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작성자
Lv.8 무명박
작성
14.07.01 07:51
조회
2,491

아래 두 개의 주소에 있는 글에 대한 답변입니다.


글주소 http://square.munpia.com/boTalk/653251
먼치킨이 소시민적 성격이면 찌질한 것일까?  - 댓글 24
글주소 http://square.munpia.com/boTalk/653274
사람이 힘이 생기면 반드시 꼭 쓰고 싶어질까?  - 댓글 12


키르키스님이 위와 같은 두 개의 의문을 가지고 연재한담 게시판에 올렸는데 의견들이 꽤 진지하게 많이 올라 왔다고 생각합니다.


필자인 무명박 또한 몇 가지 생각이 있어 간단한 답변으로는 어려울 것 같아서 본문으로 올립니다.


먼치킨 능력의 주인공이 욕망을 발산하지 않고 은둔을 하며 사는 크게 네 가지 유형에 대해서입니다.


1. 이미 그러한 욕망을 마음껏 분출한 기억이 있을 경우.


좋은 노래도 어쩌다 한두번이라고 합니다. 아무리 좋은 노래라 하여도 24시간 그 노래만 틀며 지낸다고 생각 해 보십시요. 아무리 명곡 중의 명곡이라 하여도 나중에는 일상이 되어 무신경하게 느껴지거나 어쩌면 소음으로 생각 될 것입니다.


요즘 차원이동물 영혼회귀물 또는 단순히 현생에서 전생을 기억하는 설정들이 장르를 이루며 많은 소설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그러한 설정으로 현재의 삶 이전의 기억에서 이미 마음껏 할 거 다 해 보고 그러한 욕망의 분출이 오히려 귀찮은 일 중에 하나로 생각 될 정도가 되었다면 영웅놀이 연애놀이 재벌놀이 이런 것들이 정말 아이들 장난 처럼 시시하게 여겨질 것입니다.


어쩌면 너무나 지겨워서 그러한 일은 아에 관심이 가지 않고 오히려 농촌에서 평범한 일상과 자연을 감상하며 꽃이나 과일 곡식들을 키우는 것에 더 재미 있어 할 수도 있습니다.


2. 현재 주인공의 삶이 어느 한 분야의 정상 즉 Top 클래스에 있을 경우 그 자리만으로도 이미 피곤함을 절실하게 느낄 때.


소설 속이든 현실이든 어떤 무리들 중에서 그 분야의 정상에 선다는 것은 이미 수 많은 시기와 질투 견제 모략 그리고 그것을 반대 하고자 하는 무리들의 집단적 결집에 의한 왕따와 정상의 재능을 이길 수 있는 세력의 힘으로 누르려고 할 때, 소설이든 현실이든 능력 있는 해당 당사자가 그러한 것에 이미 지쳐서 다른 욕망을 분출할 여력이 없을 경우 그저 쉬고 싶다고 하거나 또 다른 능력을 개발하여 욕망을 달성하는 것에 대해서 기존의 피곤함과 더불어 또 다른 피곤함을 창출하고 싶지 않을 때입니다.


한가지 분야라도 정상에 올라서면 이미 그 명성이 세상에 알려져서 다른 분야에 진출하기도 쉬울 뿐 아니라 성공할 확률도 높습니다. 그런데 이미 그러한 과정이 또 다른 시기 질투 견제를 그 해당 분야의 종사자들에게 생길 것이 뻔하다고 생각할 경우 이것은 또 다른 피곤함을 양산하는 경우에 해당 됩니다.


톱 클래스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의 경우만 보아도 그들이 유명인이 되기 전 까지는 팬들과 조금이라도 가깝게 지내려 애쓰지만 유명인의 반열에 올라 가면 이곳 저곳에서 오라고 하는 일이 많아져서 그 자체 업무량을 소화해 내기도 벅찰 뿐더러 팬들과의 만남도 과거처럼 그다지 즐겁지 않게 됩니다.


세계적인 거부 워렌 버핏의 경우만 보아도 그와 함께 한 번의 점심 식사를 하는 조건의 권리를 주는 경매에서 22억으로 낙찰 된 것은 위에 열거한 여러가지 경우들에 대한 종합적인 결과물입니다. 물론 워렌 버핏에게 22억 보다 더 큰 투자 정보를 자신만이 획득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많겠지만 그것도 다른 정상급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자신이 원하지 않는 만남에 대해서 또 그들에게는 시간이 곧 돈으로 직결되는 그들의 빡빡한 스케쥴을 생각하면 마찬가지 경우에 속합니다.


