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작성자
Lv.99 온달곰
작성
09.01.07 23:23
조회
869

방금 마하님의 괴걸독보를 봤는데,

거기서 잔상을 남기고 움직이는 장면이 나오더라고요.

문득 의문이 들었습니다.

눈은 아날로그로 연속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데,

단련된 고수의 눈에 잔상이 남을 정도로 움직이려면, 물리적으로 어느 속도로 움직여야 하는가? 하는 궁금증이 말이죠.

일단 영화나 게임등에서는 초당 24~60프레임을 씁니다.

그리고 정확히는 아니지만, 인간은 그 미세한 프레임 차이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버츄얼파이터의 고수들은 1-2프레임 차이로 캔슬 타격기를 쓰는 사람도 있다고 하니, 인간의 뇌와 눈은 제법 뛰어난 기능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차라리 눈동자가 움직이는 속도를 뛰어넘는 움직임이라던가, 맹점, 사각 등을 활용해서 아예 일시적으로 시야 밖으로 벗어나는건 어느 정도 가능할 법도 같은데,

소설에 묘사된 정도로 고수에게 인위적인 '잔상'을 남기려면 도대체 순간속력이 어느 정도나 되야 하는걸까요?


Comment ' 39

  • 작성자
    Lv.83 AuEagle
    작성일
    09.01.07 23:25
    No. 1

    라기 보다는 착시 같은 것을 유도하는 움직임이 아닐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7 강검
    작성일
    09.01.07 23:28
    No. 2

    잔상... 음속정도면 되지 않을까요?
    1마하~2마하?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2 포필
    작성일
    09.01.07 23:29
    No. 3

    그정도로 움직이면 소닉붐....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1 雪雨風雲
    작성일
    09.01.07 23:29
    No. 4

    잔상이 남는 것을 이형환위라고 합니다.
    경공의 최고 경지를 말하는 것들 중에 하나입니다.
    쉽게 말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소리보다 빠른 마하로 날아가는 전투기도 잔상이 남지 않으니 뭐 --a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7 강검
    작성일
    09.01.07 23:29
    No. 5

    아하,,마하로 날아가는 전투기도 안되는구나...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탈퇴계정]
    작성일
    09.01.07 23:30
    No. 6

    애초에 피사체의 속도와 잔상은 관련 없지요..

    굳이 따지자면 상대 물체의 밝기가 크게 관련 있겠습니다만..
    아무리 빨리 움직인다고 해도 그냥 사라진 것으로 보이지 잔상이 남진 않습니다. 눈은 생각보다 갱신이 빠르거든요. 물론 무척이나 밝았다면 빛의 잔상이 남을 거긴 합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09.01.07 23:31
    No. 7

    악기 연주하는 사람들 중 드럼치는 사람들이 스틱을 휘두르는 것을
    보면 잔상을 보기 쉽습니다.
    그렇다고 스틱의 속도가 공기를 찢고 할 정도는 아니니
    마하 까지는 안 될것 같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별과이름
    작성일
    09.01.07 23:31
    No. 8

    슝! 숑! 슝!
    잔상을 남기도 맞으면 쪽팔리죠. [쓸떼없는 이야기는 저 멀리.]
    잔상을 남기려면 빛의 속도를 따라잡아야 되지않을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1 조아무개
    작성일
    09.01.07 23:33
    No. 9

    불껐다켰다 하면 잔상남는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탈퇴계정]
    작성일
    09.01.07 23:33
    No. 10

    uk4/

    그건 잔상은 잔상인데 여기서 말한 잔상과 조금 다른..
    기다란 막대기 때문에 생기는 눈의 반응속도 차이가 어쩌구 저쩌구,..

    그 외, 연필이나 컴퓨터용 사인펜 잘 흔들면 휘어진 것처럼 보이죠?
    그것과 비슷한 원리에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1 조아무개
    작성일
    09.01.07 23:33
    No. 11

    펜이 휜것처럼 보이도록 막 흔들때도 잔상같은거 보이지 않나요?
    속도보다는 다른것과 상관있는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김기범
    작성일
    09.01.07 23:34
    No. 12

    =ㅁ= 잔상을 남기려면 카메라의 노출을 줄이고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하면 됍니다!!!<퍽(....) 글쎄요;;;... 손가락을 빨리움직이면 어느정도 잔상이 남으니까.. 이정도 속도 아닐까요.. ㄷㄷㄷ; 몸이 움직이는거니 힘들수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탈퇴계정]
    작성일
    09.01.07 23:36
    No. 13

    여튼 사람의 온전한 눈으로 사람 크기의 물체가 잔상이 남게 하려면 '불가능' 합니다아.. 빠르든 늦든 잔상이라고는 아주 작은 말그대로 1/30 프레임 정도로 잠깐 나타나지 '남진' 않거든요.

