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작성자
Lv.18 o마영o
작성
05.01.31 18:55
조회
451

에,, 이 밑의 글은,,, 제가 OCU 수업 중 이와 관련한 주제로 토론한 적이 있어서

썼었던 글입니다. 뭐,, 지극히!!! 개인적 생각이니 가볍게 읽어주시길... -_ -a

(밑에 투마왕이 환타지냐, 퓨전이냐 는 글을 읽고 한번 올려본다는...~_~)

--------------------------------------------------------------------------

먼저 기존의 정통 환타지 문학이란 장르에 대해 생각해보자.

'기존의 환타지' 문학이 '환타지 문학'이란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한 것은 분명 톨킨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검과 마법, 몬스터, 이종족 등이 어우러진 이야기가 대중적인 인기를 끌면서부터였다.

그 이전까지는 신화, 전설, 민담으로 불리던 것들이 톨킨에 의해 본격적으로 재창조되어

가상의 이야기, 즉 '소설' 이란 구조물에 담겨진 것이다.

그런데 몇몇가지 비슷한 소재를 가지고 있지만 신화나 전설과 환타지 '소설'은 확연히 다르다.

예를 들어 (기독교, 가톨릭의) 창세신화나 예수 그리스도의 이적, 그리스 로마신화 등을 믿는 (혹은 믿고 싶어하는) 사람은 존재하지만, 환타지 '소설'을 실제 이야기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애초에 '가상'의 있을법한 이야기를 꾸며낸 것이 '소설' 이란 장르이니까.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를 주저리 늘어놓았다 생각할 수 있겠지만, 일종의 부연설명이었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본론으로 들어가 보겠다.

앞서 말한 내용 중 가장 핵심적인 키워드는 '대중적 인기' 라는 것이다.

톨킨류의 이야기가 대중적인 인기를 끌게 되면서 그것은 '환타지(환상)' 문학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즉, 높은 대중적 인기가 톨킨류 작품에 '환타지'라는 고유명사를 선점하게 해주었다.)

그러나 사전적 의미상 '환타지(환상)' 란 단어의 뜻은,

1. 현실로는 있을 수 없는 일을 있는 것처럼 상상하는 일.

2. 종잡을 수 없는 생각. (참고) 공상·망상....

으로 나타나 있듯 엄청나게 광활한 범위를 포괄하고 있는데 이것을 어느 특정 소재(톨킨류)에 국한시켜서 사용했다는 것이 현재에 와서 환타지 문학의 범위에 대한 논란을 가져오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전우치전이라던가 홍길동전 같은 신선이 나오고 도술을 사용하는 소설(仙道소설)들이 있다.

이것들에도 환타지(환상)적인 요소들은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 그렇기에 이 글들을 환타지 소설이라고 부르지 못할 이유는 (최소한 사전적 의미만 따져볼 때) 없는 것이다.

또 중국에서 시작된 '무협' 이라는 장르를 살펴보면 이것 역시 사람이 하늘을 날고, 일검에 산을 무너뜨리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들을 소재로 하고 있다. 이것 역시 환타지 소설이라고 부를 수 있다.

허나! 이런식의 논리는 분명 치명적인 단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인한다.

이렇게 환타지(환상) 라는 단어의 의미를 확장해석해 나간다면 그 어떤 소설, 무협, SF뿐 아니라 일반 소설이라도 환타지의 범주에 포함되게 될 것이고, 이것은 소설 장르의 불분명화를 야기시킬 뿐이다.

그럼 이제 역으로 생각해보자.

무협이나 SF를 환타지 소설이라고는 부를 수 있지만, 검과 마법, 이종족 등이 등장하는 톨킨류의 소설을 무협이나 SF라고 부를 수 있을까?

무협은 간단히 표현하자면 중국 왕조를 배경으로 '무(武)', 즉 무술을 통해 '협(俠)', 의로움, 정의를 실현해나감을 소재로 하는 소설이고, SF는 말그대로 미래 배경의 공상과학을 소재로 하는 소설이다.