특히 정상에 올라 서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시기 질투 견제 등의 상황을 많이 당한 경우라면, 일종의 대인기피증과 같이 사람을 만났을 때 그 사람이 과거 자기를 괴롭혔던 유형과 비슷하다고 느끼는 경우일 때 더욱 피곤하게 여길 것입니다.


3. 욕망의 분출 보다 더욱 큰 이상과 꿈이 있을 때.


남들이 보기에는 엄청난 능력의 소유자가 그것을 쓰지 않고 다른 것에만 관심을 두고 있을 때 오히려 분노와 허탈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먼치킨 소설을 익는 독자의 경우에서 주인공을 통한 대리만족으로 재미를 느끼고자 했을 때 그것을 충족 시켜 주지 않는 작가에 대한 원망 까지 생겨 나면서 이 글을 쓰게 만든 키르키스님의 경우 처럼 그러한 원망에 대한 반론적 성격의 질문으로 게시판에 글을 올렸을 것입니다.


그런데 히딩크 감독이 말해서 유명해진 "나는 아직도 배가 고프다."의 경우 처럼 남들이 보기에는 돈도 많고 재능도 많고 절세의 용모를 소유한 자가 그러한 것을 주변의 친구들이나 가까운 이웃들에게 베풀면서 살면 그 덕에 친구나 이웃들은 자신들이 할 수 없었던 것에 대한 욕망을 해당자로 부터 어쩌면 당연히 받아야 할 것 처럼 생각 했던 것들에 대한 해당자의 무관심으로 인해 그러한 욕망이 실현되지 않았을 때 원망을 하거나 의리 없다고 하거나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주의자로 몰아 가게 될 것입니다.


그럼 그 당사자는 왜 그렇게 하지 않는가? 그러한 일에 투자하는 시간이 아까운 경우입니다. 위 1번 항과 2번 항의 경우에서도 그럴 시간이 있으면 차라리 다른 것을 찾는 것과 같이 더 큰 이상과 꿈이 있고 아직도 배가 고픈 자에게는 주변에서 능력을 함께 공유하자고 했을 때 그러한 공유하는 시간이 너무나 아까운 당사자는 그렇게 할 수 없게 됩니다.


아직도 배가 고픈데 심심하고 영양가 없는 맹물을 잔뜩 권하면서 물배만 채우라고 옆에서 투정을 부린다면 그것을 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4. 욕망이 헛되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다른 종교에서도 많이 일어나는 현상이기도 하지만 특히 불교나 도교에서는 무위(無爲)사상이라고 해서 "하지 말 것"에 대한 강조가 많습니다. 이 세상은 영화 매트릭스와 같은 정교한 법칙 즉 인과율에 따른 시스템적 운영 법칙이 작동하고 있어서 무엇인가 했을 때 그것에 대한 카르마라고 하거나 과보라고 하는 것이 자신에게 다가 오기 때문에 오히려 하지 않음만 못한 일들이 많다고 보는 편입니다.


반대로 유교에서는 입신양명이라고 하는데 세상에 나간다는 의미의 출세를 하여 이름을 널리 떨치는 것을 큰 덕목으로 삼았지만 그렇게 출세를 했던 많은 유명인들이 그 유명한 만큼의 유명세를 거의 대부분 받고 산다는 것을 일찌감치 깨달았을 때 능력이 많아지는 것은 좋겠지만 그렇게 능력을 마음껏 분출 했을 때 다가오는 유명세가 오히려 능력이 없는 것 보다 못한 처지로 바뀌게 되면 더욱 큰 불행을 맛 보게 될 것입니다.