    잔상은 '빛'에 관련이 아-주 깊습니다.
    속도는 그 다음의 문제에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2 포필
    작성일
    09.01.07 23:37
    No. 14

    근데 그 잔상이라는게 한순간만 살짝 보이고 그뒤엔 안보이는걸 말하는거죠?

    잔상이 계속 쭈욱~ 이어져서 다가오는게 보이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SbarH
    작성일
    09.01.07 23:39
    No. 15

    잔상은 빨리 움직이는것보다는 보는사람 눈이 좋아야하지 않을까요......손을 쳐다보면서 손을 옆으로 빠르게 치우면 0.01초?<보이나...그정도 잔상이 남더라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alsrb9434
    작성일
    09.01.07 23:39
    No. 16

    궁신탄영 보면 공기가 팡 터진다라는 말이 있다는데..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김기범
    작성일
    09.01.07 23:39
    No. 17

    =ㅅ= 그냥 예상해보는건데 영화 자체가 프레임이 바뀌면서 남는 잔상을 이용해서 사람들에게 움직이는 사진을 보여주는건데.. 1초에 24프레임을 돌리는 스피드가 정답! 아닐까요 ㅋㅋ =ㅅ=; 에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온달곰
    작성일
    09.01.07 23:40
    No. 18

    그렇군요.

    하긴.. 손이나 펜을 흔들어서 잔상을 남는건 형광등 빛 아래에서나 가능하지, 태양빛 아래서는 불가능하죠.

    속도보다는 빛이라...

    그렇다면 대체로 무협에서는 이형환위가 빠른 속도에 의해 형성되는 잔상으로 묘사되는데, 사실상은 빛을 이용한 속임수에 더 가깝겠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SbarH
    작성일
    09.01.07 23:41
    No. 19

    아... 그리고 tv같은곳이나 밤이나 그때 손가락을 펴고 막 손을 흔들면 잔상(?)이 오래 남는덕분에 조건만 맞으면 12지공(? 손가락이 한 그정도로 보이던데...)사용이 가능하더라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SbarH
    작성일
    09.01.07 23:42
    No. 20

    이형환위가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거라면 사용가능자들은 최소 호신강기나 금강불괴정도는 켜주고 시전해야한다고 봅니다...순간이지만 음속~광속을 몸이 견딜수있을까요....근데 혼자 덧글을 3개달아버리네요 ; 이거 이래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김기절
    작성일
    09.01.07 23:45
    No. 21

    손가락 하나 이리저리 휙휙 움직이면 그것도 잔상이 일어나죠
    대여섯개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5 속눈썹
    작성일
    09.01.07 23:46
    No. 22

    그러니까 일반적으로 인간의 눈에 잔상이 남는 시간은 0.05초 정도이니.
    잔상으로 이동한 거리가 7m 정도라고 하면, 초속 200미터, 시속 720km.
    거의 눈에 보이지 않는 환상적인 속도로 달려야합니다. 거기다가 저정도 속력을 내려면 잔상을 남기는 사람의 다리 굵기는 그리스 아테네 신전 기둥마냥 굵어야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것만이 아닙니다. 대충 계산해봐도 매초 1억2천만줄, 16만마력이 필요한데 이런 힘을 낼 정도이면 잔상을 남길 정도로 빛의 속도로 달리는 사람은 매초 약 1kg정도의 칼로리를 공급받아야합니다. 그리고 약 1분도 안 되어서는 바로 화장실로 가야합니다. 칼로리를 그정도로 먹었으니 나오는 것이 있어야죠.

    거기다가 공기저항은 거의 600kg. 이런 미친 힘을 받으면 살갗은 홀라당 타버립니다. 아니 살갗이 타기도 전에 공기저항으로 보통의 인간의 몸으로는 뼈와 살이 분리되는 것입니다.

    고수? 그딴 거 없습니다. 이런 간단한 잔상을 남기면서 이동할 수 있으면 들이받는 것만으로도 들이받은 놈이나 받힌 놈이나 전부다 골로 갑니다.오, 이런. 무협에서 나오는 무공따위들은 저리가라군요. 잔상을 내며 들이받는 단순한 포켓몬스터스러운 공격으로도 무림재패가 가능한 것입니다.