이 의미를 최대한 확장해석한다 해도 어느 정도는 어거지가 느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환타지'란 단어를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해 나간다면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식의 단순 논리로 장르의 범위를 논하는게 되버려 그 범위가 너무 광범위해져서 그 실익이 없게 된다. 아니 오히려 혼란만을 가져올 뿐이라고 생각된다.

개인적 소견으로는 현재 환타지 문학이라고 불리는 장르의 명칭을 새로이 재설정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존의 ‘환타지’ 소설이란 명칭을 버리고 좀더 구체성을 띄는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톨킨의 세계관을 주축으로 하는 것을 ‘톨킨류 환상소설’이라고 기준을 잡고, 그 세계관에 오리엔탈적 요소라던거 현실적 요소 등을 첨가한 것들은 ‘Neo 퓨전 환상 소설’, ‘환협지’ 등으로 통칭하는 것이다. (작명 센스가 꽝...;)

물론 이미 장르화된 분야(무협, SF등 세계관 자체가 다른..)는 이 분류에서 제외되야한다.

참고로, 본인이 생각하는 톨킨류 세계관에는 3가지 요소가 있다.

1. 중세 유럽사회 체계를 배경으로 한다.

2. 마법의 존재

3. 인간과 이종족들이 공존하는 세계 (엘프, 드래곤, 혹은 그 밖의 몬스터 등등..)

이 3요소를 모두 충족하는 작품이라면 ‘톨킨류 환상소설’이 되는 것이고, 3요소중 일부만을 인용하면서 그 밖의 요소들을 첨가한 글이라면 ‘Neo 퓨전 환상 소설’ 이라고 보는 것이다.

단, 위 결론의 경우에는 적용하기 힘든 예외가 있다. ‘아예 독창적인 세계관을 창조해낸 작품들은 또 어찌 분류해야 할 것인가’ 가 그것인데 가장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한국 환타지 소설계의 거장 이영도 님의 『눈물을 마시는 새』같은 작품이 있을 것이다. 이 경우는 따로이 ‘순수 환상 문학’ 정도로 따로 분류해 칭해야 하지 않나 하는 조금은 어눌한 결론을 내려본다.

...하지만! 위의 결론은 확실히 지극히 개인적 소견일 뿐이고 현실적 대안이 되기 힘들 것이라고 본다. 논리만 가지고 쉽사리 명칭을 바꾸려하기엔 이미 오랜 세월동안 대중화 되어버린 이미지의 무게가 결코 가볍지 않기 때문이다.

현실적인 분류라고 한다면 톨킨류의 세계관을 어느정도 채용하면서 서구적 요소가 강하다면 ‘환타지 문학’ 이라고 부르고, 여러 요소를 짬뽕해놓았다면 ‘퓨전 환타지’, 독창적인 신세계관을 표현하고 있다면 ‘환상 문학’ 정도로 ‘억지 분리’를 하는게 어떨까 싶다.  

(여기야말로 정말로 단순한 억지 논리가 개입되어 있는데..., 서구적 요소가 강하면 외래어인 ‘환타지 문학’으로, 우리 작가의 독창적 세계관일 경우 우리말인 ‘환상 문학‘으로..;;;)


Comment ' 10

  • 작성자
    Lv.18 o마영o
    작성일
    05.01.31 18:59
    No. 1

    에,, 간단히 요약해서 결론은,
    투마왕은 퓨전 소설이다. (그것도 아주 재밌는 ^^~)
    정도가 되려나...
    (음;; 근데 올리고 나니 어째 밑의 토론과는 방향이 살짝 틀린듯도; 쿨럭;;)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검은 달
    작성일
    05.01.31 19:07
    No. 2

    음.... 간단하게 분류하자면
    현재 나누어진 무협, 판타지 등 중 하나만을 고수한다면 '순수'(?)
    그리고 두개를 복합적으로 섞는다면 퓨전.... 이라는 말도 안되는 공식 성립(탕!)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맛난구름
    작성일
    05.01.31 19:13
    No. 3

    분류 기준이 상당히 애매한 것이 판타지의 현실이지요

    하지만 꼭 분류할 필요성은 못 느낀다고 생각하는데요...;;;

    판타지란 개념은 포괄하는 개념인 만큼

    sf판타지, 무협판타지, 일반판타지, 모던판타지, 로맨스판타지,

    퓨전판타지, 톨킨류 전통판타지(?)라고 분류하면 되지 않을까요?

