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51 주술사123
작성
22.03.14 14:16
조회
88

5년제 단임제의 단점은 이미 많이 보셨을거 같아요. 미래를 바라보는 정책 시도해도 정권 바뀌면 다 뒤집거든요. 알다시피 미래형 정책들은 단기적으로 손해 보는 구조가 더 많거든요. 그러다보니 정권들이 단기성 정책만 자꾸 시도하고 특히 포퓰리즘 정책도 많이 한다고 보거든요. 그리고 멀리 보는 정책 시도했다가 단기적으로 끝나면 그건 그냥 돈지랄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하지 않는게 나을 정도죠ㅋㅋㅋ


보수고 진보고 당장 표 받을 수 있고 미래가 어떻게 되든간에 지금 당장 내 정권에서 효과 보는 그런 정책만 자꾸 시도하는건 그 사람들이 다 근시안적인 시야밖에 없는 바보에 이기주의자만 있어서 그런게 아니라 솔직히 5년제 단임제의 구조적인 문제가 크다고 생각해요. 중임제로 가서 역대급 폐급 정권만 아니면 어지간하면 한번 정도는 중임 시켜줘서 정책 이어나가는게 맞지 않나 싶어요. 최소한 8년은 해야 제대로된 정책 평가가 되지 않을까 싶거든요.


지금까지야 먼저 기득권을 차지한 쪽이 몇십년간 다 해먹는 구조여서 중임제 했으면 백프로 독재로 가니깐 안됐지만 지금은 국민들도 많이 배우고 정치에 관심 가지면서 결국 탄핵까지 했지 않습니까? 이번 대선도 투표율이 77퍼나 나오고 한쪽으로 몰빵된 것도 아니고 0.7로 겨우 이긴거 보면 이젠 미국처럼 4년제 중임제 충분히 시도해도 될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여러분들 생각은 어떻습니까? 


Comment ' 8

  • 작성자
    Lv.46 점소이99
    작성일
    22.03.14 14:52
    No. 1

    당장은 불가능하다 봅니다. 독재 정권의 잔재, 그걸 기억하는 사람들이 남아있기도 하고, 안 바꿔도 불편한 게 없다고 느끼는 사람도 많으니까요.
    바꾸려면 개헌을 해야 하는데, 그건 중임제 하나만 놓고 건드릴 사안은 아니라...
    계속 공론화하면서 충분한 논의와 합의를 거친 뒤에야 시도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찬성: 2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51 주술사123
    작성일
    22.03.14 16:28
    No. 2

    그쵸 그런 문제도 있겠네요. 점소이99님 말씀처럼 지금 같은 상황에서 개헌은 쉽지 않은 문제라고 생각해요. 이제부터라도 서로 싸우는데 에너지 낭비하지 말고 이런 문제들을 가지고 건전하게 논의해서 계속 시스템을 발전시켰으면 좋겠어요.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85 고락JS
    작성일
    22.03.14 15:00
    No. 3

    미국도 보통 재선 도전 대통령의 성공률이 높다고 하죠. (현역 프리미엄이라고 하는데,)

    한국은 아마 더 높을 겁니다. (근데 그 현역 프리미엄에는 긍정적인 부분뿐 아니라, 부정적인 부분이 있거든요. 한국이라면 그 부정적인 부분이 훨씬 크겠죠.)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1 주술사123
    작성일
    22.03.14 16:32
    No. 4

    미국은 어지간하면 재선하긴 하더라구요. 역대 대통령들 보니까 재선 성공 못한 사람들은 진짜 문제점이 많은 사람들 밖에 없긴 하더라구요. 한국은 시행한다면 미국과 반대로 현역 프리미엄에 부정적인 요소가 강할지 이것도 궁금하네요. 어떤 요소 때문에 미국과는 다른 양상이 벌어진건지 분석하는 것도 재밌을거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만리독행
    작성일
    22.03.14 17:05
    No. 5

    이명박 10년, 박근혜 10년이 될까 무서워서 반대합니다...

