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
07.11.01 02:38
조회
2,128

아직 저작권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어서 ㅜㅜ

성시경이 무릎팍도사에서 잠깐 mp3에 대한 발언을 했는데 포털 댓글에 달리는 글들이 한심하더군요...

음반이 명반도 아닌데 돈주고 살필요가 있느냐? 다운받는게 뭐가 문제인가? 사기꾼들 가수들 돈벌려고 별짓을 다한다...등등...

그런 댓글들을 살펴보면서 장르시장의 현실이 생각이 나더군요...뭐 작가는 아니지만 글을 읽는 재미로 살기에 작가들이 경제적으로 풍족해져 글을 쓰는 동기가 유발되어 더 재미있는 작품을 썼으면 합니다. 음악도 마찬가지죠...작곡가나 작사자나 가수나 저작권이 보호되어야 힘을 내겠죠...

요즘 저작권에 관한 인식이 흐려지면서 비디오대여점과 음악시장, 출판시장이 고사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우려되는 점은 문화에 관련되는 시장이 완전히 무너지면 한국의 문화가 과연 존속이 될까..걱정입니다. 이제 미국시장이 완전개방되면 저작권문제가 수면위로 오르고 그때쯤되면 미국 메이저 업체들에 다 먹혀서 오히려 더 많은 돈을 주고 문화생활을 해야될듯 해서 걱정이네요...

한국시장은 법의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지만 미국업체들은 시범케이스로 몇몇을 족치면서 불법다운로드를 완전 봉쇄 시켜 버리고 나면 그때가서 돈을주고 사려해도 국내업체는 완전 무너지고 미국 업체들에 의해 시장이 좌우되면서 ㅜㅜ

그냥 안타까워서 한번 적어봤습니다.


Comment ' 52

  • 작성자
    Lv.1 용신전
    작성일
    07.11.01 02:59
    No. 1

    저작권 뿐만아니라... 개념 정신...사라진지 오래입니다..^^; 나라가 망할징조가..다붓 보이는-ㅅ-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작성일
    07.11.01 03:03
    No. 2

    저작권은 흐려지는게 아니라 생겨나는거라고 봅니다. 열정에 대한 보호냐 공유가 우선이냐에 따르는 것이겠지요. 저작권 보호가 무조건 옳다는 생각에는 반대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작성일
    07.11.01 03:04
    No. 3

    우리나라에서는 국산에 대한 공유는 외국산에 비해 엄중히 막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일부 네티즌 댓글을 가지고 오바하시는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03:08
    No. 4

    국산에 대한 공유를 엄중히 막는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한국것은 되고 외국것은 안된다...이것도 상당히 위험한것 같습니다. 오버가 아니라 100만장에서 200만장까지 판매되던 음반이 mp3가 불법공유되면서 10만장으로 줄어들어 버렸습니다. 비디오 시장도 거의 고사되었구요... 오버가 아니라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되는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작성일
    07.11.01 03:10
    No. 5

    배고픈 문학청년 따위는 이미 일부의 사람에게 한 때의 시기로 전락한지 오래입니다. 꿋꿋이 가는 사람들의 주위 사람 백 명중에 한 두명이나 그런 길을 권하지 누가 그런 소리합니까. 나이를 떠나 나 같은 사위는 사절이다는 관념이 넘쳐나는 세상에 문학이니 예술이니는 묻히고 시장의 논리가 지배하고 있습니다. 자유주의와 시장주의가 다르니 마니 따져대고 별의별 사상 논해봤자 그런거 따지는 사람들한테나 큰 차이가 있지 보통사람들한테는 똑같은 이야기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03:14
    No. 6

    음...제가 말하려는 것은 불법다운로드가 창의성을 저해하고 있고 시장을 고사시킨다는 것입니다. 위에 댓글이 잘이해가 되지는 않지만...
    불법다운로드가 말그대로 불법이고...또 그것때문에 음반시장이 고사되고 비디오시장이 고사되고 있습니다. 합법적으로 질이떨어져서라기 보다는 불법적인 행동들에 의해서 시장이 축소되고 있는것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작성일
    07.11.01 03:15
    No. 7

    엠피쓰리 없을 때 일이백만원 벌던 가수들이 지금은 일이십억 벌고 있습니다. 씨디 판매량 줄어든 음악시장 험하다로 연결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무릎팍도사 주영훈씨 나올 때 잠깐 보니 올?밴드라는 기타 든 양반이 듣도 보도 못한 노래를 내고 3달마다 돌아가며 몇백씩 들어온다고 하던데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03:17
    No. 8

    시장이 개방되면 분명히 저작권 문제가 불거질것입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공유만 적발하는게 아니라 다운로드하는 사람도 일일히 찾아서 처벌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mp3가 발달하되 합법적으로 대가를 지불하고 거의 다운받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영화도 그렇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03:28
    No. 9

