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판타지 소설에서 사실성이란?

작성자
Lv.1 二성규
작성
08.08.16 22:22
조회
623

저도 판타지 소설은 어느정도는 봤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요즘 흔히 '양판소'라 불리우는 비슷비슷한 판타지 소설들은 별로 끌리지 않고 사실성을 지닌 판타지 소설이 끌립니다. 여기서 사실성이란 일반적인 판타지 소설에서 무언가를 제작할 때 몇 줄로 묘사를 끝나는 것이 아닌 전 과정을 전문적으로 다룬 것을 말합니다.  

그러다보니 어떤 의문이 떠오르더군요. '사실성을 지닌 판타지 소설이 진정 판타지 소설이라 할 수 있을까?'라고 말입니다. 반지의 제왕에서 알 수 있듯이 판타지 소설은 말 그대로 환상을 다룬 소설이지 현실을 다룬 소설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말인데 극도의 사실성을 지닌 판타지 소설을 진정한 판타지 소설이라 할 수 있을까요?


Comment ' 20

  • 작성자
    Lv.22 asdfg111
    작성일
    08.08.16 22:24
    No. 1
  • 작성자
    Lv.90 Patricka
    작성일
    08.08.16 22:28
    No. 2

    극도의 사실성을 지녔다 해도 주제가 환상적이면 환상문학인거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캐빈
    작성일
    08.08.16 22:29
    No. 3

    극도의 사실성. 하지만 환성적, 허구적인 내용이 들어갔다면 그건 판타지로 장르가 나뉘어져야하는거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4 손에손에손
    작성일
    08.08.16 22:36
    No. 4

    판타지에 사실성은 독자들이 글을 얼마나 받아들이느냐 하는게 아닐까요? 저는 글의 배경 혹은 글속 인물들의 행동 대화를 보면서 '아! 그렇구나' 하는게 느껴진다면 그게 '판타지의 사실성' 이라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M60기관총
    작성일
    08.08.16 22:39
    No. 5

    보통 양판소에서의 사실성은 개연성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긴 하죠.
    예를 든다면 칼을 만드는데 있어서 대장장이 혼자서 칼날을 세우고 검집을 만들고 음각을 새겨넣고 며칠만에 뚝딱 만드는거...이런 것들은 현실에서는 사실 불가능하죠.
    또한 현실에서 무술에 쓰이는 진짜 칼들은 전체가 날카로운 것이 아니라 끝부분만이 날카로운데 그것을 판타지에서까지 적용시키는 것도 좀 그렇긴 하죠. 일단 작가가 생각하는 판타지세계내의 문화와 기술력을 글 읽는 분들이 모두 알 수는 없으니까요. 결론은 뭐...ㅡㅡㅋ 무의미한 논쟁.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67 [크레파스]
    작성일
    08.08.16 22:39
    No. 6

    즐거우면됨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맹아줄기
    작성일
    08.08.16 23:28
    No. 7

    환상(상상) + 소설 입니다.
    개연성과 필연성을 생각하면 당연히 현실성이 포함되고, 거기에
    사람이 상상하던 것을 덧붙여 탄생된게 판타지소설이라고
    생각됩니다.
    판타지가 중세유럽시대, 소드마스터, 마법사 이런것만이
    아니라 상상이듯 동양의 귀신에대한 이야기라던가, 하다못해
    '내가 꿈을 꿨는데 다른 사람이 되어있었다'라는 호접지몽처럼
    이야기를 전개하는 것도 하나의 판타지라고 할 수 있겠죠.
    작가와 독자가 스스로 판타지의 영역을 구분 하지 않는 이상
    판타지 소설의 경계는 흐릿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판타지 자체가 '상상'이기 때문이죠.
    확실한 답은 없지만 저의 관점으로는 아무리 현실적이라도
    판타지 요소가 들어가 있으면 일단 판타지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핵지뢰
    작성일
    08.08.16 23:28
    No. 8

    중학교 국어시간에 배우는 거지만...

