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작성자
이성욱
작성
07.08.21 13:56
조회
657

출판부수와 리플 등등에 고민하시는 분들은 독자가 아니라 작가님이시니..

작가님들끼리 얘기하는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모습들이 있을꺼 같네요..

대여점은 없어져야 하나요?

대여점에서 책을 보고 맘에 들면 꼭 사서 보라는 이야기인가요?

도서관은 어떻게 활용해야 하죠? 도서관은 생활보호대상자 외에는 책을 못보게 해야 하는건가요?

대여점, 서점, 도서관 등등이 어떤 식으로 있어야 하는건가요?


Comment ' 26

  • 작성자
    조성빈
    작성일
    07.08.21 13:58
    No. 1

    작가님들도 다 개인마다의 생각이 달라요. 한마디로 정의할 수 없어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飛劍
    작성일
    07.08.21 13:59
    No. 2

    저는 작가가 아니기에 그분들의 고충을 '정확히, 뼈저리게' 알지 못하기에 쉽게 말씀드릴 순 없습니다만..

    분명한건, 지금의 독서문화 형태가 제대로 돌아가고 있지 않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우리나라 독서량이 어마어마하게 적다는건 이미 유명해서 언급할 필요도 없겠죠.
    하다못해 M사 방송에서 책을 읽으라고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었을 정도니깐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림랑
    작성일
    07.08.21 14:00
    No. 3

    적어도 이 분야에서 최고가 된다면
    다른 분야에서 최고만큼의 사회적 지위와 명예, 보수 따위가 보장되는 거였으면 좋겠습니다.

    명작들로 손꼽히는 작품들, 그리고 그런 작품들을 쓰신 작가분들이...
    적어도 해리포터 쓰신 죠앤롤링님만큼만 된다면 좋을 것 같은데요.

    물론.... 운도 따라야 하고 실력도 있어야 하겠지만
    전체적으로 장르소설작가의 한계가 너무 낮으니 문제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둔저
    작성일
    07.08.21 14:02
    No. 4

    작가분들마다 달라서 획일적으로 말할 수가 없습니다.

    도서관과 대여점의 차이는...
    도서관은 '사람들이 안 빌려가서 반품합니다'라고 하지도 않고, 뭔가 이익을 원하는 곳도 아닙니다.
    대여점을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도서관과 대여점을 같은 곳으로 볼 수는 없다는 뜻입니다.

    대여점이 사라져야 한다는 분도 계시고, 대여점이 필요하다는 분도 계시고..... 작가분들 마다 달라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Adun
    작성일
    07.08.21 14:03
    No. 5

    사실 대여점이 없어지면 망하는 건 양판소 시장 전체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훈.D
    작성일
    07.08.21 14:40
    No. 6

    대여점이 없어지기 전에 그걸 만회할 수 있는 다른 시스템이 먼저 만들어져야겠죠.

    책을 내기 전에 인터넷에 연재하는 분량도 점점 줄어들고, 여러 가지 시도들을 해 보고 있습니다만, 그게 잘 안 되고 있으니 답답한거죠.

    작가들은 작가들 나름대로 여러 고민을 하고 여러 생각을 주고 받고 있고, 출판사들은 출판사들 나름대로 어떻게 해야 이 위기를 모면할 수 있을지 방안 모색에 골머리를 앓고 있죠.

    하루 아침에 뭔가 결론이 뚝딱 나올 수 있는 문제가 아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park77
    작성일
    07.08.21 15:10
    No. 7

    대여점을 없앤다라??? 그럼 대여점 하는 분들은 어케해야 할까요?? 다른 시스템으로 맞추어 전환하실 수 있으면 좋지만... 비용이 이만 저만이 아닐텐데... 너무들 쉽게 말씀하시는 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피하지마요
    작성일
    07.08.21 16:03
    No. 8

