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작가가 자기 글을 대하는 태도

작성자
Lv.92 여덟시간
작성
10.12.07 02:10
조회
1,097

안녕하십니까. 내세울 점이라고는 문피아 가입일 밖에 없는 9년차 문피즌이자 글쟁이 지망생입니다. 그동안 댓글을 작성한 적은 몇 번 있었지만 글을 작성한 적은 없었는데, 첫 글이 이런 물건이 되어버려서 유감입니다.

저는 중학교를 다닐 무렵부터 하이텔 시리얼-무림동, 나우누리 S/F 게시판에서 판타지 소설, 무협 소설을 읽었고 언젠가는 저 자신도 그것을 쓰고 싶다고 꿈꿨습니다. 물론 쉽지 않았습니다. 조금 끄적대다가 펜을 놓기 일쑤였지요. 그리고 시간이 많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저는 중학교, 고등학교를 마쳤고 군대도 다녀왔고, 이제 대학도 1년 더 다니면 졸업입니다. 거짓말을 약간 보태서 말씀드리자면 군대에 있던 기간을 제외하고는 단 하루도 문피아에 들리지 않은 날이 없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시련과 사건을 겪고 사람을 만나면서, 저 자신이 어째서 글을 쓰고 싶어 하는지 이제야 깨달았습니다. 얼마 되지 않았지요. 물론 저 같은 사람이 어떻게 살고 있든 여러분들께는 그다지 중요한 일이 아니라는 사실은 잘 알고 있습니다. 문피아에서는 작가와 글, 그리고 독자 여러분들이 중요하겠지요.

예전에 만화책을 읽는 모습을 보면 어른들이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런 거 읽지 마라. 머리 나빠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만화책을 읽지 못하게 하거나, 심지어는 내다 버리는 분도 계셨겠지요. 문피즌 분들도 이러한 경험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면 묻겠습니다. 만화책이라는 물건은 어떤 물건입니까? 청소년에게 유해한 타파대상입니까? 아니면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입맛에 맞는 신선한 매체일 뿐입니까? 아마도 여기에 대해서 진지하게 대화를 하면 싸움나기 십상이겠지요. 온갖 주장과 예시가 오가는 통에 제대로 대화가 이루어지지도 않을 겁니다. 그런데 여러분 이것 아십니까? 부모님들께서 아이에게 “책을 읽어라. 책 좀 읽어라.” 하시겠지요. 우리나라 부모님들 중에서 아이가 읽을 책을 사주는 데 돈을 아까워하는 분 안 계십니다. 제가 어렸을 적에도 부모님께서는 동화, 위인전기, 과학백과사전 많이도 사주셨습니다. 그리고 소설책도 사주셨습니다. 소설이요? 정말 옛날에는 이런 것 읽으면 혼났습니다. “읽어라, 읽어라” 하는 소설이 문학은커녕 불쏘시개 취급받는 시절이 분명 있었습니다. 아주 옛날이라서 실감이 안 될 뿐입니다.

그러면 다시 묻겠습니다. 만화책이라는 물건은 어떤 물건입니까? 그리고 통칭 ‘장르소설’이라고 부르는 물건은 어떤 물건입니까?

세상에 저절로 그렇게 된 것이 몇이나 있겠습니까. 오늘날 여기저기에서 쉴 세 없이 떠들어대고 응용되는 심리학이 학문으로써 본격적으로 연구된 지가 불과 100년이 되지 않았습니다. 다시, 소설이요? 끊임없이 정진하는 작가가 글을 쓰고, 양식 있는 독자가 글을 읽고, 제책기술이 발달해서 현실적으로 누구나 책을 접할 수 있게 되기까지, 사람들 사이에서 소설이 소설로써 인정받기까지 과연 어느 정도의 시일과 역사가 있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영화는요? 노래는요? 이것들은 어떤 물건입니까? 배우와 가수는 어떤 사람입니까?

어떤 사람이지요?

이것을 어느 개인이 단번에 정하지는 않았습니다. 오랜 기간 동안 쌓이고 쌓여서 이룩한 것들입니다. 그리고 작가가 자기 글을 소홀히 대하고, 독자가 아무 글이나 아무렇게나 읽고, 그것을 예의바르게 지적하는 사람이 무뢰한으로 몰린다면 언제까지고 변화는 없을 것입니다.

