 아니라면 1과 자기자신을 제외한 약수를 하나 이상 가진다.
    (3) 무한 개의 약수를 가진 자연는 없으므로 약수의 약수를 반복적으로 구하다보면 필연적으로 1과 자신을 제외한 약수가 없는 수, 즉 소수가 나온다.
    (4) 따라서 모든 수는 소수이거나 소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런식인가? 근데 말씀 듣다보면 이런식의 증명보다 훨씬 엄밀한 수식이 막 들어간 그런 증명일 거 같네요. 궁금.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6 강림주의
    작성일
    15.10.29 22:46
    No. 3

    본문을 살짝 수정했습니다. 원래 댓글로 달았는데 이상하게 계속 끊기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6 강림주의
    작성일
    15.10.29 23:01
    No. 4

    이 영상에선 저보다 더 간결하게 설명하고 있으니 추천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MbEtx2XtEg&feature=youtu.be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우리예쁜이
    작성일
    15.10.29 21:41
    No. 5

    ㅎㅎ 수학이 정말 대단하죠. 저는 수학을 배우면서 (나중에 필요해서~), 새로운 세계에 접하는 느낌을 받았어요. 눈앞에 신천지가 열린다고나 할까. 쉽게 이해되지 않는 여러 증명들은 길을 가면서 생각하곤 했고요. 특히 집합론에서, 자연수를 집합으로 설명하는 것에 정말 감동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정말 옛날 얘기라서 지금은 기억도 가물가물하지만... 0은 공집합이고, 1은 0을 원소로 가진 집합... 그런 식이었던 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카이셀
    작성일
    15.10.29 23:59
    No. 6

    핵심부를 다루기 쉽게 적당히 가공해 도마위에 둡니다.
    표현이 가슴에 와닿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5 석박사
    작성일
    15.10.30 19:16
    No. 7

    "N에서 사실이면 N+1에서도 사실이다" + 기본 케이스 (명제에서 요구하는 영역의 첫 수)가 성립한다
    를 따르는 증명법은 귀납이 아니고 귀류 아닌가요? 수학적 증명에서 귀납법이 용인이 되나 싶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우리예쁜이
    작성일
    15.10.30 20:36
    No. 8

    그 이름이 수학적 귀납법일걸요. 처음에 n=1일 때 증명하고,n=k에서 사실이라 가정한 후, n=k+1일 때 증명되면, 모든 자연수에 대해 성립한다 그런 거였던 듯. 귀납법이 용인되는 것은 abstract algebra에서 증명이 있었던 듯. 아, 수학이 그립네요 ㅋ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6 강림주의
    작성일
    15.10.30 21:21
    No. 9

    귀류법은 한 명제가 참이라 전제한 다음 논리를 풀어나가고 그 이후에 모순적 결론을 얻어내 그 명제는 거짓이며 그 명제의 역이 참이라는걸 증명해내는걸로 기억합니다. 귀납법은 귀납적으로 N이 참이고 N+1도 참이면 모든 N에 대해 이 명제는 참이다, 라는 식으로 귀납적 논리전개를 하는거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6 강림주의
    작성일
    15.10.30 21:21
    No. 10

    그리고 수학적 증명에서 귀납법과 귀류법 둘 모두 용인됩니다. 아주 흔하게 사용되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5 석박사
    작성일
    15.10.30 22:27
    No. 11

    넵 제가 귀납법이랑 수학적 귀납법의 차이를 몰랐습니다.

    일반적인 과학에서의 귀납이란 명제를 가정하고 해당 명제가 사실이라는 것을 수많은 관측을 통하여 입증하는 것인데, 인과관계를 무시한채로 원인과 결과라는 추측을 내리므로 과학적/수학적인 증명이 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귀납법은 올바른 증명이라고 인정받지 못하구요 (공학에서는 괜찮습니다.).
    수학적 귀납이라고 따로 부르네요. 귀납법이 뭔진 정확히 알고있으니 작성하신 부분은 귀납이 아니라 제가 들어봤으나 정확히 몰랐던 단어인 귀류라고 생각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5 석박사
    작성일
    15.10.30 22:28
    No. 12

    암튼 제대로 알지 못 하고 태클 걸어서 죄송합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