가령 톱 클래스의 여배우가 좋은 시절에 많은 돈을 벌고 세상의 모든 주목을 받고 살았지만 그 능력을 함부로 남용하고 분출하여 욕망을 채우며 지냈다면 그 끝 없어 보이던 능력도 어느새 사라지고 인기도 시들해졌을 때 시시한 배역은 주인공만 하던 자라면 누구라도 하기 싫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써야 할 돈은 매월 품위유지를 위해서 늘어나면 늘어났지 줄어들지 않고 들어오는 돈은 점점 줄어들면서 친구도 떠나고 돈도 떠나고 그렇다고 아무 배역이나 할 수 없는 상황에 몰리게 되어 나중에는 빚만 늘어나서 조연이 아닌 아주 작은 배역이라도 하고 싶어 하지만 그 조차도 극중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고 거부 될 때 세상에서 그녀가 할 일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그러한 것들을 일찌감치 깨달아서 욕망이 헛되다는 것을 알았다면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예전에 한국의 석학들이 모여서 "욕망, 고통인가 또 다른 의지인가?" 라는 주제로 열린 세미나를 보았는데 욕망은 고통이면서 또 다른 이상과 꿈을 실현 시키고자 하는 의지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잘 사용하면 이상과 꿈을 실현 시키는 의지가 될 것이요 그렇지 않으면 고통만 낳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p.s: 지난 번에 이곳 문피아가 디씨인사이드도 아닌데 글 좀 간단하게 요약해서 말하라고 하더군요. 글을 반드시 길게만 쓴다고 좋은 것은 아니지만 이곳은 연참을 요구하는 독자나 사업자인 금강님이나 그리고 나를 포함한 작가들에게 우선적으로 요구하고 요구되는 "많은 분량"을 강조하는 곳입니다. 하여튼 꼭 필요한 말들만 언급해도 길어지니 내게는 어쩔 수 없는 경우이기는 합니다. 그래도 한줄요약을 원하는 독자들에게 남기겠습니다.


ㅎㅈㅇㅇ: 욕망은 고통이기도 하고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이기도 하다.


Comment ' 12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7.01 09:04
    No. 1

    저는 개인적으로 장문의 글을 좋아합니다. 무명박님의 글은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무명박 님은 조용히 사는 것에 대해 말씀하셨지만, 그 점은 소시민적 삶을 영위하는 것은 조금 다르다고 봅니다. 4번의 경우가 특히 그렇죠. 소시민이란 욕망이 있지만 이루지 못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소시민적 욕망은 사회의 대다수가 바라는 그런 것들을 말하죠. 그리고 욕망은 부재에서 만족으로 나아가려는 힘을 말하는 것입니다.
    위 3가지를 고려해본다면, 그래서 소시민적 욕망에 적당한 힘이 있는 자가 남들에 비해 튀지 않고 싶다는 것은 충분히 포섭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드래곤이 약한 척하는 것은 그 정체가 밝혀지는 순간, 진짜 소시민들에겐 아주 가증스럽게 느껴질 겁니다.

    무명박님은 조용히 사는 자에 대한 예시를 들어주셨지만, 그곳에도 그러한 소시민의 이야기를 최대한 개연적으로 엮을 수 있는 가능성이 들어있습니다. 특히 23번 같은 경우는 충분히 그것에 대한 설명이 갖추어졌죠.

    하지만, 물론 그것을 독자들이 얼마나 납득할지는 사람들마다 다를 것입니다. 갑질에 치이는 힘 없는 사람들에게 1,2 번은 별로 공감 받기 쉬운 인과관계는 절대 아니며 특별한 능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겐 3번 같은 경우 무명박님이 제시하신 대로 분노와 허탈감이 느껴지기도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을 작가만의 독창적인 소재로 멋지게 연결시키면 정말 살아 숨쉬는 그런 인물이 탄생할 듯 하네요. 물론 그걸 독자에게 공감 받는다는 것은 작가에게 아주 난이도 있는 도전이 될 거 같습니다.

    모두를 만족시켜주는 설명은 불가능합니다. 작가는 그것을 취사선택해서 인물에 적용시켜 소설 속에 살아나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욕망과 고통에 대해서도 할 말이 많지만, 주제가 엇나갈 듯해서 다음 기회로 미루겠습니다.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소시민적 먼치킨을 써보려는 분들이 꼭 참고해야 할 글인 듯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 무명박
    작성일
    14.07.01 09:24
    No. 2

    생각이 조금씩 다른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요.

    아무튼, 먼치킨 능력의 소유자와 소시민 이라는 자체의 대비는 이 자체로써 이미 모순 관계에 있기는 합니다. 만약 진정으로 깨달았다고 하는 성철스님을 비유로 들어서 성철스님이 아에 불교 교단에도 속하지 않고 홀로 산 속에서 깨달았고 또 유명해지고 싶은 마음도 없어서 그냥 그대로 소시민 보다도 못한 삶을 살고 있다면 내적인 깨달음의 세계는 먼치킨 능력의 소유자이지만 소시민 보다 못한 경우라 하겠습니다.