    솔직히. 10여년전에 책값 4,5천원 할때만해도 조금은 부담이었지만 망설이지 않고 샀었습니다.
    책한권에 7,8천원이니 한질만 사도 10만원에 가까운 금액이 소요됩니다. 이건 직장인이래도 솔직히 좀 부담스러운 금액이지요. 만약에 책값이 2,3천원만 한다면 어떨까요? 그래도 안팔릴까요? 지금 7,8천원에 100권 판다면 2,3천원에 1000권 안 팔릴까요?
    원가가 올라가고 팔리는게 없어서 수익을 충당하기 위해 판매가를 올리기보다는 부담없는 가격에 한권이라도 더 많이 파는게 좋을거 같다는 생각도 해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금강
    작성일
    07.08.21 16:12
    No. 9

    지금 대여점이 사라지면?
    독자들이 책을 사볼까요?
    안 그렇습니다.
    현실적으로 대여점이 사라지면 대안이 없습니다.
    특히 이제 시작하는 작가들에게는 더더욱 그렇지요.
    해서 대여점이 문제...라는 건 의미가 없는 이야기입니다.
    대여점은 작가를 위해 존재하는 곳이 아닙니다.
    책이 이득을 주지 않으면 그 책을 받을 수가 없습니다.
    대여점 탓이 아니라는 겁니다.
    어떤 글을 찾는 독자가 많으면, 그 어떤 글쪽으로 책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손해보면서 대여점 할 수 없지 않습니까?
    간혹 책이 좋아서 대여점 하는 분도 계셔서 그 분들은 자신이 그 책을 두고 싶어서 두는 경우도 있는 걸로 압니다만...
    이게 어디서나 다하긴 어렵지요.
    결국 구조적으로 쉬운 글이 득세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이라는 거지요.

    결론은 독자들이 조금 더 활발히 움직여주셔서...
    정말 살아나야 할 작가라고 보이면...
    저 작가 책 사주자. 해주시면 좋겠죠...(바람입니다.)
    어쨌거나 좋은 책도 좀 팔릴 수 있는 체제가 되면... 하는 게 작가들의 바람이고, 또 작가들은 그러한 책을 내놓아야 할 의무가 있어서 괴로워하고 있습니다.
    그런 책을 내놓기가 정말 만만하지가 않아서요.
    작가도 생활해야 하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양민학살자
    작성일
    07.08.21 16:28
    No. 10

    장르소설의 실수요자는 10대들입니다. 내용은 10대들을 향하고 있지만 책의 가격에서 솔직히 자기가 아무리 보고 싶더라도 몇만 원씩 써가며 보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거죠.
    그리고 작가님들에게는 죄송하지만 솔직히 요즘 글들은 틀에 박힌 세계관에 틀에 박힌 설정뿐이라 더더욱 불가능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제 생각에는 일단 가격에서 팍줄이는게아니라 점차 단계적으로 줄여가며 내용 면에서는 10대들의 의식을 변화시킬수 있도록 너무 팍변화시키면 안볼 테니 조금씩 서로 유기적으로 변화시키는 게 가장이상적일듯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0 사랑의계절
    작성일
    07.08.21 19:53
    No. 11

    -지금 대여점이 사라지면?
    독자들이 책을 사볼까요?
    안 그렇습니다.
    현실적으로 대여점이 사라지면 대안이 없습니다.
    특히 이제 시작하는 작가들에게는 더더욱 그렇지요.
    해서 대여점이 문제...라는 건 의미가 없는 이야기입니다.-

    금강님이 말씀하신이부분을 읽으면서 이생각이문득듭니다.
    그럼 불펌은 뭐가문제입니까? 입니다.

    불펌은 저작권법위반이라고 단속하시는걸로알고있습니다만.
    대여점은 책을한권이라도 사기때문에 그책을 다른사람에게 빌려주면서 이득을취하는것 자체가 저작권법위반은아니다라고생각하시는건가요?

    책을사서 인터넷에 글을 퍼올리는사람과 대여점의 차이가 뭡니까?
    대여점을 대하는 이런 느슨한저작권의식이 문제라는생각은 안해보셨는지요?
    저작권은 말그대로 작가의 권리입니다. 그권리가 대여점으로 인해충분히 침해당하는걸로보이는데 그건 저만의 생각인건가요?