    흠님...저작권의 대한 인식이 흐려진다고 했던겁니다. 뭔가 두사람의 핀트가 어긋나는듯해서...
    그리고 어떠한 이유를 떠나서 불법다운로드는 근절되어야 합니다. 몇십억을 버느니...그런것도 합법적으로 저작권이 적용되는 노래방, mp3사이트..방송사용료...등등을 통해서입니다.
    지금 유명가수의 정식 앨법이 온라인 오프라인 합쳐서 정식으로 팔리는게 20만장은 넘지 않을 겁니다. 그것은 결국 나머지 100만장 이상은 불법으로 팔려나간다는 거죠...지금은 미디어 시장이 커져서 이리저리 사용료떄문에 유지가 되지만...
    그리고 출판시장도 판매부수가 확연히 떨어졌고 장르시장의 경우에는 더한듯 합니다. 비디오시장도 완전히 무너져 버렸고..(.물론 영화관수익은 증가했지만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레일
    작성일
    07.11.01 03:33
    No. 10

    한국것을 보호하고 외국것을 더 보호한다기 보단
    외국것은 뒤끝이 적어서 그런거겠죠
    영화나 음악같은 경우 바로 바로 고발조치등이 들어 가지만
    외국작품경우 국내에서 신경쓰는 사람이 없으니 마음것 공유하죠
    전에 고무림에서 작가가 일본 애니.소설? 불법다운받아보고 감사 올렸다
    한번 문제가 됐죠 사람들이 국내정발이 아니라 구하기 힘들어서 그랬다
    정발아니니 불법아니다 핑계만 대다 나중에 잘못인정하던거 같던데
    이런거 보면 아직도 멀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badchild
    작성일
    07.11.01 03:41
    No. 11

    저작권은 소중히 해야죠.
    일례로 불법스캔본 때문에 돈이 안되서 주옥같은 만화들이 한, 두권만 나오다가 출판이 중지 된다거나, 게임 쪽 같은 경우는 pc게임이 우리 나라에서는 거의 사장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출판 쪽도 그런 꼴 날까 노심초사 하고있습니다.
    예전에 쯔바이라는 RPG 게임 나왔을 때도 게임사측에서 한국은 나오자마자 인터넷에 게임이 돌아버려서 정발안한다고 한 적도 있다고 합니다. 그런 걸 우리나라 유저들이 절대 안 돌도록 자체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서명하고 난리쳐서 정발 했는데... 뭐 게임 좋아하시는 분이면 아시겠지만.... 판매량은 저조한데 RPG하는 사람치고 이거 안 해본 사람이 없다고들 하더군요. 쩝;
    뭐, 이런저런 거 다 빼고라도 창작자의 권리는 지켜주는 게 당연한거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1 숲의속삭임
    작성일
    07.11.01 03:41
    No. 12

    출판시장은 대여점문제부터 처리해야 할껍니다. 저작권법대로 해석하면 현 대여점 시스템도 일부(일부라고 적은이유는 몇몇 책-특히장르계열-은 시장 주타켓을 대여점으로 잡고 출판하기에 제외해야한다고 봅니다.)저작권 위반이 맞습니다.
    비디오 대여업쪽은 테이프는 이미 사향이고 풀HD지원가능한 녀석들이 자리잡으면 다시 대여나 구입쪽으로 자리잡게 될겁니다.(트랜스포머였던가 이것의 HD-DVD버전이 40기가바이트를 넘긴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다만 현재의 DVD시장은 암울하긴하군요.)
    그리고 음반 판매관련된것은 디지털음반시장으로의 전환 실패가 더 크다고 봅니다. 이미 대다수의 고객은 디지털음반쪽을 찾는데 음반판매율 어쩌고 하는 음악업체(윗분이 지적하셨다시피 가수들은 오히려 돈을 더 벌고 있습니다)들이 참 한심스럽기까지 합니다. 디지털음원쪽을 선점한 업체들은 이미 오프라인 음반의 수배에 달한 돈을 벌고 있습니다. 그 음질은 CD에 비해 형편없음에도 말이죠. 즉 아직도 고음질 부분의 자리가 비워져 있을때 이거라도 차지해야할겁니다.