다시 제 얘기를 조금 하겠습니다. 저는 여태 습작만 하고 있을 뿐 정말로 제대로 되었다 자신할 수 있는 글은 아직 쓰지 못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작가로서 인정받는 나이대가 어느 정도인가 고려하면 아직 초조해하기는 이르다는 생각도 하지만, 역시 조바심이 납니다. 습작을 하면 형편없다는 사실을 스스로 알고 있으면서도 한시라도 빨리 남에게 보이고 싶습니다. 그리고 두들겨 맞지요. 한숨 푹 쉬고 다시 펜을 잡습니다. 정말 천재들은 20살 무렵부터 명작을 쏟아낼 수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저한테는 다른 세상 얘기입니다. 계속 열심히 쓸 수밖에 없지요.

그렇게 꼴에 나름대로 진지하게 글을 쓰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글을 쓰는 모든 사람이 이런 식으로 허울 좋은 이상을 꿈꾸지는 않을 겁니다. 당장 글을 쓰는 것이 즐겁고, 그것을 남에게 보이는 것이 즐겁고, 단지 그 이유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누가 나쁘겠습니까. 나쁘다면 돈 된다며 무슨 글이든 닥치는 대로 출판하고 보는 저질 출판사와, 허술한 태도로 글을 쓰면서도 희희낙락하는 저질 작가, 그리고 그런 저질 소설이 계속 출판될 수 있는 기반을 알게 모르게 만들어주는 저질 독자가 나쁘겠지요. 하지만 그보다 더 나쁜 사람은 자신이 저질이라는 사실을 부정하는 사람입니다. 제가 ‘저질’이라는 단어를 썼다고 분노하지 마십시오. 지금 저질이라도 노력해서 양질로 바꾸면 됩니다. 세상 천지에 날 때부터 잘난 사람이 어디 있습니까. 자신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발전이 없습니다. 아니면 설마, 지금 ‘판타지, 무협’이라는 이름을 달고 유통되고 있는 소설들 대다수가 질적으로 훌륭한 작품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십니까?

지금 이대로라면, 장르소설은 앞으로도 그냥 장르소설입니다. 언제까지고 그냥 장르소설입니다. 한두 사람이 용을 써봤자 소용없을 겁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라는 거냐고 물으셔도, 저는 딱히 대답해드릴 말이 없습니다. 저는 지금 글쟁이 지망생이니까 꽁무니에 붙은 지망생이라는 말을 떼어내기 위해 정진할 것이고, 그 다음부터도 계속 그렇게 글을 쓸 겁니다.

그동안 문피아에서 왜 발생하는지 이해하지 못할 논쟁이 발생하는 모습을 여러 번 봤습니다. 작가가 자기 글을 성심성의껏 대하고 있다면 결코 발생하지 않았을 논쟁이 몇 있었습니다. 이런 일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되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글쎄요. 그러한 작가를 독자들이 과연 언제까지 용인할지 의문이 듭니다. 요즘 독자들 입맛이 제법 까다롭거든요. 도태되고 싶지 않으면 작가 스스로 노력해야겠지요. 그리고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당연히 진통이 수반될 겁니다. 그런 과정을 겪으면서 정진하는 작가에 더불어 비로소 양식 있는 독자의 역할이 중요시되겠지요. 그리고 이 둘의 사이에 계신 분들의 노고 또한 마땅히 존중되어야 합니다.

앞으로도 문피아가 문우(文友)들에게 건필(健筆)을, 독자들에게 감사를 드릴 수 있는 곳으로 남아주었으면 좋겠습니다.


