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장르소설의 적절한 길이?

작성자
Lv.34 카이첼
작성
14.06.11 22:08
조회
1,324

 

간혹 장르소설이 대체로 긴 장편이 되는걸 비판하면서 짧고 알찬 글이 대세가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주장들은 대체로 긴 글이 당연한게 되면서 글의 질이 심하게 떨어졌고 읽기에도 부담스러워졌다고 말합니다. 일리가 있긴 합니다만, 전적으로 옳은 이야기라고는 여기지 않습니다.

가령 예를 들자면 해리포터는 한국 장르소설판의 판형으로 본다면 스무권 정도의 장편 소설이고, 얼불노 역시 스무권 정도이며 아마 앞으로 훨씬 더 늘어나리라 생각되는 장편소설입니다. 그 외에 상당한 히트작인 테메레르 역시 포함되고 SF에서도 파운데이션이라던가, 로봇 시리즈라던가, 추리에서는 셜록 홈즈 연작이라던가, 무협에서는 뭐 말하지 않아도 아시겠지만 영웅문이라던가 녹정기라던가. 오히려 이쪽은 짧은 걸작이란걸 찾기가 정말 힘들 지경. 뭐 하여간 어떤 장르, 어떤 시장에의 좋은 작품 가운데서도 한국 장르판에 비견해 별로 꿀리지 않는 긴 장편은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짧은 소설들에 대한 독자들의 인상이 좋은 이유가 달리 있을까요? 그보다 왜 어떤 장르소설은 길고, 어떤 소설은 짧은 걸까요. 뭐 물론 작가가 그렇게 적었기 때문이겠습니다만...(...)

 

독자로서 짧은 장르소설과 긴 장르소설을 여럿 읽어본 입장에서 말하자면, 이 두 가지 소설은 상당히 선명하게 나눠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건 긴 소설은 캐릭터를 중요시하고, 짧은 소설은 구성을 중요시 한다는 것입니다. 물론 모든 소설이 그렇다는건 아닙니다만, 상당히 그렇습니다.

 

간단히 생각해 보면, 길게 이어진 소설들은 백프로라고 해도 좋을 만큼, 캐릭터의 힘에 이야기의 많은 부분을 기대고 있습니다. 구성이 가장 중요한 장르소설의 영역은 추리일 텐데도, 교고쿠도라던가, 셜록홈즈라던가, 에르퀼 푸아로라던가. 길게 이어지는 추리소설 시리즈물은 캐릭터가 독자가 글을 읽는 재미의 많은 부분을 책임지고 있을 정도입니다.

그러니 태생부터가 장편을 어느 정도 추구햇다 할 만한 무협이나 판타지의 경우는 캐릭터의 힘이 정말 강할 수 밖에 없죠. 마치 라노벨 같은 평가입니다만, 사실 라노벨이 장르소설의 한 분화된 형태란걸 생각하면, 이런 캐릭터에 기대 이야기를 끌어가다는 경향에서 자연스럽게 나올만한 형태일 것입니다.

게다가 쓰는 입장에서 말하자면 캐릭터가 있다는 것은 이야기를 만들어나가기 정말 편리한 조건입니다. 구성에 대한 고민 없어도 캐릭터만 있으면 어떻게든 이야기는 이끌어나갈 수 있는 법입니다.

 

