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56 am****
작성
15.10.13 01:46
조회
886

 방금알았는데 아는 사람 이름중에 ‘국정’이 있는데 아까전에 ‘올바른’으로 바꾸셨더라구요.  이것도 뭐 사주팔자나 역학이나 뭐 그런건가요? 헐 세줄이상.. 죄송합니다. 별달리 늘일 것은 없지만  항상 느끼는건 이렇게 사회전반에 광범위하게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사안또한 국민적 동의, 논의를 통한 다양한 의견의 고려없이 일방적으로 진행하는것은 분명히문제가 있어보입니다


Comment ' 6

  • 작성자
    Lv.52 하이텐
    작성일
    15.10.13 01:57
    No. 1

    저도 개명한 이름인데 음... 어린 시절부터 지금까지 정신적으로 힘든 부분이 있었어요... 그래서 개명을 했었는데 어떤 철학관에서는 이름 바꿔보았자 달라지는 건 없다고 하더라구요. 어쨌든 새 이름은 사주에 근거해서 바꾼 것은 맞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올비
    작성일
    15.10.13 02:02
    No. 2

    세줄은 넘으셔야 삭제가 안되죠. 음.. 미래가 기대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맨닢
    작성일
    15.10.13 02:11
    No. 3

    순우리말 이름은 성명학적으로 좋을게 없다고 하던데..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6 다크월넛
    작성일
    15.10.13 10:39
    No. 4

    작명가들이 굶어죽기싫어서 하는 소리가 아닐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5.10.13 11:04
    No. 5

    이름이 혐오감을 줄 수 있는 말로 되어 있지 않는 이상 운이 더 좋고 나쁘고가 있을까 싶네요. 예를 들어 타인이 이름을 듣자마자 인상을 찌푸리는 경우가 대다수라면...개명을 고려해 보아야 하겠죠. 처음 지을 때 그게 운세에 좋다고 해서 듣기는 별로인데 지은 경우가 있다면 바로 개명을 하는게 맞다고 보고, 또한 자신이 이름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다고 해도 개명을 해야죠.

    ...허 댓글을 보다 보니 개명 관련한 내용인줄 알았는데, 다시 읽어보니 아니네요.ㅎㅎ
    그일은 앞으로 한동안 계속 될 문제일 겁니다.

    수백년의 민주주의 역사를 가진 나라들이 오랜 경험을 통해 확립해 둔 좋은 제도는 나몰라라 하고, 선진국들도 채 백년이 되지 않는 경험을 갖고 시행하다 실패했떤 것들은 가져오면서 우리는 가능하다라고 허풍을 치고 있으니 한심할 뿐이죠.

    검정이랑 이야기가 잘 통하지 않으면, 시간을 두고 잘 설득해 나가면서 더 좋게 만들어 나가야지. 뜻대로 안된다고 이름을 국정이로 바꾸는건 참 한심할 뿐이죠.

    우리나라는 수백년의 세월동안 쌓아온 알짜배기 노하우들을 그냥 가치 없이 내버리고 있습니다. 모두는 아니어도 대다수의 경우 절대적으로 좋고 나쁘고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장점과 단점을 감안하여 시대에 맞는 방법을 찾아가게 되는데, 제도자 잘 자리 잡은 나라들이라고 해서 국정이의 장단점을 몰라서 그리 한게 아니라 온갖 진통을 겪으면서 결국 검정으로 자리를 잡았을 것입니다 우리는 안해도 되는 시행착오를 또 겪게 되는 셈이죠. 십년이 지나고 이십년후가 된다고 생각해 보년, 당장은 헬조선이라고들 하지만, 빠르던 늦던 결국 국민들의 의식수준을 조금 더 올라갈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면 결국에는 검정이가 돌아 오겠죠. 당장의 내 이익을 위해 국정이를 불러 들이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할 겁니다.

    20년만 지나도 이번일은 수치스러운 과거가 될 것이며, 30년이 지나서도 여전히 국정을 고집할 수 있을까요. 안해도 되는 혼란을 겪게 하고 있는 것 아닐까요. 우리보다 앞서 민주주의를 겪은 나라들이 비싼 수업료를 내고 정착시켜온 제도를 되풀이 하는 이유를 도데체 할 수 없죠.