    뭐 국민성 어쩌고 하면 할말 없어지긴합니다. 정품소프트웨어 구입했다고 병신소리까지 들어봤으니까요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03:49
    No. 13

    아 게임시장도 뺴먹었네요...전 게임을 삼국지 시리즈와 피파 시리즈만 즐기는(정품을 구입합니다.) 입장이라 크게 문제가 없었는데 삼국지 11pk가 출시가 안되더군요....정말 좌절했었습니다. 그리고 피파의 경우에 한글판이 출시안되는 버전도 있었고...패치로 해결하긴했지만...
    이렇듯 저작권보호가 안되면 결국은 소비자에게로 피해가 돌아오는듯 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한수백
    작성일
    07.11.01 03:56
    No. 14

    처음엔 좋겠지요. 몇만원 하는걸 몇백원에 살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그게 길어지면?
    결국 손해를 보는건 소비자입니다.
    그걸 인지하지 못합니다. 그게 한국 정서의 문제점이죠. 눈 앞에 닥친 일만 생각하고 먼 훗날 이야기는 나몰라라.. 언젠가 닥칠 일인데도 말입니다.
    P.S 저도 삼국지 11 p.k해보구 싶어 죽것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3 라파엘xv
    작성일
    07.11.01 04:01
    No. 15

    후후... 전 캐나다에살아서 책을 사면 책값보다 운송비가 더 나온다는 ... 그래도 사보는데 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8 인생사랑4
    작성일
    07.11.01 04:09
    No. 16

    알면서 그냥 헛소리 하는 사람이 대부분 인걸로 알고있습니다

    온라인이라고.. 익명성때문에 미친짓을 하는 사람들 제법 있잖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9 흰곰
    작성일
    07.11.01 04:28
    No. 17

    취지는 옳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남에게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다운 받는 것은 사적복제에 해당되어 저작권침해에 해당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물론 학설이 대립되긴 하지만 아직은 사적복제에 해당된다는 견해가 다수설로 알고 있습니다.
    다운받는 것 보다는... 무단 배포, 전송 하는 것이 문제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때굴때굴
    작성일
    07.11.01 04:43
    No. 18

    정 걱정 스러우면 옛날로 돌리던지요 인터넷이 보편화 대기전으로

    그냥 시대의 흐름이겠지요...몇십년후면 시디가 나올까 싶지만

    시대가 바뀌면 거기에 마춰서 법도 바뀌겠지요

    지금 크게 힘든거 있습니까? 없잖아요...

    닥치면 다 합니다..거기에 한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가상
    작성일
    07.11.01 04:49
    No. 19

    크게 힘들어지고 나면 이미 늦습니다.
    무슨 문제든 미리 방지하는게 중요하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묘재(妙才)
    작성일
    07.11.01 04:51
    No. 20

    정말 소원은. 음악 공짜로 다운받는 사람들은 다 유치장 갔으면 좋겠습니다. 진심으로요. 요새 한창 라디오헤드 신보가 화제인데, 걔네들이야 '공연'만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충분하고 또 그렇게 공개해도 뒤에 나오는 박스 패킷을 비싼돈주고 구매할 사람이 넘쳐나니까 가능한거죠. 우리나라에 갖다붙일 이야기가 아닌데...아무튼 그래봐야 결국 '범법자'들이 지들 푼돈아끼려는 궤변일뿐이고, 점차 저작권법이 강화되면 싸그리 다 잡혀들어갈 것입니다. 지금 한문협에서 피투피 업로더들 소탕하는 것처럼요. 그게 맞는것이구요. 그리고 이익구조도 개선될 필요가 있습니다. 도대체 통신사에서 왜 그렇게 돈을 많이떼가는건지...에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하르얀
    작성일
    07.11.01 05:08
    No. 21

    사방이 낭떨어지인 곳에 밀어넣고 발을 헛디뎌 떨어져 죽으면 누구의 책임이라 할까요?

    자료의 공유는 결국 창조적 행위자들의 의욕을 상실시킵니다.
    창조적 행위자들의 의욕상실은 그 분야의 위축을 가져옵니다.
    그러한 분야의 위축은 살아남기 위한 변화-본질로부터의 일탈을 부릅니다.
    이젠 누구도 그 본질을 바라보지 않죠. 마치 그것이 오리지널이 된것마냥.

    만약 그 '본질'이 훼손되길 원치 않는다면 저작권, 또는 그와 유사한 강제성을 띄는 수단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개인의 양심? 가치? 그것으로 인해 부른 현실이 지금입니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 능력이 크게 신장되었기에 제재할 수 없는 것입니다. 비약해서 말한다면 누군가를 '살인'한다는 절대금기가 아니라면, '쉽게 손에 닿지 않기에 어쩔 수 없이' 놓아두자, 라는 상황에 이르게 될지도 모르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5 요쁘
    작성일
    07.11.01 05:34
    No. 22

    그런데 여기서 이렇게 저작권 운운 하시는 분들....
    과연 윈도는 정품을 사서 쓰시는지 그것이 궁금한데요.
    비평이나 비판 하기 위해선 자신부터 먼저 지켜 줘야 하지 않을까요?
    과거 불법복제로 프로그램이 통쨰로 카피대서 직장을 잃은 사람도 있습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05:35
    No. 23