Comment ' 13

  • 작성자
    Lv.99 천백랑
    작성일
    10.12.07 03:00
    No. 1

    좋은 글 보고 갑니다.
    아, 그리고 이 글을 보고 있으니 자혼님의 습작이 보고 싶네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나셰미루
    작성일
    10.12.07 03:01
    No. 2

    좋은 글이네요...
    솔직히 만화책은 심각한 유해대상이 아닙니다.
    장르소설 역시 유해하지 않고요.
    저는 주변에서도 책벌레라고 소문 났는데
    그전에 저는 만화책밖에 않읽었습니다.
    처음부터 소설책 읽으라고 하면 백이면 백
    책에 흥미 떨어집니다. 어렸을 땐 동화
    그 다음에는 만화로 시작해야하는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나셰미루
    작성일
    10.12.07 03:03
    No. 3

    아! 그리고 저는 제 글을 쓰레기처럼 대합니다.
    남들 보이기에도 부끄러운 글
    그래야지 자만심을 막고 이걸 재활용품으로 만들자 하고
    더 열심히 쓰게 되거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초혼(草魂)
    작성일
    10.12.07 03:06
    No. 4

    좋은 글 읽고 갑니다 ^^
    정말 좋은 글 쓰실 것 같습니다. 만약 연재하신다면 꼭 보러 달려가겠습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쌀겨
    작성일
    10.12.07 03:08
    No. 5

    좋은 글 보고갑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체셔냐옹
    작성일
    10.12.07 10:13
    No. 6

    아, 감동해버렸습니다. 저도 노력하지요.
    좋은 글 보고갑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맨닢
    작성일
    10.12.07 10:25
    No. 7

    미르넨님..그레도 쓰레기는 너무하군요..
    자신감은 아니더라도.. 그정도면 넘치는 애정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문라이더
    작성일
    10.12.07 11:07
    No. 8

    일부 유해한 만화 및 소설이 전체 만화 및 해당 장르 소설을 그렇게 보게 만드는 겁니다.

    부모님 세대 만화책은 미성년자가 보기에 맞지 않는 성인 만화가 다수를 차지하던 시대 입니다.
    지금 양판소는 어떤가요? 19금 딱지가 붙어서 나오지는 않지만,
    가치관 성립이 되지 않은 미성년자가 보기에 맞는 내용은 그다지 없습니다. 때리고 부수고 살인강간을 해도 주인공을 정당화 시킵니다.
    심지어 선보다 악이 정보다 사, 마가 좋은 것이라는 잘못된 가치관을 주입시키는 소설도 많이 있더군요.
    역사관련 소설의 경우 잘못된 지식을 전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실제 역사고증은 기왓장 한장이라도 틀리면 다른 것이 되어야 정상입니다.(관련 업무를 처리하다 보니 알게 되더군요. 정말 기왓장 한장차이로 다시 만들어야 했습니다.)

    좀더 어른이 되어 보면 장르소설도 애들이 봐서는 안될 이유가 수도없이 많이 보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82 다훈
    작성일
    10.12.07 12:01
    No. 9

    정치가 욕하지만, 그 정치가 수준은 국민이 정하는 것입니다.

    작가와 작품 수준은 독자가 정하는 겁니다.

    지금 대여점에 잘 팔리는 작품 수준이 상당히 낮다면 그건 대여점 이용하는 독자 수준이 그렇기 때문입니다.

    원인을 알면 대책이 나오는데 대책이 있습니까?
    (한국교육문제 가장 중요한 원인은, 대충 아니 아주 잘 분석되어 있습니다만.......)

    - 이 글은 특정인에게 시비 거는 글은 절대 아니라고 말씀드립니다. -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침몰
    작성일
    10.12.07 13:34
    No. 10

    좀 엉뚱한 내용입니다만... 저희 부모님은 책 읽지 말라고 하셔요. 사는건 절대 안되고, 빌리지도 말고, 도서관 가서 읽는 것도 못하게 하시죠. 그래도 전 꾸역꾸역 이러고 살고 있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수색영장
    작성일
    10.12.07 15:03
    No. 11

    좋은 글이네요.

    솔직히 아무리 좋은 글이라도 이거 하나로는
    별로 바뀌는 게 없겠지만
    이런 글이 많이 올라오고 보는 사람이 많아진다면...

    조금씩이나마 사람들이 바뀌어간다면
    언젠가는 대부분 바뀌겠죠.