    내적인 깨달음을 믿지 않는 분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 통찰력이라고 하는 것은 화두를 어느 정도 해 본 체험자들이라면 대부분 인정하는 세계입니다. 그러한 능력의 소유자가 그러한 능력을 세상에 펼치지 않고 소시민이라 할 수 있는 은둔을 택할 때 이것을 과연 소시민으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생깁니다.

    구도자 즉 진리를 찾고자 하는 자들은 대부분 세속에 물들지 않으려 애쓰는 삶을 살게 됩니다. 난바라다님이 특히 4번을 지적 하였는데 돈도 많고 능력도 좋고 절세의 용모를 지녀도 구도자의 길을 가기로 서원 했거나 이미 그렇게 깨달음을 얻은 자라면 세속적 판단으로 규정 짓는 것은 약간 무모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7.01 09:37
    No. 3

    네. 저도 그분들이 소시민적 삶과는 다르다는 걸 말한 것입니다. 그래서 조용히 사는 것의 범주에는 들어가지만 4번이 소시민적 삶은 아니라는 말이었죠. 제 글이 조금 애매했던 것 같습니다. 전 무명박님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제가 무명박님의 생각과 조금 다르게 느끼는 것은 마지막에 적으신 욕망에 대한 생각입니다. 하지만, 이 주제와는 별 관련이 없는 것이라...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 무명박
    작성일
    14.07.01 09:41
    No. 4

    네 그렇군요.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조금이라도 오해가 있었는데 그것이 풀렸다면 다행인 일입니다.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6 몽랑괴행
    작성일
    14.07.01 10:21
    No. 5

    먼치킨류를 선호 하는 지라 참고할 겸 모든 글을 유심히 즐겁게 봤습니다. ^^
    우주최강의 조금도 범접못할 위대한 먼치킨이라면... 글을 쓸 거리가 없습니다. 너무도 뻔한 전개가 예상되고.. 왜냐하면 그는 우주최강에 조금도 범접못할 먼치킨이니까.. 어떤 먼치킨이든지 위기 요소가 없으면 재미 없으니 먼치킨이라는 극강 요소를 지닌 주인공에게 패널티를 주기 위한 설정이 아닐까 라고 생각해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무명박
    작성일
    14.07.01 11:39
    No. 6

    ㅎㅎ 그렇죠. 우주 최강 먼치킨이면 모두 한방에 나가 떨어질 것이니 위기가 발생하지 않겠죠. 무협과 판타지 소설이 재미를 느끼게 하는 요소중에 대부분 성장소설 즉 어려서든 조금 더 자라서든 대부분 전투력이 약하게 시작을 해서 먼치킨 능력까지 소유하게 되는 과정 즉 성장을 함에 따라 독자도 그에 몰입하여 대리만족을 느끼게 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이미 먼치킨 까지 갈 정도의 주인공이라면 그 때 부터는 재미가 없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을 어떻게 스토리와 또 다른 사건으로 잘 구성하는 가에 따라서 완성도가 높아지는 것이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顯月
    작성일
    14.07.01 12:23
    No. 7

    개인적인 생각을 말하자면 먼치킨 능력의 소유자가 조용히 산다는 부분이 사실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죠. 저 스스로가 1234번의 모든 경우에 비추어도 그런 경험을 해보거나 또는 그런 감정을 느껴 본 적이 없을 뿐더러 일반적으로 그냥 가족이 소중하다는 걸 깨달았다거나 지쳤다거나 하는 부분이 설정의 일부분으로서 스치듯 설명해줄 뿐이라서 그저 그러려니 하고 넘어갈 뿐입니다.

    다만, 소설이 진행되는데에 있어 갈등이 필수적인 부분인지라 먼치킨적인 부분을 숨기고 조용히 살아감으로써 주인공을 수동적이게끔 만든다는 것이 가끔 독자로서 답답한 부분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8 무명박
    작성일
    14.07.01 13:24
    No. 8