    윈도는 컴퓨터살떄 그 정품가격이 포함되는걸로 알고 있는데요...특히 삼성이나 메이저 피씨를 사는 경우에...그래서 컴퓨터사면 윈도 설치시디가 따라오지 않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요쁘
    작성일
    07.11.01 05:39
    No. 24

    물론 브랜드 피씨를 사는 경우엔 OEM 으로 따라 오기도 하죠 근데 보통 그런데서 끼워 넣어지는 것은 단일 피씨 한정 정품 인증입니다.
    뭐냐 하면 다른 피씨에서는 그 제품을 설치 해서는 안된다는거죠.
    그리고 윈도 뿐만이 아니고 오피스나 한글 같은것들도 고려 해야죠.
    인터넷 이용자 2천만이 넘었네 어쩌네 하고 요즘은 하다못해 이력서도 컴퓨터 문서로 받는데요. 오피스나 한글 문서를 쓰는 사람들은 2천만이 넘는데 어떻게 한글이랑 오피스의 한국 누적 판매량을 다 합해도 2천만은 커녕 절반도 안될까요-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묘재(妙才)
    작성일
    07.11.01 05:41
    No. 25

    윈도 정품 사서 쓰고있습니다. 그리고 윈도는 물론이고 모든 문화분야에 합당한 가격을 치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하신 예만 들어도 우리나라 저작권 인식이 얼마나 땅에 처박혔는지 짐작할 수 있지요. 쓰긴 써야겠는데 돈은 내기 싫다는 건 '도둑'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뿐입니다. (문화산업이야말로 21c첨단 산업입니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째는 우를 범하고있는 거지요, 불법공유자들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05:46
    No. 26

    정말 한국과 중국은 산업적으로 발전을 한다고 해도 문화산업에서는 언젠가는 큰코를 다칠것 같습니다. 컴퓨터 관련 산업도마찬가지고요... 아직 한미FTA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지 못해 잘 모르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아마도 저작권이 강화될듯 한데...윗분의 댓글만 봐도 한국국민들이 얼마나 큰 피해를 입게 될지...걱정이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한수백
    작성일
    07.11.01 06:00
    No. 27

    힘든게 없다.. 소비자 입장에선 그렇죠.
    그런데 공급자, 즉 작가나 게임업체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소비자들이야, 인터넷에서 몇만원자리 몇백원에 받으니 아싸 좋구나지만.
    공급자 입장에선 그게 아닙니다. 그 몇백원도 사이트 운영자가 먹는거지 공급자가 가지는건 10원도 없다는 의미입니다.
    소비자 입장이 아니라 공급자 입장에서 조금만 생각해보면, 답은 이미 나와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라보노
    작성일
    07.11.01 06:10
    No. 28

    허허 법으로 철저하게 다 잡아내면 막을수있죠
    사람의 특성상 자기한테 더 좋은게있다라고 했을때 그쪽으로 끌리는건
    당연한거고요 그런경우 타인에게 불이익이 가는걸 막기위해 법이 존재하지않습니까. 물론 개인들의 의식문제도 있지만 법적으로 철저하게 조사해서 처벌 안한다는것도 큰이유라고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Upez
    작성일
    07.11.01 06:16
    No. 29

    다른건 모르겠는데 한가지 사실만..

    천하종원님// 미국에서도 다 다운받아 듣습니다 -_-.... 앨범판매량이 한국에비해 극도로 높은 이유는 인구가 많아서라는게 가장 맞는 답일 듯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CD사서듣는 미국인 본적 없어요 -_-...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06:20
    No. 30

    아 저는 불법다운이 훨씬 적은걸로 알고 있었는데요...음악사이트가 많고 유료로...다운을 받는다고 알고 있었거든요...특히 영화 같은 경우 미국 유학하는 사람들이 불법다운을 받다가 적발되서 벌금을 많이 물었다는 애기를 들어서....
    제가 잘못알았나 보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06:29
    No. 31

    CD는 당연히 줄어드는 추세지만 미국의 경우 유료 다운로드가 대세라고 알고 있었는데 잘못된 정보였나 보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7 묘재(妙才)
    작성일
    07.11.01 07:13
    No. 32

    저도 유럽입니다만, 이곳도 불법공유가 판을 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한국에 그러거나 말거나 나는 꿋꿋이 돈을 주고 CD를 산다는 계층이 극소수 있는 것처럼 이곳도 그렇죠. 전체 인구도 인구지만, 그 올바른 문화의식을 가진 계층의 %지도 이쪽이 훨씬 높은거 같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레일
    작성일
    07.11.01 07:44
    No. 33