    찬성: 1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51 주술사123
    작성일
    22.03.14 17:10
    No. 6

    개인적으로는 민주당이는 국힘이든 정말 심각한 문제가 있는 대통령이 등장할 경우 두번 째 선거때는 국민들이 충분히 심판할거라 생각하거든요. 하지만 만리독행님의 의견도 어느정도 이해는 갑니다. 아마 진영과 상관없이 비슷한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을거 같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6 검술매니아
    작성일
    22.03.14 21:46
    No. 7

    중임제를 하면 재선까지 첫 임기를 선거운동에만 치중하는 선대위형 대통령만 양산될 것 같아 반대합니다

    찬성: 1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51 주술사123
    작성일
    22.03.14 21:52
    No. 8

    그쵸 그런 문제점도 있긴 하죠. 실제로 중임제 하는 나라들 보면 첫임기 내내 그러긴 하더라구요.

    찬성: 1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1732 신인 작가 첫작품이 재밌으면 +2 Lv.94 dlfrrl 22.03.27 172
251731 옮길만한 사이트 있나요? +3 Lv.99 땅콩서리꾼 22.03.27 129
251730 선동 잘 당하는 사고방식은 이렇습니다. +20 Lv.7 [탈퇴계정] 22.03.27 177
251729 거르는 헌터물. +5 Lv.58 dl******.. 22.03.27 136
251728 근데 여기 정치얘기 써도 되는 곳인가요? +9 Lv.82 불난닭둘기 22.03.27 111
251727 요즘 제목들 왜 다 비슷함? +6 Lv.45 hjh0859 22.03.26 98
251726 재밌는 글 추천 좀 해주세요 +6 Lv.57 도린 22.03.26 93
251725 역시 대세의 힘인가 +1 Lv.72 천극V 22.03.26 132
251724 요즘 몇가지의 장르소설을 보면서 생긴 개인적인 궁금증 +9 Lv.55 n6******.. 22.03.26 147
251723 글 수준 ㄹㅇ.. Lv.99 [탈퇴계정] 22.03.26 112
251722 제목이 기억 안 납니다 도와주세요 +1 Lv.71 치킨외1명 22.03.26 80
251721 딱 보아도 남자가 그리 원하는 여가부 이름은 삭제하되 +3 Lv.8 남협男俠 22.03.25 110
251720 문피아 초창기부터 보던 독자인데.. +3 Lv.65 이루어져 22.03.25 167
251719 심리학자 교수가 말하는 진보와 보수의 차이. +5 Lv.51 주술사123 22.03.25 163
251718 이제는 소설 주인공들이 다 이혼당하네요 +6 Lv.77 우와와왕 22.03.25 191
251717 골드게이지 대여권 +8 Lv.83 n6******.. 22.03.24 112
251716 대청소했습니다.(쪽팔림 주의;;) +1 Lv.25 시우(始友) 22.03.24 116
251715 다이어트의 최대 난적은 귀찮음과 게으름이다. +7 Lv.63 구경꾼이야 22.03.24 81
251714 바둑관련 소설 추천부탁드립니다 +9 Lv.76 행복한봄 22.03.24 142
251713 문피아에 진정 고마움을 느끼며~ +2 Lv.21 [탈퇴계정] 22.03.24 227
251712 동시에 두작품 집필 관련 +7 Lv.41 의향도 22.03.23 184
251711 유료전환 불가 이유가 왜 내부규정에서 밝히질 못하게 ... +8 Lv.15 싸블이2 22.03.23 294
251710 문피아 일 안하나 +4 Lv.8 금마왕 22.03.22 208
251709 나만 그렇게 생각하는가? +9 Lv.99 동막 22.03.22 180
251708 프로틴쉐이크 추천받습니다 +5 Lv.75 피노키오00 22.03.22 60
251707 끝까지 발목잡는 민주당 +12 Lv.53 rl******.. 22.03.22 245
251706 현대판타지 회귀물인대 제목이 생각안나네요 고수님들 도... Lv.81 flower용 22.03.22 103
251705 치킨헤드.. Lv.63 구경꾼이야 22.03.21 108
251704 추천글을 쓰면서 +3 Lv.71 어쩌다빌런 22.03.21 143
251703 락밴드 음악 소설 제목좀 알려주세요 Lv.83 데이사스 22.03.21 88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