그렇다면 짧은 소설은? 짧다는 것은 작가의 입장에서 말하면 구성을 맞추어내기 편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캐릭터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가 겪는 사건에 의미를 부여해서 레고의 블록을 쌓아 완성된 하나의 오브젝트를 만들 듯, 이야기와 주제, 그리고 캐릭터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시키기 굉장히 좋은 환경입니다. 작가가 시작과 끝을 이미 알고 주된 사건과 캐릭터를 미리 마음에 품고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야기가 길면 자연히 이런 치밀한 구성은 힘들어 집니다. 어떤 작가도 수십권에 달하는 이야기를 전부 마음에 담아두고 한 번에 써내면서 사건을 서로 복합적으로 연결해내는 일은 하기 어려우니까요. 그리고 동시에 이렇듯 구성되기 때문에 캐릭터의 힘과 역할은 약해지는 면모를 띄기 쉽습니다. 그런 작품에서 캐릭터는 작품을 구성하는 피스의 하나일 뿐, 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힘인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평균적으로 독자가 끝까지 읽고 좋은 작품이었다고 생각할 가능성은 이렇게 구성에 공들인 작품일 경우가 많지요. 게다가 긴 작품은 긴 만큼 끝까지 읽기도 힘들고, 완결까지 꾸준하게 완벽하다 싶은 퀄을 유지하는건 삼국지도 못했을 정도로 어려운 일이기도 합니다. 아마도 그 때문에 짧고 알찬 작품이 지금의 이른바 양판에 대한 대안이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게 된 배경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러면 로맨스는 어떨까요? 로맨스는 대놓고 캐릭터를 중시하지만 짧은 소설이 대부분이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사랑은 길게 이야기할 만한 소재가 아닙니다. 사랑하는 연인 사이에서 마음을 확인하지 못하는 장면이 너무 길면 개연성도 없고 짜증나겠죠. 그렇다고 이들이 사랑하다 오해하고 헤어지는걸 여러차례 반복하면 그것도 매우 화나는 일이겠죠. 그리고 한 사람이 여러 사람들 사이에서 방황하다 하나에게 정착하는 이야기가 너무 길면? 그건 방황하는게 남자든 여자든 욕듣기 딱 좋겠죠. 사랑이 핵심이 되는 이야기라면 이렇듯 아무래도 짧을 수 밖에 없습니다. 만일 사랑 이야기를 하면서도 그 작품이 길어지길 원한다면 그 작품에서 사랑은 좀 곁다리가 되거나 사랑만큼 중요한 다른 것을 포섭해서 이야기의 동력으로 삼아야 할 겁니다. 대표적인 작품이 하나 있습니다.. 신조협려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장르소설에 적절한 길이란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길이는 작품의 장점이나 지향점에 따라 갈라지는 것이겠지요. 캐릭터를 살릴걸 생각하면 처음부터 좀 장편으로 기획하고, 구성에 집중하고 싶다면 짧은 쪽으로 기획한다는 식으로. 

 

한데 재미있는 것은, 혹은 매우 당연한 것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은 보통 구성보단 캐릭터라는 겁니다. 생각해 보면 당연하겠지요. 우리는 구성에 매료될 수 있어도 공감하고 정말 매력을 느끼는건 캐릭터이기 마련이니까요. 우리는 사람이지 건축물이나 단순한 사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창작자의 입장에서도 잘 만큼 캐릭터는 큰 고민 없이도 수익을 보장해 주는 화수분이라서 구성보단 캐릭터에 집중하는 편이죠. 이런 경향은 점점 더 강해지는 걸로 보여서, 심지어 캐릭터에 집중하기 위해서 한편으로 끝나는 게 당연했던 영화들도 이제는 무시무시한 장편이 당연하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가령 마블이라던가 마블이라던가 마블이라던가... 그 정도 장편이 아니라 해도 캐릭터 써먹으려고 리붓도 당연하다는 듯 해서 작품을 아주 많이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DC라던가 DC라던가 DC라던가... 이쪽은 클래식을 지휘자별로 연주하는 느낌일 정도. 하여간 많은 예시를 여러분도 아실 테니까 더 설명하지 않아도 좋을 겁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좋은 캐릭터는 좋은 작품에서 나오는 법이고, 그 좋은 작품의 캐릭터가 한 작품의 완결 이후에도 생명력을 이어가면서 긴 시리즈가 되는 것이 대체적인 긴 소설의 기원이기도 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처음부터 캐릭터에 너무 집중하는건 좋은 작법이라 하기 어렵겠지요


추신.그런 의미에서 얼불노가 정말 해괴한 작품입니다. 상당한 장편이면서 캐릭터는 족족 죽이고. 그러면서도 열광적인 반응을 얻어내고 있죠. 신기~ 


Comment ' 9

  • 작성자
    Lv.59 취룡
    작성일
    14.06.11 22:14
    No. 1

    개인적으로 얼불노는 인물에 정을 주었다 하면 죽어나가기 일수라 ㄱ=;; 나중에는 아는 인물도 급감하고, 새로 나오는 인물도 곧 죽겠지...하는 생각만 들어서 아예 읽을 의욕이 사라지더군요.

    그래서 3부까지 읽다가 접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4 顯月
    작성일
    14.06.11 22:17
    No. 2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장르소설이 캐릭터에 집중하는 이유는 구성으로서 차별화가 별로 메리트가 없기 때문이 아닐까요. 무협이든 판타지든 세분화된 설정이 달라지더라도 전체적으로 비슷한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죠. 실제로 독자들도 그런면을 편리하게 생각하고 있는것 같고요(아닌 분들도 있지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6.11 22:21
    No. 3

    얼불노.
    걔가 좀 멋있는 거 같은데, 하면 조심하시라.
    죽는다! 뚜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3 흐후루
    작성일
    14.06.11 22:23
    No. 4