    저자권vs사유재산 이라 해야돼나
    윈도씨디가 이야기 나서 하는말인데
    윈도우사서 집에 컴퓨터2대에 설치 못하는게 옳은 건가요?
    음악파일 사서 일정시간.일정 기계에서만 재생돼면 옳은 건가요
    책을 복사해 공유한거와 책을 사서 친구에 필려준거
    모두 저자권 위반일까요.
    a작가 초판 작품을 구입가보다 비싸게 파는거는 불법인지?
    불법공유도 문제고 판매후 재대로 소비못하게 하는것도 요즘은
    문제인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Milkymoo..
    작성일
    07.11.01 08:42
    No. 34

    안좋은 음악.. 듣지도 않고 사지도 않는...
    우리나라 CD 안사고 안들은지 한참 된것 같네요.
    (하도 방송에서 많이 틀어줘서 텔미는 알고 있지만..ㄱ-;;)

    최근 몇년간 산 앨범들이 죄다 팝송이니.. 끄응..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4 [탈퇴계정]
    작성일
    07.11.01 09:21
    No. 35

    애초에 지적재산권이 너무 쉽게 소비자들이 손에 얻을 수 있다는 것에서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은 달콤한 사탕에 먼저 손을 대는 법이지, 절대 쓴 약을 먼저 들이키지 않습니다. (네? 쓴 약 드시고 사탕으로 입 행구신다고요..? ㅋ;)
    구입하거나 대여해서 지적재산권을 사용하는 것은 소비자들에겐 상당량의 금액이 지출된다는 의미이죠. 그런데... 굳이 이렇게 돈을 들이지 않더라도 쉽게 구할 수 있다면...? 무료로 구해 볼 수 있다면?
    이건 너무 당연한 선택이 되는 겁니다. 자본주의의 논리와 소비자들의 행동이 일치하는 것이죠.
    소비자들에게 도덕적인 뭐시기, 작가의 소유권 어쩌구 저쩌구 말해보아야 생각있는 독자의 경우는 그때뿐이고, 생각없는 독자의 경우는 듣지도 않을 것입니다.
    애초에 유통경로를 봉쇄함이 옳은 길이라고 봅니다.
    (소비자를 비난할 필요 없이 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곰탕재료푸
    작성일
    07.11.01 13:11
    No. 36

    솔직히 우리나라 소득에 비해서 모든 문화컨텐츠가 다른나라보다 훨~~씬 비싼편이죠..음..꼭 현대차 파는거 같은 느낌입니다.
    우리나라는 졸 비싸게 팔고..외국엔 반값에 파는거 말입니다.
    가격이 적정가격이면 정품사죠. 솔직히 우리나라는 넘 비싸요.
    그래서 불법이 상당히 많은거 같아요.
    우리나라 100~150정도 월급쟁이가 다른나라 맥도날드 알바보다도 적으니...캐나다 맥도날드 알바가 시간당 만원정도 받는다고 하네요..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 내말들어
    작성일
    07.11.01 13:15
    No. 37

    그럼 사기꾼들의 노래는 왜듣는데? 아예 듣지를 말든가..이상한 사람들이야..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맑은별
    작성일
    07.11.01 13:38
    No. 38

    하하 불법이 분명 편하고 안쓰는 사람이 없긴하지만

    법이 지켜지지 않는다는점은 문제가 되는거 아닌가요?

    법 지키지않는 다는것은 무슨말을 해도 합리화 되지않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4 [탈퇴계정]
    작성일
    07.11.01 13:47
    No. 39

    노래듣는 사람이 모두가 음반을 사 듣는다면..
    노래시장의 이익이 매우 크겠지요.
    그렇다면 기획사간의 경쟁이 일어납니다..
    그 결과로 음반의 값은 떨어지겠죠.
    이렇게만 된다면... 당당하게 싼값으로 음반을 사 들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노래 질도 좋은 것으로)
    왠지 구성의 모순(맞나?;;)이 떠오르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지드
    작성일
    07.11.01 14:01
    No. 40

    저도 일단 모든 걸 살 수 없지만, '적은 수의 작품에 대해서라도 소비를 해준다면 그리 암울하지 않을거야.' 라고 말하고 싶네요..
    '대여점에서 봤는데, 인터넷에서 다운받아봤는데 작가님 너무 좋아요. 내일 또 빌리러 갈거예요.' 라고..이렇게 쓰시는 분들 보면 정말 개념이 없는 것 같아요.. 자신에게 감동을 주는 책이든 음반이든 게임이든.. 돈 내는 게 그렇게 아까운걸까. 하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Ametista
    작성일
    07.11.01 14:08
    No. 41