    이런 종류의 글을 볼 때마다 생각합니다.
    이런 글은 많이 올라와야 한다고 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5 29일
    작성일
    10.12.07 17:54
    No. 12

    폭풍우가 다 지나간건가... 란 생각을 하던차에 좋은 글을 보게 되네요^^
    좋은 글 쓰시게 되는 그날 까지 화이팅^^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transistor
    작성일
    10.12.08 00:16
    No. 13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13674 홍보 <아이엠지> -作者 秀作 +7 Lv.58 수라백 10.12.06 615 0
113673 한담 우리 두 개의 '센스' 만 가져 봐요! +11 웃는팬더 10.12.06 999 0
113672 한담 저도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7 Lv.37 크네르 10.12.06 684 0
113671 추천 [무협-신천옹]왜 어째서 이런 글이 조회수가 이리 ... +9 Lv.52 박무광 10.12.06 1,930 0
113670 홍보 [퓨전]로드무비풍 어드벤쳐 "절대자" Lv.1 [탈퇴계정] 10.12.06 858 0
113669 요청 제 입맛이 높아졌는지.... 요새들어 소설들 괜찮은... +12 Lv.4 김생백궁 10.12.06 1,202 0
113668 요청 밀리터리물 추천해주세요~ +2 Lv.50 울새 10.12.06 1,842 0
113667 추천 S.F수작! "The Origin 서" 추천합니다. +5 Lv.84 시공의틈 10.12.06 1,809 0
113666 요청 독공이 나오는 판타지인데~ 알려주세요! +5 Lv.99 닥털 10.12.06 863 0
113665 한담 제일 기달려지는 글...그리고 최고인 글.... +8 Lv.2 tado 10.12.06 955 0
113664 홍보 문피아에 단 두 작품 뿐인 장르가 있습니다. +8 Lv.1 [탈퇴계정] 10.12.06 1,859 0
113663 홍보 [게임] 마녀의 일기장 Lv.1 [탈퇴계정] 10.12.06 811 0
113662 홍보 [게임] 두껍아 헌집줄게 새집다오[응?] +2 Lv.4 견가도묘 10.12.06 1,200 0
113661 추천 여성이 주인공인 현대물인데 잔잔한 감동과 재미가... +7 Lv.56 토라토토로 10.12.06 1,869 0
113660 홍보 화신(化身), 끈질기게 한번 놀아볼까요? +3 Lv.5 요나씨 10.12.06 1,022 0
113659 요청 가르쳐 주세요~ +5 Lv.99 멍피아 10.12.06 719 0
113658 한담 글이 손에 안잡힐때. +10 Lv.10 환상인물 10.12.05 1,149 0
113657 한담 한가지 궁금점이 생깁니다. +9 Lv.4 견가도묘 10.12.05 853 0
113656 홍보 어떤 소원이라도 다 들어준다고? +5 Lv.11 심중섭 10.12.05 1,051 0
113655 한담 카테고리는 한담이나 잡설 입니다 +1 Lv.99 은여울 10.12.05 651 0
113654 요청 하드코어틱한 소설 추천부탁드려요 +8 Lv.7 무한행복해 10.12.05 1,146 0
113653 공지 pe脫님, 나룻배님, 진震님 제재사항입니다. +22 Personacon 연담지기 10.12.05 2,256 0
113652 요청 요즘 괜찮은 소설 있으면 추천 부탁드릴게요. +12 Lv.65 lu******.. 10.12.05 1,397 0
113651 추천 짚신도 짝이 있다! 추녀열전 추천! +7 Lv.1 꼴통럭키맨 10.12.05 1,412 0
113650 추천 폴라이트 테일즈 +45 Lv.84 약간명 10.12.05 2,135 0
113649 한담 전투씬 잘쓰는법...없을까요? +9 Lv.53 니나뇨 10.12.05 1,228 0
113648 홍보 자연 연재에 돌풍을 일으키....!!! +1 Lv.36 하늘달 10.12.05 1,035 0
113647 홍보 홍보합니다 '달의 호수' +1 Lv.1 [탈퇴계정] 10.12.05 769 0
113646 추천 제목좀 가르쳐주세요 +6 Lv.1 별가 10.12.05 1,456 0
113645 홍보 [게임 판타지] S.판타지 홍보에요~ +2 Lv.1 로에돔-_-* 10.12.05 933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