    그대여점에서 빌려보는 수많은사람중에서 대여점이 사라지면 책을 사보지않는다고 단정하시는 근거가 뭔지도 궁금하네요.
    오히려 책사보던사람조차 대여점으로인해 몇권에 책사는것보다 많은책을보는것으로 갈음한다는 생각은안드시던가요?
    대여점이란시스템이 출판시장 특히 장르문학에있어서얼마나큰비중을차지하는지아시는분이 대여점이 문제가아니라고 인식하시니 시장시스템자체가바뀌긴 요원한것같네요.
    호랑이를잡으려면 호랑이굴에 들어가야하는건 당연한이치인데
    저건문제가아냐. 이러면서 외면하면 누가 호랑이를잡죠?

    작가분들 스스로가 권리를 찾을생각은안하고 독자들이 부지런히움직이라니.. 이건뭔가 순서가바뀐거아닌가하는생각이드네요.독자는 극소수열혈팬을제외하고는 시장논리에 충실합니다.700원이면 한권빌려보는시스템이 버젓이있는데 8천원주고 사볼사람이 적은건 당연한이치아닙니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류현留賢
    작성일
    07.08.21 20:46
    No. 12

    불펌 파일을 봄으로서 대여점으로 들어갈 책 한권조차 안 팔릴 거라는 생각은 안 해보셨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불멸의망치
    작성일
    07.08.21 20:55
    No. 13

    불펌 파일은 작가의 그 최소한의 권리마저 침해해서 죽이는 겁니다.
    애초 주장의 기반이 되는 생각자체가 잘못되셨습니다.
    현재 호랑이 잡으려고 호랑이 굴 들어가서 모두 몰살당하는 상황만 존재합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으려고 하는 건데 궁극의한량님의 말은 작가한테 그냥 호랑이 한테 물려죽으라는 말밖에 되지 않는다고 생각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이성욱
    작성일
    07.08.21 20:58
    No. 14

    토론마당의 궁극의한량님 댓글들이 원론적으로 맞은 얘기이고, 금강님의 댓글도 현실적으로 맞은 얘기이니..
    참 미치겠군요..ㅋㅋ
    진짜 답이 안나오네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ARISU
    작성일
    07.08.21 21:18
    No. 15

    대여점은 없어져야 합니다. 당장은 혼란스럽겠지만 대여점이 없어져야 출판 문화가 제자리를 잡습니다.

    대신 도서관이 활성화 되어야죠. 동네마다 도서관을 세우고 그 도서관마다 신간 서적을 들여놓는다고 생각해보세요..... 몇 천부는 기본으로 나갑니다. 자연히 도서관에서 비치할만한 가치가 있는 제대로 된 책들이 발간 될 겁니다. 도서관에서 빌려 본 사람들은 그 책이 마음에 들면 기꺼이 소장용으로 살 거고요.

    제 말이 너무 꿈 같은가요?

    현재 상황에서 대여점을 같이 끌어안고 살아보겠다는 것은 같이 망하자는 말밖에 되지 않습니다. 대여점이 시작된 이래, 출판 시장은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습니다.

    비단 장르시장 뿐이 아닙니다. 일반 문학에서도 베스트셀러 나오지 않습니다. 출판 부수 계속 줄어듭니다. 잘팔리는 책이라면 일반소설이라고 해서 대여점에서 들여놓지 않는 것은 아니니까요.

    영국에서 해리포터가 태어난 것은 영국의 공립 도서관 덕분이었다고 합니다. 도서관은 가난한 조앤롤링이 마음껏 책을 읽고 공부할 수 있었던 토양이 되어 주었던 것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불멸의망치
    작성일
    07.08.21 21:38
    No. 16

    도서관 활성화된다고 이쪽 시장이 부흥할까요? -_-;;
    절대 아니라고 보입니다.
    도서관에서 장르소설을 다 소화도 못시킬뿐더러......
    도서관 수천곳이 우리나라에서는 생길 수가 없습니다.
    장르 소설만 전문으로 비치하는 도서관이라도 불가능한데, 온갖 책들을 구비하고 장소까지 제공해야 하는 도서관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구 마다 하나씩 도서관 운용하는 것도 상당히 빠듯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불멸의망치
    작성일
    07.08.21 21:39
    No. 17