    그런데 굳이 이제와서 구분한다고 대중화되는 개념이 될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서설
    작성일
    05.01.31 19:23
    No. 4

    이런일이 벌어진건.. 말나온김에 한번 댓글점수나 올려보자는 취지(퍽)
    근런데 톨킨류라면 역시 d&d룰를 따르는 거겠지요?
    아아 드리즈트 씨리즈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담무(曇無)
    작성일
    05.01.31 19:27
    No. 5

    토론마당으로~가서 심도있는 토론을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8 o마영o
    작성일
    05.01.31 19:28
    No. 6

    쿨럭; 본문에서도 밝혔듯 대중화될 가능성이 거의 희박하죠 ^^;
    (저도 댓글 점수나 팍팍 올려볼랍... 퍽~)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6 고니.
    작성일
    05.01.31 19:40
    No. 7

    헐~;; 저걸 다쓰셨다면 =ㅅ= 무지 힘드셨겠네요!;;

    근데 =ㅅ= 표현하는 거나~ 다 그런건 퓨전 아닌가요?

    같은 지식을 갖고 있으니까...

    판타지적인 거면.. 묘사나 표현에 한계가 있을 테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o마영o
    작성일
    05.01.31 21:07
    No. 8

    에.. †민민† 님 말씀을 정확히는 이해 못하겠지만,
    대략 제가 이해하기로는,,, 판타지적인 소재로만 표현하기가 쉽지 않고
    그래서 다른 분야의 소재를 이용해 표현하곤 하니 보통 퓨전이 많지 않나~
    이런 의미...!? 맞나요 ^^;; (내 맘대로의 해석이라면... OTL;; 쿨럭;;)

    음,, 하지만 판타지적 소재로만 표현하는 편이 그 나름의 분위기 형성에
    더 좋을 수 있는데, 다른 분야의 소재를 끌어다 쓰는 건 '일부' 의 경우
    오히려 몰입을 해치는 요소로 작용하지는 않는가 싶다는... ^^

    (개인적으로 환타지 세계에서 등장인물이 상대가 전혀 이해 못할 초식명을
    외치며 -_-; 싸우는 장면 등이 가장 어색하게 느껴진다는...
    뭐, 요새는 익숙해져(?)가는 편이지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死心
    작성일
    05.01.31 22:44
    No. 9

    판타지 소설이란 작가가 새로운 법칙을 만들어내어 적용시킨 세계를 그린 소설이 아닐까 합니다.
    그것이 SF와의 차이점이겠지요..
    톨킨과 D&D의 룰이 기본을 이룬다는 것은 부정할 수는 없지만...그저 베이스..텍스트일 뿐이지요..
    무협을 판타지의 일종이 아닌 무협이라고 따로 분류한 이유도 그것이 아닐까요?
    SF는 현재는 불가능하지만 먼 미래에는 가능할 수 있는 것을 그린 것이고
    무협은 과거에 존재했다고 여겨지는 것을 그린 것이고
    판타지는 순수하게 창조한 세계를 그린 것이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퓨전이란..기본이 되는 룰에 다른 룰을 섞은 것이겠지요..
    결론적으로 투마왕과 같은 소설은 판타지세계의 베이스에 무협 룰을 섞은 퓨전소설이라고 봐야 할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비비참참
    작성일
    05.02.01 10:47
    No. 10

    판타지 하면 이거죠...
    역동적인 기사들의 전쟁...