    우리나라 pc게임시장이 망한 이유도 비슷하죠.
    인터넷을 통한 공유가 판치니까 국내 게임회사들은 다 망하고.
    외국에선 한국에 정발 안 하고.
    한국에서 게임 구하기 힘드니까 더욱 공유에 의존하고.
    국내 게임이라곤 온라인게임 뿐이고.
    그러다보니 고사양게임 안 만들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금강
    작성일
    07.11.01 14:11
    No. 42

    빌리러 가는 분은 개념없다고 하긴 어려울 듯합니다.
    학생이라면 더더욱 돈이 많지 않을 거구요.
    사보시면 제일 좋겠지만...
    그건 공인된 루트이니까요.
    그래도
    다운받아봤더니 오! 재밌네. 하고 작가에게 쪽지 보내서 책이 아직 안 나왔네요. 나 작가님 팬이야요. 뒷편 파일로 좀 부탁해요...
    라는 분보다야 백번 천번 낫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5 인상뭐있나
    작성일
    07.11.01 15:25
    No. 43

    얼핏 이런얘길 들었습니다 mp3로 들어보고 사야 좋은앨범구입이 가능하다 혹은.. mp3로 안들어보고 샀는데 후회하면 어쩌냐.. 라는 말을 말이죠

    황당합니다.
    그럼mp3가 존재하기전에 cd를 구매했던 그 많은 사람들은 뭐라는건지..

    어떤 뮤지션의 앨범을 산 후 기대이하여서 받은 실망감이나 그냥 문득
    앨범가게에가서 구입한 cd가 너무 맘에 들어서 들뜰수 있는 기분들을
    느끼지 못하는 세상이 올까 두렵네요

    여담이지만..
    곧 토이와 박정현의 신보가 나옵니다. 간만에 설레이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8 夢見
    작성일
    07.11.01 15:36
    No. 44

    금강님// 그런 사람도 있나요? 진짜 갈때까지 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 내말들어
    작성일
    07.11.01 19:15
    No. 45

    TV에 노래들을 안부르는것도 아니고 노래 프로그램이 없는것도 아닌데 무슨 노랜지 모른다고 불법다운하면 집에 TV도 없고 친구도 없고 라디오도 없고... 밖에도 안돌아다니나 보죠?? 길가다보면 들리는게 노랫소리들이구만...ㅜㅜ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Milkymoo..
    작성일
    07.11.01 19:47
    No. 46

    catupiry님// 그 말이 틀린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우리나라 노래는 들어보고 사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검증안된 음반들이 많거든요.

    여담이지만 저는 크리스티나 아길레라를 좋아하는데, 그녀의 음반은 안들어보고 삽니다. 그만큼 잘만들어졌을거라는 확신이 있어서요. 하지만 국내 음반중 그런 확고한 확신을 주는 가수는.. 몇 없는것 같네요.

    (양파의 독특한 음악 세계를 좋아해서, 컴백했을때 5집을 샀는데.. 정말 실망했습니다. 1-4집의 독특한 음악은 거의 사라지고, 그 많은 곡중에 건질만한 곡이.. 3곡이었나. 나머지는 다 우리나라 식의 고만고만한 발라드였죠. 양파의 목소리로만 먹고사는.. 하아. 그래서 웬만하면 앞으로 이 가수의 앨범도 안 살생각입니다. 양파마저도 그럴진데... 살만한 가수가 몇이나 될까요. 이승철이나 이승환같은 분은 제가 별로 좋아하는 가수는 아니고... 옛날 변진섭 음악이나 사고 싶습니다. 20대 초반인데도, 그때 음악들이 그리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8 천하중원
    작성일
    07.11.01 19:56
    No. 47

    mp3만 놓고 보면 저같은 경우는 케이블이나 라디오..그리고 친구들이 추천한곡등을 사이트에서 1곡씩 사서 다운을 받습니다.

    세상이 많이 좋아졌죠...1곡1곡 구매가 가능하니까요....그러다가 마음에 들면 그앨범의 다른곡을 1곡더 구매하고 구매하고 마음에 들면 CD를 구매합니다.

    한달에 음악으로 나가는돈이 마음에 드는 씨디를 살때를 제외하면 만원정도까지 나가더군요.... 커피두잔안마시면 충당이 되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백수행각
    작성일
    07.11.01 20:02
    No. 48

    글쎄요...법이 지켜져야한다는 원칙론에는 공감합니다만 '판매량증가=가격감소'란 공식은 절대 지켜지지 않을겁니다.

    음악은 애초에 경쟁하는 상품이 아니죠. 설사 경쟁하는 상품이라 하더라도 전 올라갔던 가격이 도로 내려가는 경우를 본 적이 없네요. 오히려 대형 기획사들의 수익구조만 확고히 해 주는 결과를 낳겠죠.