    소설은 '그럴듯한 이야기'를 말하는 겁니다. 판타지 소설은, 판타지를 말하기 전에 소설이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소설은 당연히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이야기이고, 그래야만 하는 것이죠.

    판타지냐 SF냐 로맨스냐 코메디냐 비극이냐 등등은 소설 다음의 요소입니다. 장르적 약속, 장치는 글의 주제를 표현하기 위한 부가적·장치적 도구일 뿐입니다. 소설의 배경으로 사용하는 이차세계, 가상의 세계도 단지 도구일 뿐입니다. 글은 글이 말하고자 하는 주제가 있고, 그 주제를 위해서 도구를 선택하는 겁니다.

    현실을 다루지 않는다고 예를 드신 반지의 제왕에서도, 작중 선과 악의 대립을 2차대전을 기저에 깔고 있는 이야기라는 평론도 있지요.
    게다가 사실성과 환상성이 대립하는 것도 아닙니다. 환상성이 대변하는 주제와 상징성은 현실을 논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죠.

    연극에서 벽에 총이 걸려있으면, 그 총은 극중 소품으로 사용되기 위해 걸려있는 것입니다. 문학적 관점에서 보자면 장르 판타지에서 써먹지도 않을 환상적 클리셰를 남발하는 것은 판타지 RPG 등의 게임에서 비롯된 못돼먹은 버릇에 불과하지만... 그것도 나름대로 환상적 세계의 성립을 위한다는 목적은 있는 겁니다.

    현실을 이야기하기 위해 허구를 이야기한다. 이건 문학의 기본중의 기본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1 꿈에다름
    작성일
    08.08.16 23:55
    No. 9

    소설의 정의는
    판갤러님이 말하신대로 그럴듯한 이야기 즉
    '개연성있는 허구' 입니다.
    판타지이기 전에 '소설'입니다.
    그래서 하고 싶은 말은


    개연성따위 어디 엿바꿔 먹은 낙서를 소설이라고 볼 수 없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二성규
    작성일
    08.08.17 00:02
    No. 10

    음 그렇군요. 판타지 소설이란 환상+소설 이라는 간단한 것인데 괜히 쓸데없는 이상한 생각만 했군요.. 쿨럭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요타
    작성일
    08.08.17 00:06
    No. 11

    작가의 상상만으로 소설을 써도 문제는 없습니다. 단 상상속의 시대상 등 여러가지 구성들을 짜임새있게 만들어 독자에게 보여주고 이해시켜야합니다.
    -----------
    전 요새 판타지 소설을 읽으면서 무협 소설과 짬뽕된 느낌이 들더라구요.
    왜 그럴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작성일
    08.08.17 00:12
    No. 12

    글쎄요.
    개연성,인과율,그 판타지에 동화됨이 가장 리얼리티를 살릴수있는게 아닐까 싶네요.
    첫째 작가가 제일 처음 잡아놓은 설정 그대로 가야된다는거죠.
    가령 이 기술은 하루에 한번밖에 못쓴다네 어쩌네 이러면서
    어느날 보면 하루에도 몇번씩 쓰거나, 얘는 재능이없네 어쩌네 하다가
    어느순간보니 아버지쪽이 혈통이 어떻고 해서 놀라운재능을 가졌다느니,
    얘는 소심해서 어쩐다 이렇게 써놓고선 뒤에가면 달라지는게 많지요.
    둘째 개연성이있어야겠지요. 물론 환상문학인만큼 어느정도 융통성을 발휘할 필요가있으니 관계되지도 않을걸 가지고 억지로 연관시킨다던가
    전혀 연관이 있지 않는데도 연결 시킨다던가 하는 행위 등등을 볼수 있죠.또한 어떤 일에 대해서도 세심한 묘사? 혹은 리얼한 묘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충이렇게 저렇게 했더니 뭐가 뚝딱하고 만들어 졌다더라 어쩐다 이러는데, 조금은 자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무엇인가 조각을 한다면 이것은 음각 양각을 어떤식으로 해서 납득이 갈수있게 하는거죠.
    셋째 인과율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기마련입니다. 그런데 읽다보면 분명 일은 벌려놓는데 어느순간보면 잊혀져 있지요. 그것때문에 종종 실망하는경우도 있고, 또 원인없이 결과만 있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요.
    넷째. 그 판타지라는게 철저히 고대,중세,근대 유럽쪽을 모티브로 한다면 왠만하면 영어권문화임을 살려서 한자로 적어야되는부분은 영어로 표현하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기술명에서 한참 영어단어로 표현하다가 난데없이 무협기술명이 툭툭 튀어나온다던가..
    한자가 남발하는거 볼때마다 약간은 거슬린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우리가 한자권에 있다고 본다면 말을 풀어가는데 필수라고 하지만 왠만하면 대체될 수도 있다고 보거든요^^