    ..라는 결과가 나오는 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노솜
    작성일
    09.01.07 23:46
    No. 23

    잔상을 빛이 결정한다면...
    이형환위는 이제 실내에서나 통용되겠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속눈썹
    작성일
    09.01.07 23:47
    No. 24

    물론 정확하지는 않지만, 인간의 몸을 기준으로 한다면입니다. 그리고 저 계산은 제가 한 것은 아닙니다. 제가 계산한 것이라고는 살갗이 타버리는 정도의 온도 200~300도 정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검뎅이
    작성일
    09.01.07 23:50
    No. 25

    제가 아는 대부분의 소설에서의 이형환위는 [본신의 형체 그대로 기를 남겨두고 이동을 하면 그 자리에 남아있는 기가 본신의 형체 그대로 남아잇기 때문에 그게 잔상처럼 보인다] 라는 설정을 사용했던걸로 기억합니다. [기]라는 매개체가 없으면 그냥 속도만으로는 잔상을 남기기가... 음... 윗분들 말씀대로 불가능하겠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09.01.07 23:54
    No. 26

    정리가 안되서 메모장에 리플달 글을 적고 있었는데 R시야님이 제가 하고 싶은 말을 다해주시네요 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눈길
    작성일
    09.01.07 23:55
    No. 27

    클수록 잔상이 안남는것 같던데...

    빛보다 빠르게 움직이면 남지 않을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탈퇴계정]
    작성일
    09.01.08 00:00
    No. 28

    근데 정말 과학적으로 따져서 순간적으로 잔상이 남을 정도로 움직일 수 있고(즉, 짧은시간에 시야 이탈이 가능한 속도) 그것을 견딜만한 내구력을 지닌 몸이라면,

    애초에 싸울때 피할 필요가 없을 것 같군요.

    0의 속도에서 잔상을 위해 수백~수천 km/s 의 속도를 낸다면 순간 가속도가 엄청나게 커지고 F=ma 라는 거시적으로 잘 들어맞는 공식에 의해 꽤나 강한 힘이 하중되죠.

    '순간' 이기 때문입니다. 충격량은 힘이 작용한 시간과 관련이 되니까요.

    애초에 이런 힘을 견딜 수 있는 내구도의 몸이라면 굳이 피할 필요성도 없을것 같고, 상대편도 이만한 힘과 내구도를 지녔다면 -_-;
    이건뭐 우주괴수대항전이겠군요.

    즉, 자신보다 약한 상대라면 이형환위를 사용할 이유가 '없다' 가 되겠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3 야채별
    작성일
    09.01.08 00:01
    No. 29

    속도라기보다는 순간속력과 눈의 착시가 열쇠 아닐까요?
    아무리 빨리 움직이는 물체라도 실제로 잔상이 남을거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그 정도라면 이미 물리법칙을 뛰어 넘었겠죠;
    사람의 눈의 기능 이상으로 갑자기 움직이면 눈이 착시를 일으킬 수 있겠죠. 초음속으로 움직이는 전투기에도 잔상은 남지 않습니다만...
    멈춰있다가 갑자기 빠른 속도로 움직인다면 사람의 눈에 착시를 일으킬 수 있겠죠. 멈춰있다가 움직이고.. 그러다가 다시 갑자기 멈췄다가 다시 움직이는 것을 반복하면 사람의 눈에는 잔상이 여러개 남은 걸로 보일 겁니다. 음속 정도의 속도가 아니더라도 잔상은 남을 것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우삐띄뻬
    작성일
    09.01.08 00:02
    No. 30

    보는 사람이 눈을 살짝 감고 보면 잔상이 남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목련과수련
    작성일
    09.01.08 00:06
    No. 31

    그렇게 빠른 속도와 관계없이 잔상을 남길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색에 의한 보색잔상인데요.
    빨간색을 오래~~보다가 청록색을 보면 빨간색의 형이 남는 그런 잔상을
    보색잔상이라고 하는데 이는
    색에 의한 트릭으로 잔상을 남길수 있겠지요.
    보통..추리소설에서 가끔씩 써먹는 수법인데....

    무협이라면 색을 이용한 진법입네 뭐네..하면서 대충 그까이거 크게 과장시켜서 써먹으면 쓸수있겠지요.
    인지시각차이에 의한 잔상효과는 자연광아래서 하려면
    정지 급빠르게 움직이다 급 관성을 무시하면서 정지를 같은구간을 계속 왔다갔다 하거나 삥삥돈다거나를 해야 할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2 포필
    작성일
    09.01.08 00:08
    No. 32

    이런건 네이버지식인이라든가 물리학전공하는 까페에 물어보셔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반익
    작성일
    09.01.08 00:08
    No. 33

    결국 무림은 괴수들이 서식처인가요 ㄷㄷ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무의식
    작성일
    09.01.08 00:35
    No. 34

    잔상을 남기는건 슈퍼맨과 슈퍼소년앤드류 그리고 플래쉬맨 정도 생각나는군요.
    물론 아시겠지만 속도는 무지 빠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라후드
    작성일
    09.01.08 01:26
    No. 35