    들어보고 사는 것 역시 문제될 것 없다고 봅니다. 단지 문제가 되는건 들어보기 위해 받는 파일이 실제 음반과 아무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다들 음악을 안사게 된다는거죠. 내용물이 어떤지도 모르는데 '음악시장을 위해 사고봅시다'라는 건 말도 안돼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5 인상뭐있나
    작성일
    07.11.01 21:26
    No. 49

    Milkymoon님//
    이렇게 한번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물론 사견이긴하지만말이죠

    검증되지 않은 앨범이 많다 라는것은 그만큼 음악성이 떨어졌다는것인데
    이 이유중하나 역시 앨범시장의 축소에 있다고 봅니다. 그 원인중에 가장 큰것을 말할것도 없이 mp3라고 생각하구요

    '검증되지 않는 앨범이 많으니 mp3를 듣고 사야겠다' or '명반은 어차피 팔리지 않겠느냐'라는 의견이 있다면 이와는 반대로 '먹고사는 문제가 해결된후에 제대로된 음악을 만들수 있지 않겠느냐'라는 겁니다.

    mp3라는 것이 나온이후에 들어보고 앨범을 구입하겠다라는 분들이 많은데 진정으로 묻고싶은게 한곡들어보고 좋으면 앨범을 구입하는 사람이 정말 많을까라는 겁니다. 한곡들어보고 좋으면 그앨범 전체를 다운 받아보지않겠습니까.

    어떤 앨범을 구매한뒤에 가지는 실망감이 우려되기때문에 mp3를 들어봐야 한다는건 핑계라는 생각입니다. 훨씬더 많은 앨범을 구매했던 과거시절엔 그만큼 실망감을 받았던 앨범도 많았으니까요. (저 또한 그랬구요)
    저도 놀란얘기지만 지금의 앨범 시장은 7,8년 앨범시장의 1/10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그당시엔 mp3라는 단어조차 모르던 시절이였죠.

    mp3가 나온이후 음원이 무료로 퍼지고 또한 무한 공유되면서 음악는 무료이고 음악은 공짜로 들을수 있다 의식이 만들어졌다는것이 문제입니다.
    지금은 많은분들이 이를 각성하고 많은 노력을 해서 그래도 mp3음원에 대한 저작권문제라든지 많이 달라지고 있는게 다행이라면 다행일까요.

    이 문제는 앨범을 구매하는 소비자나 음악을 만드는 뮤지션이나 그걸 시장에 내다파는 제작자나 모두의 책임입니다. 바뀔려면 모두 바뀌어야죠
    (근데 그게 힘들다는겁니다..ㅠㅠ)

    혹시나 조금더 시간이 흘러서 어떤 앨범을 사고 받는 모든감정(기쁨, 실망감같은)이 사라질까봐 두렵습니다. 주말에 앨범가게에 가서 몇시간동안 돌아다니며 처음보는 앨범을 구입하는 저, 혹은 그런 모습이 사리질까봐 두렵습니다.

    또한 반성합니다. 멋모르고 CD를 구입후에 mp3로 추출하고 지인들에게 보내주던 저의 모습을 반성합니다. 말은 앨범 꼭사라고 했지만 과연 제가 보내준mp3를 받고 앨범을 산사람이 있나 싶기도 하고 말이죠.

    얘기가 좀 옆으로 세지만
    전 전작을 하는 가수가 많습니다.(전작이라 함은 어떤가수의 앨범을 몽땅 소장하는걸 말하죠)
    이상은, 윤상, 토이, 이소라, 이승환, 패닉 정도가 되겠네요. 중간중간 이뮤지션들이 새로운 시도라는 명목으로 저에게 실망감을 준적도 많지만 어느정도의 오기와 뮤지션의 신뢰감으로 앨범을 구매합니다.
    시간을 돌린다는건 불가능하지만 전 괜시리 이런 상황에 오니 mp3란것에 대해 회의감이 참 많이 드네요
    (미국이나 유럽은 우리와 달리 애초에 mp3다운은 유료라는 의식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이걸 고치기가 참 힘들죠..)


    ps.
    들어보기 위해 받는 파일(mp3)는 실제 음반과 다릅니다.
    다만 이걸 구별하기가 힘들뿐이죠 CDP만큼의 음질을 낼수 있는건 그무엇도 없습니다.(이어폰이나 헤드셋이나 스피커의 영향을 제외하고)
    단 한번이라도 무슨프로그램이든 파일화되면 원음보다 무조건 이하가됩니다... 잘모르시는 분들이 계실까봐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Faber
    작성일
    07.11.01 22:38
    No. 50

    하하하, 요즘 음반에 대한 소비자의 저작권 의식을 문제삼는 분들이 계실줄이야...

