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1

  • 작성자
    Lv.6 세트앙크
    작성일
    10.04.23 10:37
    No. 1

    인터넷에서 엔터가 계속 나오는 것은 단지 보기 쉽게 하려는 경우가 더 많죠. 문단이나 문장간의 상관관계보단 글을 읽을때의 눈에 피로나, 작가 개인의 호흡문제가 더 많이 작용합니다.
    그리고, 책으로 나오게 되는 이상, 거부감을 줄만큼 지나친 부분들은 그 대부분이 수정됩니다. 편집자가 그냥 존재하는게 아니죠. 그리고, 문법이나 구조를 몰라서 안하는 경우보다는, 그럼에도 선택하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라 믿습니다.
    꼭 할 필요는 없는 것과 잘못된 것은 다르다고 배웠습니다.
    그리고 중복문의 경우도, 글쎄요. 중복 자체의 문제보단, 작가 스스로 의도한 것인지, 단순히 실력 미달이나 실수인지에 따라 달라지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목련과수련
    작성일
    10.04.23 10:37
    No. 2

    라노벨의 시작때 불거져 나온 잘못된 폐단을 답습하는 것입니다. 라노벨 역사상 가장 인기리에 애니화된 "슬레이어즈" 책으로 보신분은 몇분이나 있으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책으로 슬레이어즈를 보면 "이것을 소설이라고 쓴것인가!!" 라고 할정도로 소설로서는 엉망입니다. 하지만 엄청 팔렸지요

    라노벨은 쉽게 읽히기 위해 서사/서술을 줄이고 불필요한 수식을 줄이고 문단을 더 많이 나누었습니다.

    그 절정에 있는 작품중 하나가 슬레이어즈였지요. 지금도 슬레이어즈 1권이 집에있는데 보면서 "돈주고 샀으니 가지고 있는다" 입니다. 그후의 시리즈를 안산 이유는 형편없거든요. ;;;;책이.....
    물론 1권만 봐서 나중에 권수가 많아질수록 작가가 어느정도 퀄리티로 성장했는지 알길은 없지만. 적어도 1권만 봤을때는 정말이지 놀라운 글일 뿐이었습니다.

    지금 많은 대여점 소설의 많은 수준이 딱 그 슬레이어즈 1권의 퀄리티입니다. 그러면서 창의성은 그보다 적지요.

    라노벨은 나오기 시작했을때와 지금과는 작법의 차이가 상당히 변했습니다. 라노벨 내에서도 분류도 많아졌구요. 즉 발전했다는 이야기 입니다.
    하지만 이쪽은 발전하지 않지요. 이유는 좀더 좋은 작품을 읽고 성장하는게 아니라 그놈이 그놈인 것을 읽고 정체하기 때문입니다.

    세계의 판타지 문학이라 하는 대작 판타지를 읽고 문장을 연구하는게 아니라. 내가 대여점에서 재밌게 읽은 책을 읽고 각색하기 때문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투렌바크
    작성일
    10.04.23 10:38
    No. 3

    그렇군요 ^^ 흑안의 마왕님 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투렌바크
    작성일
    10.04.23 11:05
    No. 4

    목련과수련님 말씀도 잘 들었습니다. 저도 마지막에 쓰신 부분을 같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슬레이어즈 이야기는 처음 듣는 이야기군요 감사합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로드뱀피
    작성일
    10.04.23 12:01
    No. 5

    제 경우에는 간결한 문장을 선호하는 편 입니다. 굳이 두세줄짜리 두세 문장으로 한 문단을 만드는 것 보다, 한두줄짜리 대여섯 문장으로 이루어진 문단을 선호합니다. 긴 문장을 보고 있으면 이 문장이 뭘 말하려는 건지 애매몽롱해 지는 경우가 '종종' 있더군요. 대신, 좀 딱딱하고 건조해지는 것 같은 느낌은 어쩔수 없는 것 같더군요.

    수식어 부분에서는 공감합니다.
    제대로 된 구어체도 아니고, 문어체도 아니고, 수식어 남발에 외계어, 보편적 세대에 통용되지 않는 정체 불명의 온갖 줄임말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 투렌바크
    작성일
    10.04.23 12:23
    No. 6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로드뱀피님. 댓글 감사합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함수
    작성일
    10.04.23 13:14
    No. 7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았죠. 분명 위의 2가지 지적은 대부분의 작가분들이 일부러 그렇게 쓰는 겁니다. 왜? 일본에서 저런 식으로 긴장감등의 감정을 표현하기 때문이죠. 몰라서 그런다기 보다는 일부러 저러시는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9 부정
    작성일
    10.04.23 13:58
    No. 8

    무절제한 엔터의 사용은 보기 싫더군요. 양 늘이기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풍뎅이왕
    작성일
    10.04.23 17:14
    No. 9

    일본 작품이 다 저런식으로 감정 묘사를 하진 않습니다. 일본의 영향이라기보단 그 라이트노벨이니 뭐니 하는 것이 문제겠지요. 좀 극단적인 생각이지만 그 부류의 작가들은 기본적인 문단의 이해도와 작법 수준이 전무한 것 같습니다. 문단은 그냥 눈 편하게 보기 좋으라고 존재하는 게 아니죠. 문장을 잇고 끊는 것은 소설에서만 표현할 수 있는 한 가지 기술이며 소설만이 가질 수 있는 훌륭한 도구인데 단지 읽기 쉽고 간편하다는 이유로 줄마다 죄다 내려 쓴다면 차라리 만화를 그리고 대사를 쓰는게 낫겠습니다.
    일본 현대소설에서 그 문단의 미를 잘 살린 작품을 여럿 보아왔는데 모래그릇님의 말씀을 들어보니 무분별한 문장 배열이 일본식 감정 표현으로 알려질까 우려되어 이렇게 댓글 남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소중한오늘
    작성일
    10.04.23 17:59
    No. 10

    대표적인게...
    스탯창
    스킬창
    레베루업으로 한페이지씩 잡아먹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20 이섭이애비
    작성일
    10.04.23 18:57
    No. 11

    슬레이어즈야 십몇년전 작품이니까... 문체가 가볍긴 합니다.
    1-2년 전의 라노벨에서 실험적인 작품이 많이 나왔기에 글쓴이님이 지적하신 경향의 문체는 많이 사라졌었지만 트렌드가 다시 '개그'로 전환되다 보니저런 문체가 많이 늘어버린 느낌입니다.

    대개의 판타지가 저런 서술을 답습하고 있으니 안타깝습니다. 좀 더 개성적이였으면 좋았을 텐데요.
    근데 저런 문제는 작가한테도 있지만, 글을 교정하는 편집자도 반성해야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