    현월님이 이해 못하는 부분의 무협소설 작가 중에 최고 고수인 분이 바로 백상님입니다.ㅎㅎ
    이분 소설은 구대문파 시리즈가 유명한데 이 주인공 성격이 매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거의 비슷한 성격에 무공도 같은 무공, 그 무공을 익히는 과정도 별로 없습니다.
    주인공이 어려서 산에서 어떤 노인과 만나서 살았다거나 그냥 스치듯 인연이 닿은 정도인데 그거 하나로 만상문주 후계자가 되면서 팔만사천검법이라는 일검에 팔만사천 검식이 쏟아져 나온다는 설정이죠. 시리즈물 모두 대부분 거의 같습니다.
    주인공은 자신이 그러한 후계자가 되었다는 것도 잘 모를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인연으로 인해서 조금씩 조금씩 깨달아 가며 적들을 마주해서 철천지 원수를 제압할 때도 있는데 그냥 살려주고 풀어 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무명박이 이 백상님의 소설을 이십대가 되지 않는 시기 부터 봤지만 그 때만 해도 백상님은 내 안중에 없었던 작가였는데 내가 삼십대 중반 정도 되니까 본문에서 쓴 경우처럼 작은 업계라고 해도 정상의 자리에 섰을 때 겪는 시기와 질투 견제 등을 무수히 겪고 본 후에 어느날 백상님의 소설을 재미 있다고 해서 그럴리가 있나 그래도 확인 차 한번 봤더니 정말 재미 있더군요.

    백상님이 처음 부터 그런 스토리로 썼는지는 알 수 없지만 하여튼 대한민국이라는 이 치열한 경쟁 사회 속에서 서로 너도 나도 상대를 제압하지 못하면 곧 죽을거 같은 느낌에 사로잡힌 대다수에게 그래 이런 사람들도 있어야 그나마 생활 속의 여유가 생길 수 있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이미 다 갖춘자의 능력자는 급하지 않습니다. 언제든지 마음만 먹으면 바로 처치할 수 있는데 지금 죽이나 조금 더 살게 하다가 죽이나 아니면 개과천선을 시켜 보고 그렇게 되면 그것에 더 즐거움을 갖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가진 자의 여유입니다. 요즘 여유가 없는 소설의 경우 내게는 재미가 없습니다. 너무 뻔하니까요.

    그러니까 이런 것은 모두 자신의 연령대이든 수준이든 취향이든 모두 다른 것이고 현월님이 이해를 못한다고 댓글에 썼어도 그런 류의 소설을 좋아하는 층은 또 있게 마련이어서 갓난아기 부터 80노인을 모두 만족 시킬 소설을 쓰지 않는한 어쩔 수 없는 일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취향에 맞는 소설을 선택하고 그것에 집중하는 선택과 집중이 독자들에게도 필요한 양판소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끊임없는 경쟁과 함께.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4 顯月
    작성일
    14.07.01 14:16
    No. 9

    요즘 현대물을 많이 읽다보니 저도 모르게 현대물에 한정해서 생각을 해버렸네요. 무협이나 판타지의 경우에는 세계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이해가 쉬운 편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1 선행자
    작성일
    14.07.01 14:33
    No. 10

    그래서 귀족, 능력자등 실질적인 힘을 얻고 난 후, 일반적인 성인남성이라면 시원하게 몇년 즐겨보고 그러나과정에서 이상이 생긴다던지, 무료함이 생긴다든지해야 될듯한데... 처음부터 이상적이고 준비하는 주인공들뿐이라서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그와 다르게 무협의 경우 무공의 경지=정신적 깨달음이 있는 부분도 있고... 강해지기 까지의 과정들에서 충분히 인생을 살만큼 살아서 모난돌이 둥글러진 경우가 있을수있으니 이해가 갈수있다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7 여루별
    작성일
    14.07.01 16:18
    No. 11

    먼치킨이 조용히 사는 이유를 생각해보니 그냥 불편한게 없어서 그런것 같다는 생각이드네요, 돈도 가질만큼 가젔고, 누가 자길 죽이는것도 아니고, 여자도 만날만큼 만났고, 재미 있는것도 해봤을거고 이렇게 생각해보니 조용히 사는 이유가 ... 평범하게 살면 누가 건드리기 때문인가 라는 생각도 드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소리안남
    작성일
    14.07.01 17:02
    No. 12

