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Comment ' 9

  • 작성자
    Lv.99 이통천
    작성일
    15.08.14 08:59
    No. 1

    으아아앙. 리얼은 싫어. 납득하는 내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적안왕
    작성일
    15.08.14 09:43
    No. 2

    리얼은 역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0 po*****
    작성일
    15.08.14 10:19
    No. 3

    재미있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르와인
    작성일
    15.08.14 11:36
    No. 4

    현대에 다마스커스강이 인기 있는 이유는 패턴의 아름다움 때문이지 기능성 때문이 아니죠.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1 가글님
    작성일
    15.08.14 13:07
    No. 5

    참고로 다마스커스 강에 들어있다는 탄소 나노 튜브는 아지도 일부 존재하는 비법서 보면 인도 어떤 나무의 재를 집어 넣는다고 나오는데 그 들어간 목재 성분이 제철과정에서 일부가 나노튜브형태로 된거지 특별한 의미는 없다고 하더군요. 전문가들이 분석 결과 강철의 성능에 아무 의미없다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8 터베
    작성일
    15.08.14 13:25
    No. 6

    제가 본문에 올려다싶이 걍 탄소기반의 무언가가 들어가면 생길수도 있죠 뭐.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1 가글님
    작성일
    15.08.14 13:10
    No. 7

    참고로 다마스커스강의 우수함과 그 특유의 아름다운 무늬는 우츠강에서만 나오는 철에만 포함된
    바나듐, 몰리브덴과 같은 철과 같이 희귀 탄화물이 특유의 제련법과 합쳐져서 우연히 나온거지
    무슨 고대의 신비로운 기술 이런건 아닙니다. 현대제철로도 충분히 더 좋은 무늬와 성능의 다마스커스강 만드는게 가능합니다. 돈이 많이 들어서 그렇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8 터베
    작성일
    15.08.14 13:29
    No. 8

    바나듐이나 몰리브덴같은 희귀원소도 필요 없습니다.
    걍 대충 자건거 체인, 볼베어링, 쇠사슬같이 각 물성이나 구성물질 비율이 다른 철들이랑 사철 섞어다가 녹여서 날붙이 만들고 열처리하고 산성물질로 에칭 처리하기만 해도 대충 무늬 나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08.14 18:37
    No. 9

    요즘은 동네철물점에서 신검을 뽑아내는 수준이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