    -이상 그냥 평소에 생각하던 개인적인 소견이었어요..
    아 그냥 이런생각을 가지고 있구나 정도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2 asdfg111
    작성일
    08.08.17 00:19
    No. 13

    보고도 안고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制坤
    작성일
    08.08.17 00:28
    No. 14

    뭐든 해봐야 실력이 좋아질터이니 양판소설도 좋다고 하지만...
    제발... 왜 그런 낙서를 출판하는건지는 이해 불가.....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 RevErsKy
    작성일
    08.08.17 00:30
    No. 15

    그것은 작가의 성향으로 볼 수 있겠죠.

    판타지라는 것은, 대체로 허구성의 소설을 말하는 것이고.

    그 허구성 안에서의 사실적 표현, 또는 사실성이란

    각 작가만의 개성일 뿐,

    어느것이 옳다 그르다 말 할수는 없다고 보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7 시체(是締)
    작성일
    08.08.17 00:54
    No. 16

    판타지는 아무래도 몰입도가 중요하겟죠

    사실감을 상상력으로 대체해야하는만큼

    몰입이 안된다면 상상또한 불가능하지않겟습니까?

    사실성 이란것이 묘사력과도 닮은 부분이 있으니

    묘사가 잘되어있고 몰입이 된다면 그것이 사실적인 판타지이고

    그 두가지가 충족되어있다면

    양판소던 작가분이 새롭게 설계한 판타지이던 즐거울수있지않을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6 헐헐헐헐
    작성일
    08.08.17 05:32
    No. 17

    사실감 보다는 신뢰감.
    판갤서 본 이야기인데 소설에서는 사실성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는 좀 터무니없더라도 독자가 그렇구나하면서 소설상 내용을 믿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캄파넬라
    작성일
    08.08.17 08:56
    No. 18

    개연성이 있는 허구 (x)
    재미가 있는 허구 (o)

    전자를 찾으려면 일반 소설을 가야됩니다, 이젠. =ㅅ=;;;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1 꿈에다름
    작성일
    08.08.17 10:01
    No. 19

    은근히 양판소손을 들어주는 분들이 꽤 되시네...
    아마 학생분이실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캄파넬라
    작성일
    08.08.17 11:43
    No. 20

    양산형 '개때' 문화가 어디 판타지에만 국한 되어있던가요.

    조폭영화 반짝 하니 너도 나도 조폭 영화. 김기덕 감독의 개념작 나와봐야 상 받는 영화 따로, 흥행 성공하는 영화 따로~ 밀양 이 대단하니 마니 해도 싸구려 3류 조폭 영화보다 확연히 떨어지는 관객수 ^^ ;;;

    대세 보다 실력을 고집하는 가수들 음반 판매 저조하고...... 연말시상때 상 한번 못받고...... 파묻히고. 뜨려면 백xx 처럼 pd 한테 몸 로비라도 해야 한다지요? 동영상 다 퍼져도 끝까지 Tv 출현 하는거 보면 대단 합니다. 가수 인지 고급 창녀 인지 분간이 안 가거든요.