    소시민이라는 소리는 힘없는 백성이라는 소리고
    소시민적 삶이라는게 얼마나 피곤삶인지 이미 몸으로나 정신적으로 깨닫고있는 상황에서 힘이 생긴다면 그것을 사용하지 않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로또에 당첨된 수많은 사람들이 갑자기 생긴 돈에 휘둘려 결국 쫄딱 망하는경우도 돈의 힘에 휘둘려졌기 때문이죠.
    로또에 당첨되는 사람이 그돈을 한푼도 안쓰고 자선단체에 기부하고 여전히 소시민으로 살아간다는것은 상상이 안되네요. 이런 금전적인 힘뿐만이 아니겠죠..소설속 인물들처럼 과거회귀이든 초능력이든 초월적인 힘을 가진다면 그것을 전혀 사용하지 않을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소설이기때문에 힘에 지배받지않고 평범한 삶을 살 수도 있겠지만, 반대로 소설속이기 때문에 그러한 힘을 주었다면 그 힘을 제대로 사용하게끔 해주어야겠죠. 아니라면 그 힘을 주인공에게 주어야할 당위성이 없으니까.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36636 알림 고소 진행한 결과입니다. +42 Lv.38 whitebea.. 14.07.04 3,214 0
136635 한담 드디어 300만자 돌파! +10 Lv.21 매한작 14.07.04 968 0
136634 한담 선호작 읽음 n표시가 안 지워지는 경우가 있어요 +7 Lv.99 다스케이 14.07.04 903 0
136633 요청 예전에 녹둔도에서 시작하던 대체역사소설을 봤던 ... +6 Lv.96 흐르는물살 14.07.04 1,490 0
136632 홍보 [일연/일반] 무궁화의 진실. 원자탄 개발에 얽힌 ... +13 Lv.23 tulip642.. 14.07.03 1,569 0
136631 한담 독자의 취향과 작가의 생각 +17 Lv.49 박수토 14.07.03 1,491 0
136630 한담 한담 활성화. 당분간 즐겁겠어요. +1 Lv.29 글세포 14.07.03 1,945 0
136629 한담 쪽수 - 글자 수 확인 법 +7 Lv.49 NewtDrag.. 14.07.03 1,709 0
136628 한담 사람들이 마음에 들어 하는 글. +9 Lv.49 NewtDrag.. 14.07.03 1,108 0
136627 한담 요새는 선작 100달성하면 글을 남기는 것이 유행이... +20 Lv.9 선생김봉투 14.07.03 1,348 0
136626 홍보 [일연/대체역사] 평범한 사람이 과연 영웅이 될 수... +2 Lv.31 서광(徐光) 14.07.03 1,278 0
136625 한담 선작 500 돌파 시점에서... +14 Lv.44 Nakk 14.07.03 3,479 0
136624 한담 작가 성격이랑 주인공 성격의 일치라.. +3 Lv.13 Vermagic 14.07.03 1,267 0
136623 추천 강철신검님의 더 어비스 +16 Lv.15 전설(傳說) 14.07.03 7,540 0
136622 홍보 [일반연재/판타지] 아토 홍보 합니다. 태백북두 14.07.03 1,109 0
136621 한담 글을 쓰기 시작하다보니... +9 Lv.46 [탈퇴계정] 14.07.03 2,480 0
136620 한담 여러분 동네에는 책대여점이 있나요?? +31 Lv.83 悲雨선녀 14.07.03 1,556 0
136619 한담 서재관리 기능 하나 +6 Lv.33 뎀니 14.07.03 1,172 0
136618 한담 맞춤법 '바래' 이거 정말 답이 없을까요 +19 Lv.11 그린비드 14.07.03 2,280 0
136617 홍보 [자유/퓨전] 용왕전기 소개 올립니다. +1 Lv.16 밤길 14.07.03 1,011 0
136616 요청 생존소설이 뭐가 있을까요??? +2 Lv.83 悲雨선녀 14.07.03 1,610 0
136615 한담 한담 활성화. +3 Lv.35 대원(大遠) 14.07.03 1,346 0
136614 한담 이제 드디어 선호작 500명 돌파 했습니다. +18 Lv.61 유위저변 14.07.03 1,311 0
136613 한담 한담란에 물의를 빚어 죄송합니다. +11 Lv.35 카르니보레 14.07.03 2,289 0
136612 홍보 [일연/판타지] 데이나이트 캐슬. 두 남녀 고등학생... +24 Lv.24 오준환 14.07.03 4,503 0
136611 추천 코리안갱스터 요며칠 계속 올라오는군요 +3 Lv.49 박수토 14.07.03 2,242 0
136610 한담 글을 쓴다는 것이 좋군요. +3 Lv.23 트리플베리 14.07.03 1,217 0
136609 홍보 (일연/판타지) 아미리내의 소년. 본격 청문회 뺨치... +4 Lv.33 뎀니 14.07.03 2,928 0
136608 한담 선호작 삭제 방식 변화와 문제점 +5 Lv.20 페이트노트 14.07.03 1,825 0
136607 한담 한국 판타지, 그리고 장르구분의 모호함. +9 Lv.16 밤길 14.07.03 1,672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