    현재 국내 대여점이 약 6000곳 정도라고 하는데, 그렇게 되면 도서관이 책대여점의 빈자리를 대신할 뿐이지, 대안이 되지는 않을거라고 생각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ARISU
    작성일
    07.08.21 21:51
    No. 18

    그렇지 않습니다. 도서관과 대여점은 성격 자체가 다릅니다. 절대로 도서관이 대여점의 빈자리를 채우게 되진 않습니다. 도서관에 예산이 많이 들어간다고요? 지금 혈세가 새는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닌데.... 도서관을 돈이 없어 못 짓겠다는 것은 까놓고 말해 정부의 직무유기입니다. 저 옛날 살던 동네에 시립 도서관을 가려면 전철타고 15분 걸어서 20분을 갔습니다. 그 시절에 매주 1번씩 도서관을 드나들며 정말 좋은 책을 많이 읽었습니다. 대여점을 없애고 지금 있는 도서관에서 신간 구입 비용만 늘려도 출판 시장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됩니다. 출판 시장과 장르시장은 별개의 것이 아닙니다. 그렇게 되면 출판사에서 장르 소설도 양질의 책을 내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ARISU
    작성일
    07.08.21 21:53
    No. 19

    도서관 신축에 비용이 많이 든다면 기존의 학교 도서관이나 공공 도서관, 동사무소 구청등의 공간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사업입니다. 문제는 문화 사업을 거렁뱅이 동냥주는줄 아는 관계 기관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불멸의망치
    작성일
    07.08.21 21:54
    No. 20

    제가 예산이 빠듯하다고 했던 이유가 바로 쓸데없는데 혈세만 새고 제대로 운용이 안되는 것을 감안해서 한 말입니다.
    우리나라 공무원들과 정부기관이 바뀌지 않는 이상 도서관의 확충은 거의 불가능하니까요. -_-;;;
    쓸데없는데 혈세만 나가고 정작 필요한 곳에 투입 안되는 것이 한둘이 아니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불멸의망치
    작성일
    07.08.21 23:10
    No. 21

    그리고 동사무소랑 구청 등에 이미 소지역 도서관화 사업 시행된지 5년 넘었습니다. 제가 그당시 그 일에 잠시 참여했었습니다.
    다만 제대로 실효를 못거두었을 뿐이죠.
    책을 들이고 보관할 만한 장소에도 한계가 있고, 들여놓더라도 무협이나 환타지는 안들여놓습니다.
    로마인 이야기나 태백산맥 같은 책을 들여놓으면 들여놓지, 무협 환타지 시리즈는 그런 소지역 도서관화 사업에 들여놓을 수가 없습니다.
    실제로 로마인 이야기같은 글과 여러 소위 양서들을 집중해서 들여놓았지 장르소설은 잘 안들여놓습니다.
    그리고 책을 계속 순환시켜주는 데는 한계가 있고, 실제로 이용하는 사람도 극소수였습니다. 홍보도 제대로 되지 않았고요.
    어쩔 수 없는 현실이죠. 이게. 안타깝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박정욱
    작성일
    07.08.21 23:45
    No. 22

    도서관 이야기가 나와서 사족으로 덧붙여 봅니다. 도서관 계통에서 일해본 사람으로써, 우리나라에서 도서관이 잘되기는 대여점 문제보다 더 어렵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도서관은 대개는 모기관이 있는 수익이 안나오는 비영리 단체 즉, 돈이 안나오는 문화 산업으로 분기별 예산 편성에서 가장 열외, 그나마도 인터넷 발달 이후로 단행본 구입 예산이 점점 떨어지고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책 한권을 구비하여 분류해서 보관하여 이용자에게 이용시키는 것에 드는 비용은 대여점과는 천지차이지요. 간단하게 개인 돈과 남의 돈 쓰는 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 뒤에 존재하는 복잡한 서류상의 문제가 있습니다. 더군다나 회전 주기가 빠른 장르소설이 대여점처럼 도서관에 구비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납본을 받는 국립중앙도서관이나 가능한 일이지요...