    인공을 배제하고 자연을 되살려야 하는 시대적 흐름을 무시하고 강을 헤집었던 경험도 참 뼈아픈 일이었는데, 이번에도 안내도 되는 수업료를 내야 하다니...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화살박치기
    작성일
    15.10.13 12:48
    No. 6

    21세기에 그런거 믿으면 인생 고달파져요. 구석기 시대 토테미즘도 아니고 미신은 걍 무시하셔도 됩니다. 빨간색으로 이름 써도 안 죽는거 알 나이니까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6051 애니와 만화책의 후유증 +10 Lv.60 소요권법 15.10.14 979
226050 요즘 문피아 관리 안하나 보내요 +4 Lv.86 백지 15.10.14 972
226049 학교생활 빠르게 주행 중 입니다.... +8 Lv.19 ForDest 15.10.14 916
226048 역대 최단기간에 갔네요. +13 Lv.91 흑색숫소 15.10.14 886
226047 정치이야기를 정담에서 금하는건 그 결과가 뻔하기 때문... +10 Lv.78 대추토마토 15.10.14 765
226046 소설들에서 경화를 쓰며 교환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걸 보면 +8 Lv.18 터베 15.10.14 867
226045 문피아는 돈을 벌기 위한 공간 +25 Lv.50 한혈 15.10.14 1,010
226044 요새 왜 이렇게 정치얘기들이 많이 보이죠? +14 Lv.63 vapori 15.10.14 798
226043 교통법이 너무한듯.. +11 Lv.55 짱구반바지 15.10.14 653
226042 고소왕도 고소를 당했네요. +10 Lv.8 [이후] 15.10.14 1,114
226041 로드FC ‘제2의 권아솔’ 김승연, 최종 검증은 그래플링? Personacon 윈드윙 15.10.14 670
226040 님의 침묵 - 한용운 +9 Lv.44 키르슈 15.10.14 873
226039 SilverLion(slbook3567)님을 불량이용자로 등재합니다. Personacon 정담지기 15.10.14 1,059
226038 내 머리속은 뒤죽박죽,,,, +3 Lv.80 자등명 15.10.14 617
226037 신인최대어 문성곤, '하승진 부활'의 열쇠 될까 Personacon 윈드윙 15.10.14 730
226036 정치 얘기, 어디서 가능할까요? +20 Lv.51 홍시는감 15.10.13 869
226035 질문입니다 +1 Lv.99 OTlL 15.10.13 663
226034 일주일에 하루씩 투자해서 할만한게 뭐가 있을까요? +16 Lv.1 [탈퇴계정] 15.10.13 994
226033 최근 논란이 된 캣맘 사건을 보며 떠오르는 일 +26 Lv.49 미르네 15.10.13 1,358
226032 호루스의 반지 광고에서 '공자로 다시 태어난'이란 문구 ... +6 Lv.96 강림주의 15.10.13 1,080
226031 질문 이쪄욤 !! +3 Lv.99 미에크 15.10.13 872
226030 어제쯤인가 당일가입아이디로 추천글..이거 본인이삭제한... +10 Lv.1 [탈퇴계정] 15.10.13 838
226029 기사 옆에 수종드는 애들을 뭐라고 하지요? +13 Lv.40 자섬풍 15.10.13 976
226028 ‘태술+명호’ 합쳐서 6.15, 슛없는 가드진의 비애 Personacon 윈드윙 15.10.13 678
226027 컴퓨터 잘 아시는분들 봐주세요~ +19 Lv.57 가네스 15.10.13 890
226026 으아~으아~ Lv.1 [탈퇴계정] 15.10.13 709
226025 허허허... +6 Lv.60 소요권법 15.10.13 659
226024 아이폰 + 문피아 어플 쓰시는 작가분들 계신가요? +6 Personacon 성공(星空) 15.10.13 1,056
226023 시대적 사고방식의 변화, 노랑머리, 남아선호사상 +1 Lv.60 카힌 15.10.13 768
226022 패션에 있어서 양말이 어느 정도 위치인가요? +5 Lv.55 짱구반바지 15.10.13 834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