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Comment ' 11

  • 작성자
    Lv.1 Walung
    작성일
    10.02.23 18:19
    No. 1

    오! 공감성이 느껴집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연온서
    작성일
    10.02.23 18:22
    No. 2

    하긴, 저도 눈마새를 보고 정말 지독한 감동을 받았는데 어떤 사람들은 뭐 이상한 애들만 나온다고 안 보는 사람들도 있더라고요. 장르소설의 가장 큰 이점은 다가가기 쉽다, 간단하게 읽을 수 있다는 것들이니 확실히 공감가는 얘기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단풍닢
    작성일
    10.02.23 18:37
    No. 3

    새로운 세계관은 작가나 독자 입장에서 보면 일종의 실험 내지 도전이니까요. 성공할 확률은 극히 드문 실험이요. 그래서 왠만한건 잘 바꾸려고 하지 않는것 같아요.
    마법 주문을 바꾸는 것이 그 작품에 있어서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면, 전 바꾸지 않는게 더 좋다고 보네요.
    반지의 제왕이나 게드전기(어스시의 전설)같은 걸 보면, 매우 익숙한 세계관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사람들의 가슴을 뛰게 만들잖아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은혈
    작성일
    10.02.23 18:45
    No. 4

    그래도 너무 따라하면 좋지 않다는 생각에 저는 다른 종족을 넣어버린답니다 . 후훗.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닭날개튀김
    작성일
    10.02.23 18:49
    No. 5

    연온서님도 언급하셨듯 피마새나 눈마새 같은 경우는, 뛰어난 완성도의 세계관을 갖추고 그 글의 구성과 전개 또한 결코 범상치 않지만 그 세계관을 어느 정도 이해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어려운' 글이 되어버렸습니다. 덕분에 '아는 사람만 아는' 마이너한 글이 되어버렸죠. (이영도님의 글이 마이너하다긴 그렇지만, 타 소설들과 비교하면 독자들의 호불호가 꽤나 갈리는 글입니다)

    확실히 시장성과 접근성이란 면에서 정형화는 어쩔 수 없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물론 예시로 든 영도님의 작품들처럼 이해한 사람들을 좀비로 만들어버리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의 완성도의 경우는 예외지만, 예외인 만큼 극소수지요. ㅇ>-<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에어(air)
    작성일
    10.02.23 18:50
    No. 6

    공감입니다. 익숙한 세계관이라고 꼭 나쁘지많은 않은것 같아요. 아니, 오히려 세계관이 익숙하면 소설 이해가 훨씬 쉽지요. 글 내용만 재미있으면 9서클에 소드맛스타 나와도 큰 상관은 않합니다. 몰론 신선한 것도 나쁘지는 않지만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1 Ea53L
    작성일
    10.02.23 20:12
    No. 7

    국내 판타지 소설 역사에 대해 많이 알고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국내 판타지 소설 작가들이 D&D룰 등을 기반으로 한 비슷비슷한 세계관을 주로 이용하는 것을 정형화네 하면서 긍정적으로 볼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른 소설들도 그렇기는 하지만 판타지 소설은 특히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할 여지가 많다고 생각하거든요. 조금만 상상하는 시간을 가져도 작가만의 독특한 세계관 컨셉을 잡을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독자에게 익숙하다는 이유로 거기서 거기인 소설들이 쏟아져 나온다는 것은 우리나라 판타지 소설계의 문제점이지 싶습니다.
    독자들이 새로운 세계관을 받아들이기 싫어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작가가 그렇게 입맛을 들였다고도 할 수 있을 겁니다. 읽는 소설마다 세계관이 전에 본 듯하면서 계속 접하게 되니까 오히려 새로운 소재에 거부감까지 드는 상황에 이른 거죠. 독자들이 익숙하니까, 라는 이유로 '정형화된' 세계관을 따르는 것은 큰 이유가 될 수 없습니다.
    제가 이렇게 말할 처지는 못 된다고 생각합니다만, 익숙하지 않은 세계관을 독자들이 익숙하게 느끼도록 잘 풀어 쓰는 것은 작가로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해리포터』시리즈에 몇 서클 마법사, 소드마스터가 등장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 소설의 마법 체계 등의 설정을 그다지 어렵게 받아들인 사람은, 적어도 제가 보았던 경우는, 없거든요.
    결론은, 독자들이 비슷한 세계관에 입맛을 들이게 한 작가들의 책임은 작지 않으며, 보다 다양하고 신선한 세계관을 독자에게_거부감 없이_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9 취룡
    작성일
    10.02.23 20:32
    No. 8

    정형화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지는 않습니다. 고인 물은 썩는다고... 정형화 되서 좋을 것은 없겠지요. - 최근에 문피아를 시끄럽게한 게임판타지 논란도 정형화의 폐해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제가 이 글은 쓴 이유는 정형화를 옹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정형화 된 이유 중에 이런 것이 있다-라는 것을 이야기하고파였습니다. 제 표현이 서툴다 보니 글이 다른 의미로 전파된 것 같네요 OTL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9 취룡
    작성일
    10.02.23 20:35
    No. 9

    제가 이런 말까지 하면... 정말 주제 넘은 것이겠지만... 악순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기성은 당장의 수익 때문에 새로운 시도를 할 수가 없고, 신인은 신인이기 때문에 그들의 새로운 시도가 아예 시장에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그러다보니 악순환이 되는 것이겠죠.

    - 사실 군 제대 후 판타지를 제대로 보질 못해서 요새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0 이섭이애비
    작성일
    10.02.23 20:50
    No. 10

    주제와는 외람된 얘기지만, 환상회랑에는 설덕들이 넘치죠.
    새로운 설정을 그저 보는 것은 즐거운데 만들거나, 새로운 설정이 가미된 소설을 보는 건 왜 그리 기피되던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aveeno
    작성일
    10.02.24 09:14
    No. 11

    독자로서.. 매우 공감합니다. 지나치게 생소한 세계관은 보면서 왠지 피로를 느껴요;; 그렇다고 너무 정형적인 것보다는, 약간씩 변화를 준 거는 좋더라구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목록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