    여러가지 의미로 출판 시장이 과도기라고 생각합니다.
    질풍 노도의 시기를 잘 넘어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조류소년
    작성일
    07.08.22 00:28
    No. 23

    요즘 주 수요층이 10대고 작품들도 10대에 겨냥해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무협,판타지를 읽으면 욕만 먹습니다. 학교에서 무협,판타지 읽고 있다가 선생님이 보시면 바로 뺏어갑니다. 무슨 학교에서 무협지따위나 보고있냐고 (참고로 수업시간이 아닌 쉬는시간,점심시간 등)뭐라고 하면서 뺏어갑니다. 자율학습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반 소설책들은 뭐라고 안하면서 무협,판타지만 뺏어갑니다. 따로 집에와서 읽을 시간이 없어서 학교에서 읽으면 뺏어가는데 어떡합니까? 책을 빌릴수도, 살수도 없는 처지입니다. 주 수요층인 10대들이 이런 처지인데 책을 구입해달라고 하시면 ... 좀 비관적이지만 제 결론은 이 문제는 절대 해결될 수 없다는 겁니다. 기성세대들의 머리를 열어서 무협,판타지에 대한 편견을 아예 없애버리기 전에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카이렌샤
    작성일
    07.08.22 00:38
    No. 24

    다들 잊는 것이 하나 있는 듯 한데, 도서관과 대여점의 차이는 '개인의 사업이냐, 공적인 계획이냐' 입니다.
    당연 도서관은 대여점보다 더 많은 도서를 보유하는 것이지만, 장르가 상당히 넓고 전문적인 쪽과 일반 소설(로마인이야기라던지, 태백산맥 등을 말합니다.)을 주로 받는 곳입니다. 현재 나오는 장르 문학이 대여점처럼 50%이상 들어갈 수 없다는 말입니다.

    하루에도 무수히 많은 도서가 쏟아지고, 그 중 장르 문학의 경우,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하루 4~6권씩 나옵니다. 그런데 그 책이 도서관에 다 들어갈 수 있을까요?

    턱도 없이 모자랍니다.
    장르문학 넣으려고, 일반 소설들을 목록에서 제낄까요?
    말도 안됩니다.
    도서관의 설립 목적은 좀 더 유익한 정보 등을 습득하기 위한 쪽에 가깝습니다.
    대여점이요? 대여점은 '오락'을 위한 개인사업에 가깝지요.


    만약 대여점이 없어진다면요?
    도서관에 들어가는 장르문학이란 낙타를 바늘 구멍에 통과시킬 만틈 작아지겠네요.
    그럼, 지금 대여점을 겨냥해서 내는 판타지, 로맨스 소설들은 대부분 다 죽는다고 보면 될껍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카이렌샤
    작성일
    07.08.22 00:42
    No. 25

    참고로, 대여점에서 판타지 소설들의 주고객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10대가 아닌(학교부근에 있는 대여점들은 10대가 주 고객이겠지요.) 20대가 많습니다.

    보통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기분전환 용으로 많이 빌리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ARISU
    작성일
    07.08.22 07:10
    No. 26

    지금 대여점을 위해 나오는 책들 8~90%이상이 있으나 없으나 별다를 것 없는 책들입니다. 그런 책들을 출판하기 위해서 대여점 제도가 계속되어야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제대로 된 책 만들면 장르소설이라고 해서 도서관에 들어갈수 없다는 법은 없습니다.

    문화산업은 시장 논리만으로 접근해선 안된다는 것이 정론입니다. 지금 한국 영화가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가지는 건 영화인들이 스크린쿼터를 지켜냈기 때문입니다. 출판계의 스크린 쿼터는 도서관일 수 밖에 없습니다. 아무리 케케묵은 소리 같아도 도서관 외에 출판시장을 지켜낼 왕도는 없습니다.