    성시경씨도 말하지 않았나요? 유통과정의 이통사들이 소비자가 내는 구매금의 많은 부분을 떼어가고 남은 금액이 저작권자에게 돌아가는 상황이어서 요즘 가수들의 재정 상황이 좋지 못하다는 말을 한 걸로 기억하는데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Faber
    작성일
    07.11.01 22:43
    No. 51

    영화, 드라마, 만화, 소설, 음반 등에 적용하는 신기술이라던가 적정한 과금정책들을 매길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다고 성시경씨가 또 말한 것 같은데...

    지금은 소비자가 나서야 할때가 아니라 정부의 정책이나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해서 불법저작물을 근절하도록 해야하고, 소비자에게는 지속적인 광고로 불법저작물을 통해 저작권자가 얼마나 많은 피해를 보고 있는지 알린다면 우리도 저작권에 대한 국민의식이 한층 더 높아지지 않을까하네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7 로딘
    작성일
    07.11.04 00:54
    No. 52

    한번 국민들 전채가 단채 도용 되봐야 그 의미를 알지도 모르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3841 추천 영지물 추천좀 부탁드려요~ +4 Lv.70 feell 07.11.02 1,983 0
73840 한담 하아 ㅡㅡ; 염전에 먼추다, 스페이스고구려,........ +8 Lv.99 필리온 07.11.02 1,037 0
73839 요청 소설 제목이 갑자기 기억이 안나서 그런데... +1 Lv.1 로겔프 07.11.02 446 0
73838 알림 더세틀러 연재재개하다 +5 Lv.23 gr******.. 07.11.02 591 0
73837 요청 현대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추천점 +14 Lv.99 원고 07.11.02 1,321 0
73836 알림 2권 삭제할 예정입니다. Lv.5 상문천 07.11.02 962 0
73835 추천 [강추]세상을 뒤엎으려는 자! 그 이름은? +2 Lv.1 설미 07.11.02 1,498 0
73834 알림 진천무한, 이사했습니다. +5 Lv.4 우루(雨淚) 07.11.02 551 0
73833 추천 태우..그에게 인생역전은? +2 Lv.1 활중검 07.11.02 909 0
73832 추천 최후의 협객 - 임진광 +4 Lv.99 coopirit 07.11.02 1,080 0
73831 요청 음 이소설을 아시는분 공개 수배합니다!! +11 Lv.18 紫霞神劍 07.11.02 1,141 0
73830 요청 판타지를 써보고 있습니다. 판타지를 좋아하신다면... +15 Lv.30 광별 07.11.02 668 0
73829 알림 운학수룡기 자연란에서 정연란으로 옮겨졌습니다. +3 Lv.7 머플황 07.11.02 587 0
73828 한담 문피아에 새로 오셔서 글을 쓰시는 분들께 +9 Lv.30 광별 07.11.02 677 0
73827 한담 왜 나의 소설은 인기가 없는가? +4 Lv.1 꿈속나라 07.11.02 741 0
73826 홍보 쥐버 마흐. 이상한 이름, 하지만 그 뒤에 숨은 엄... +9 Lv.1 동훈 07.11.02 578 0
73825 알림 진협│무협│완성된 무인... !! +7 Lv.1 [탈퇴계정] 07.11.02 1,226 0
73824 추천 Timeless Time +13 transistor 07.11.02 825 0
73823 추천 박정욱님의 게임소설(?) '황야' 추천 +5 Lv.66 지난한 07.11.02 895 0
73822 요청 급 질문입니다 무공을 견식하고 뭐라고 하나요? +6 Lv.26 Cmoretz 07.11.02 989 0
73821 추천 테프누트님의 '이족전담반' 추천합니다 +6 Lv.1 [탈퇴계정] 07.11.02 1,171 0
73820 추천 추천 여러개 합니다 ㅎ +3 Lv.7 andantee.. 07.11.01 1,119 0
73819 한담 선작엔 초연한게 좋습니다. +7 Lv.34 풍류랑. 07.11.01 726 0
73818 한담 연중 선작 증가- 연참 선작 감소 법칙 +11 Lv.72 Milkymoo.. 07.11.01 825 0
73817 요청 진부동 님의 야신이라는 책.. +6 Lv.19 카이혼 07.11.01 707 0
73816 요청 이 책 제목좀.. +3 Lv.2 강태콩 07.11.01 308 0
73815 한담 홍보로는 선작이 얼마까지 올라갈까요?? +11 Lv.63 샤이나크 07.11.01 503 0
73814 한담 선작의 미스터리? +7 Lv.83 가감승제 07.11.01 539 0
73813 추천 달마야 게임하자~ 궁's 추천합니다. +1 Lv.19 크라운. 07.11.01 735 0
73812 홍보 [드워프의 영지 발전물]소소하지만 따스한 정과 감... +2 Lv.45 공상세계 07.11.01 924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