    예전 공상비과학대전이라는 저서에서 본 기억이 대충 흐릿하지만 나는군요.그 분신술이라든가 해서 잔상을 남기게 하는 방식으로 해서 약 반지름 몇미터에 걸쳐 8개인가의 분신을 남길때에는 마하8이었던가 18이었던가 대충 그정도 속도로 움직여야하며 중간중간 멈춰 설수 있는 능력에다가 엄청난 집중력을 필요한다고 서술이 되어있던게 기억이 나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랑사이콩
    작성일
    09.01.08 04:48
    No. 36

    말그대로 캐소리예열,
    잔상만 남나요..
    잔상을 베는 촉감까지 남잖아요.
    그냥 그러려니...=ㅅ=..;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09.01.08 05:31
    No. 37

    랑사이콩님// 말에 대공감. 하하. 캐소리 라는 한마디로 정리되는군요.
    그렇죠. 아무리 봐도 이건 소설일뿐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7 김트라이
    작성일
    09.01.08 13:47
    No. 38

    그러니까. 헬리콥터 날개 속도일껍니다.
    예전 소설에서 봤는데 헬리콥터 날개가 회전하면서 잔상을 남기더라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8 Ca현천
    작성일
    09.01.09 19:38
    No. 39

    공상비과학대전이라는 책 구해서 읽어보시길....거기서 분신술 찾아보면 잔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줄겁니다 ㅇㅅㅇ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92549 요청 이거 표절인가요?? +17 Lv.1 빵또끼랑동 09.01.07 1,301 0
92548 요청 역설 +10 Lv.81 디메이져 09.01.07 420 0
92547 요청 숫자에 관한 쓸대 없는 한담. +16 Lv.27 강검 09.01.07 408 0
92546 요청 이 소설 제목 아시는분 ~ +5 Lv.1 Super-Du.. 09.01.07 357 0
92545 요청 읽을만한 소설을 찾는데요... +11 Lv.28 레어털기 09.01.07 373 0
92544 요청 한 며칠 시간 있어서 빠져 볼만한 소설 찾습니다. +16 Lv.2 흑천대제 09.01.07 716 0
92543 요청 제목구걸 하나더~!!!!! +5 Lv.1 삼국무쌍N 09.01.07 418 0
92542 추천 신, 아니 악마가 준 또 한번의 기회! +12 Lv.83 AuEagle 09.01.07 1,092 0
92541 요청 제목구걸입니다;;; +3 Lv.1 삼국무쌍N 09.01.07 809 0
92540 요청 학원물 추천부탁드려요! +8 Lv.6 블루스타 09.01.07 764 0
92539 추천 발자크 그대의 욕망에 경의를~!!! +3 Lv.33 세월 09.01.07 1,086 0
92538 한담 문득 미디어 다음을 보고... +4 Lv.8 목련과수련 09.01.07 379 0
92537 요청 이 책들 어떤지 평가좀 +6 Lv.1 레미테온 09.01.07 679 0
92536 요청 뮤천 책에 관해서. Lv.3 ma**** 09.01.07 416 0
92535 요청 이런 소설 없나요?? +3 Lv.32 냥이랑 09.01.07 184 0
92534 요청 후우... 이중에 어떤 소설이 가장 괜찮습니까? +65 Lv.1 백마르따 09.01.07 768 0
92533 요청 데로드앤데블랑을 읽으려고 하는데.. +38 Lv.1 백마르따 09.01.07 679 0
92532 추천 [신작]태제님의 패왕카빌론 강추!*_* <판타지> +6 Lv.1 별이왔숑 09.01.07 595 0
92531 요청 동천.....완결났나요..? +15 Lv.38 각법 09.01.07 1,388 0
92530 요청 비전투계열 소설좀 추천해주세요! +8 Lv.73 Sophism 09.01.07 489 0
92529 요청 제목이 기억이 안나요. 도와주세요. +6 Lv.99 mj4359 09.01.07 329 0
92528 요청 보면서 신나게 웃을수 있는 작품 부탁드려요! +11 FreeLove 09.01.07 630 0
92527 추천 미래SF판타지작?- 장르를 모르겠는 소설(맞춰보시... +1 Lv.35 연천 09.01.07 850 0
92526 요청 제목 알려주세요 +3 Lv.61 모적 09.01.07 271 0
92525 요청 고수님들의 추천을 바랍니다 +12 Lv.13 bisas 09.01.07 657 0
92524 알림 수능마스터가 출판되게 되었습니다. +27 Lv.57 갈고리곰 09.01.07 1,323 0
92523 홍보 강호질풍록(江湖疾風錄) 연재중입니다. Lv.1 라이플 09.01.07 556 0
92522 요청 주옥같이 빛나는 소설들 추천좀 부탁드려요.. +16 Lv.67 아페치데스 09.01.07 748 0
92521 요청 소설 제목이 기억이 안나네요.. +1 Lv.86 김사야 09.01.07 331 0
92520 추천 카이첼님의 잃어버린이름 추천합니다. +11 Lv.64 샤이나크 09.01.07 1,119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