    그리고 화려한 마법...
    마법의 백미이자 기초인 파이어볼....
    신성스러운 신관들...
    새로운 세계...
    그리고... GOD.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2462 한담 와 눈 진짜 많이 온다.. ㅋㅋㅋ +12 Lv.1 멋난인생 05.01.31 418 0
12461 한담 송현우님 종횡무진 오늘 못 올리신다면 내일 연참... +9 Lv.68 아마노긴지 05.01.31 346 0
12460 한담 저기 질문이요.. +4 Lv.99 운룡 05.01.31 239 0
12459 한담 로맨틱스러운 판타지소설이나 무협소설 추천좀 해... +14 Lv.1 데드바디 05.01.31 516 0
12458 한담 점점 식상해지는 캐릭터들 +19 Lv.48 레니우스K 05.01.31 985 0
12457 한담 몇가지의 간략한 추천과 이런 글 추천 부탁드려요. +6 Lv.91 夢戀 05.01.31 375 0
12456 한담 월명성희라는 소설을 아시는분 +10 Lv.68 우롸라라 05.01.31 435 0
12455 한담 감동이 있는 글 추천 받아요~^^ +10 Lv.1 좋은생각 05.01.31 375 0
12454 한담 [질주]오늘도 글을 올려야 하나요?? +2 Lv.1 남벽(藍碧) 05.01.31 144 0
» 한담 어디까지가 환타지고, 퓨전인가!? +10 Lv.18 o마영o 05.01.31 451 0
12452 한담 민망함에 얼굴을 못들고.. ㅠㅠ +6 Lv.47 쌀입니다. 05.01.31 517 0
12451 한담 Ardent Saga 같은 신선한(?) 순수 판타지 같은것..... +17 초류시종 05.01.31 410 0
12450 한담 송광님이 를 연재합니다! +6 Personacon 금강 05.01.31 530 0
12449 한담 최정인님의 금사여한선이 시작됩니다! +4 Personacon 금강 05.01.31 361 0
12448 한담 백호(白虎)님의 가 작가연재란으로! +9 Personacon 금강 05.01.31 435 0
12447 한담 이하우님이를 시작합니다. +5 Personacon 금강 05.01.31 346 0
12446 한담 투마왕 도대체 판타지인가?퓨전인가? +20 Lv.3 하이용 05.01.31 744 0
12445 한담 바람과 벼락의 검 어떻게 됐나요? +2 Lv.1 검은 달 05.01.31 263 0
12444 한담 ㅠㅠ 저에게 추천을 해주실 분들을 찾습니다 ㅠㅠ; +7 Lv.4 프리그 05.01.31 381 0
12443 한담 종횡무진 언제 올라오는겨 -0- +11 Lv.40 증명 05.01.31 249 0
12442 한담 [추천]이영석님의 "일격필살" +6 Lv.62 굽이치는강 05.01.31 623 0
12441 한담 [추천]머쉰 류화님의 <혈풍매화검> +4 Lv.8 자니 05.01.31 491 0
12440 한담 [경]제2회 자유연재란 무한 질주 대회가 열립니다!... +23 Lv.63 김민혁 05.01.31 301 0
12439 한담 으아~~~송현우님..........<종횡무진> ;...어... +2 Lv.4 패력부황 05.01.31 548 0
12438 한담 백도는 연재 않하시는 건가여? +4 Lv.9 이육사 05.01.31 339 0
12437 한담 1,2권 삭제예고 및 3권 연재시작 공지 +4 Lv.2 김대산 05.01.31 488 0
12436 한담 좋횡무진의 연참 행진이 깨진 이유 +10 Lv.1 ze****** 05.01.31 947 0
12435 한담 종횡무진 연참신공이 깨지는 것인가-_;; +4 Lv.1 아련 05.01.31 370 0
12434 한담 글을 쓰고 계시는 고무판의 모든 작가님들 +2 Lv.1 사생결단 05.01.31 328 0
12433 한담 종횡무진 올주세여! ㅜㅜ +5 Lv.1 ktr지망 05.01.31 419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