    적은 노력으로 안정된 수입을 얻는 길이 바로 '양산형' 입니다.
    돈 벌긴 최곤데. 고생해서 상받는 영화 찍고 몇푼 못 버는 것 보다 쌍욕 먹는 조폭 영화 몇개찍고 때돈 버는게 자본주의져.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86445 요청 선작 보시고 추천 부탁합니다. +4 Lv.1 어릿 광대 08.08.17 387 0
86444 추천 [추천] 천산마승... 그 묘한 재미라니... +2 Lv.1 허무영 08.08.17 904 0
86443 한담 권경목 작가님의 전작 세븐메이지를 아시는분? +18 Lv.78 콜로서스 08.08.17 892 0
86442 홍보 강호는 넓다?! 강호는 좁다?! +2 Lv.10 이생원 08.08.17 355 0
86441 홍보 해커 나뚜루 홍보합니다. +1 Lv.19 진호랑 08.08.17 290 0
86440 추천 추천합니다. Brix 당신은 설탕의 공포를 견딜 수 ... +3 Lv.46 블레스터 08.08.17 724 0
86439 홍보 조그만 염전을 일구고 있습니다. +2 Lv.9 캄파넬라 08.08.17 610 0
86438 요청 선호작 공개 및 추천요청 ;ㅅ; +4 Lv.1 가녀린그녀 08.08.17 438 0
86437 요청 소설 요청 부탁드려요 +3 Lv.90 키리샤 08.08.17 322 0
86436 요청 이 판타지소설의 제목을 아시나요? +9 Lv.52 만리 08.08.17 483 0
86435 홍보 판타지 '리셋 더 메모리' 홍보합니다. +1 Lv.19 천성민 08.08.17 404 0
86434 홍보 [게임판타지]마이더스(MIDAS) 홍보입니다 +7 Lv.1 무흔설 08.08.17 596 0
86433 한담 노벰베 레인에 대해서. +8 Lv.1 가을귓 08.08.17 338 0
86432 홍보 판타지 소설 페트라 홍보합니다. +1 Lv.9 이세라스 08.08.17 193 0
86431 홍보 [게임소설] 다크엠페러 홍보입니다. +3 Lv.56 실버쉐도우 08.08.17 406 0
86430 추천 판탄 - 마라 추천합니다. +2 Lv.76 라코 08.08.17 451 0
86429 요청 이고깽, 이고깽..이라시는데 +22 Lv.1 묘당 08.08.17 1,064 0
86428 한담 +666의 작가, 반시연님을 만나뵙고왔습니다.. +13 Lv.1 카君 08.08.17 872 0
86427 요청 간만에 생각나는 책이 있습니다. +2 검뎅이 08.08.17 275 0
86426 홍보 잔잔한 현실 SF적 환타지 정연란의 [더 바이탈] 보... +2 Lv.1 석왕 08.08.17 367 0
86425 홍보 [호수에잠긴달] 달을 사랑하는 자의 이야기 +5 휘리스  08.08.17 178 0
86424 요청 카오스스톤은 어찌된겁니까? +3 Lv.1 二성규 08.08.17 601 0
86423 요청 글의 제목... 어떤게 나을까요. +2 Lv.14 일소만복 08.08.17 257 0
86422 요청 무협추천좀 부탁드립니다.+질문 +7 Lv.20 櫻猫 08.08.17 502 0
86421 홍보 졸리로저 제 3장 북해의 눈물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1 jjukjang 08.08.17 219 0
86420 홍보 소수 엘리트에 의해 통제받는 사회 DN +1 Personacon 공(工) 08.08.17 301 0
86419 홍보 무림학원물 홍보합니다! +5 쵸코쿠키 08.08.17 578 0
86418 요청 판타지 소설에서의 신. +34 Lv.1 二성규 08.08.17 817 0
86417 한담 판타지 소설 화폐... +17 Lv.2 분노부족 08.08.17 628 0
86416 한담 아~ 리메하기 힘들다. +4 Lv.9 명종(鳴鐘) 08.08.17 312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