    아까도 말했지만, 도서구입 예산이 터무니없이 작기 때문에 장르 서적을 들여놓지 않는 것이지, 예산이 상식선으로만 올라간다 하더라도 장르 소설이라 해서 들여놓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전국의 동사무소들이 도서관을 갖추고 풍부한 신간 구입 예산을 가지고 새로 나온 책들을 산다면? 출판사들은 즉시 편집 직원부터 확충할 겁니다. 적어도 책다운 책이라야 도서관에서 들여놓을 테니까요.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도서관에 대한 인식이 모자란다고요? 인식은 밑에서 위로 올라가는 겁니다. 자꾸만 이런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하고 공론화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판 시장을 지키는 스크린 쿼터는 도서관이 되어주어야 합니다. 그 외의 대안은 없습니다. 도서관을 젖혀놓고 대안을 찾는다는 것은 헛짓입니다. 문화산업은 공공기관이 나서서 보호해주지 않는다면 필연적으로 악화가 양화를 구축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0547 한담 문피아가 느려진것같아요. +8 Lv.56 아자씨 07.08.22 473 0
70546 요청 이런 소설 추천해주세요~ +3 Lv.2 타라타라 07.08.22 543 0
70545 한담 대리만족을 위함이 주가되나요? +15 Lv.1 르씨엘 07.08.22 720 0
70544 추천 광기어린 진혼곡 "인페르노" 강력추천 +4 Lv.15 전설(傳說) 07.08.22 528 0
70543 요청 혹시 레드서클이라는 책.. +5 Lv.1 운후소월 07.08.22 438 0
70542 추천 'ji현'님의 FantasticLife +5 Lv.71 유주(柳珠) 07.08.22 963 0
70541 요청 풍사전기가 지워진 이유? +5 Lv.2 강태콩 07.08.22 861 0
70540 추천 [추천] 누구 앞에서든 당당하게 선보일 수 있는 글. +5 Lv.1 飛劍 07.08.22 1,449 0
70539 요청 그라데네이션의 행방을 아시는분? +4 Lv.99 카루안 07.08.22 324 0
70538 한담 출간된 쾌도난마 1권을 보고... +8 Lv.99 蜀山 07.08.22 805 0
70537 요청 소설추천좀.. +9 Lv.1 데스베리 07.08.22 386 0
70536 알림 설문을 위한 전체쪽지가 계속 갈 예정입니다. +6 Personacon 금강 07.08.22 996 0
70535 요청 일러스트에 대해 배워 보려고 합니다.^^ 잘 아시는... +3 Lv.54 김태현 07.08.22 449 0
70534 요청 게임소설 추천부탁드립니다 +17 Lv.1 반왕 07.08.22 1,254 0
70533 공지 5월의 별 님께 주의 1회 드립니다. +3 Lv.1 [탈퇴계정] 07.08.22 2,145 0
70532 알림 ProSpecter│판타지│The 블랙스펙터-!! +6 Lv.1 [탈퇴계정] 07.08.22 806 0
70531 알림 현사│무협│천황지무 - 삼황의 전설이 시작된다!! +2 Lv.1 [탈퇴계정] 07.08.22 955 0
70530 알림 신린│퓨전│에아모아 - 이젠 판타지 로맨스다!! +3 Lv.1 [탈퇴계정] 07.08.22 842 0
70529 알림 풍류성│무협│절대검객 - 검객시리즈 2탄!! +3 Lv.1 [탈퇴계정] 07.08.22 1,782 0
70528 추천 추천합니다! (교사범충) +5 Lv.83 basal 07.08.22 1,267 0
70527 요청 소설추천좀~ +3 Lv.99 마법저아 07.08.22 447 0
70526 요청 작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2 Lv.1 탐탐 07.08.22 1,003 0
70525 한담 삼재검왕의 비룡독마제입니다. +20 Lv.3 정차홍 07.08.22 1,297 0
70524 추천 볼만한 소설을 추천합니다< THE블랙스팩터> +3 룬마스터 07.08.22 825 0
70523 요청 좋은작 하나 추천해주실분~ +8 Lv.7 andantee.. 07.08.22 532 0
70522 요청 N = 행복 !!!----> 여러분 행복한가요!!! +8 Lv.99 logactor 07.08.22 478 0
70521 요청 질문입니다. +1 Lv.99 무상상인 07.08.22 283 0
70520 요청 유쾌상쾌통쾌한 글을 찾습니다~ +9 Lv.79 제르엔 07.08.21 768 0
70519 요청 질문입니다 ㅎ Lv.64 꽃웃음 07.08.21 397 0
70518 추천 나도 빨리 당당하게 삥땅 칠수 있기를!!!! +3 Lv.83 AuEagle 07.08.21 1,040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