    얼불노는 사랑입니다.
    사랑해요 존 스노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6.11 23:04
    No. 5

    물론 대하장편은 단편에 비교하여 엄청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겠죠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글공대장
    작성일
    14.06.12 00:12
    No. 6

    제가 알기로 현재 문피아는 12.5만에서 13.5만으로 1권 분량을 만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전 그것도 모르고 25만자로 1권을 잡았다가 현재 1권을 상하로 분리한다는 억지를 써서 35만자를 생각하고 있죠. 2권부터는 20만자 내로 끊으려구요. 종이책이 아닌 소설의 장점이겠죠.
    물론 요새 대세는 호흡이 빠르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쪽이라 긴 글은 독이 될 수 있겠죠. 뭐든 글쓴이의 역량이라 뭐가 옳다 평하긴 힘드네용.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6 흉갑기병
    작성일
    14.06.12 09:29
    No. 7

    단순히 글의 길이만을 이야기하는것 같지는 않습니다. 긴 분량 안에 어느정도의 내용을 담고 있는냐 하는 것이겠지요. 문제는 애초에 기획하지 않은 장편이 되는 상황입니다. 스무권이 넘어가는 초장편들도 막상 보면 별 내용을 담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기를 얻기 시작하면 한없이 늘어지는게 현재 장르소설계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길도옹
    작성일
    14.06.12 12:06
    No. 8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되돌이켜보면 제가 좋아하는 작품도 모두 캐릭터가 매력적인 작품이더군요. 너무 질질 끌지만 않는다면 장편이 좋지요. 특히 무협이나 판타지 같은 경우라면.... 더더욱...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8 지금보다더
    작성일
    14.06.14 01:28
    No. 9

    뜬금없지만 작가님 묶어놓고 3부 완결까지 강제로 글쓰게 하고 싶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36274 홍보 [일연/퓨전]게임이라는탈을쓴영웅서사시 위대한자 ... Lv.23 초뚜기 14.06.12 1,551 0
136273 한담 글 잘쓰는 사람들 너무 부럽습니다 +8 Lv.7 순대국밥 14.06.12 1,344 0
136272 요청 플래티넘 미리보기..... 취소 안 되나요......? +4 Lv.42 IdeA™ 14.06.12 2,347 0
136271 한담 설정집 잃어버렸습니다 +10 Lv.1 [탈퇴계정] 14.06.12 1,458 0
136270 홍보 [일연/SF,현대판타지] 지구 2014 홍보합니다. +1 Lv.37 샌드박스 14.06.12 1,210 0
136269 한담 여러분들은 '오크'라는 종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 +36 Lv.9 BlackWha.. 14.06.12 2,036 0
136268 한담 전설의 108연참 +10 Lv.67 레니sh 14.06.12 1,360 0
136267 추천 donono님의 소카데르 전기 추천합니다!! +2 Lv.96 흐르는물살 14.06.12 1,983 0
136266 홍보 [일연/현대판타지] 구름도시 이야기. +1 Lv.15 사평 14.06.12 1,188 0
136265 한담 추천 부탁드립니다. +21 Lv.33 레드리프™ 14.06.12 1,251 0
136264 한담 무협 쓰는 분들만 보세요. -동양고전, 한시, 외- +4 Lv.19 남다름 14.06.12 1,483 0
136263 한담 책 대여.. +2 Lv.78 아이토레 14.06.12 1,277 0
136262 한담 홍보, 필요한 가요? +16 Lv.16 27**** 14.06.12 1,265 0
136261 한담 무협 쓰는 분들만 보세요. +14 Personacon 금강 14.06.12 4,325 0
136260 한담 심심풀이로 모아본 색깔을 나타내는 어휘 +11 Lv.23 tulip642.. 14.06.12 1,991 0
136259 한담 작가님들한테 도움이될까요? +16 Lv.86 역천마종 14.06.12 1,280 0
136258 한담 플래티넘 과 출판을 동시에 하는게 좋지 않나요? +6 Lv.55 동네천재형 14.06.12 1,861 0
136257 홍보 [일연/판타지] 괴물 같은 인간과 인간 같은 괴물의... +1 Lv.18 한빈(限彬) 14.06.12 1,541 0
136256 한담 한 밤 중에 술 먹고 되는대로 쓰는 글 +6 Lv.35 카르니보레 14.06.12 1,492 0
136255 한담 미리보기 말들이 많네요 +14 Lv.67 레니sh 14.06.12 1,697 0
136254 한담 열혈 베스트 랭킹에서. +6 Lv.8 무명박 14.06.12 1,314 0
136253 홍보 [일연/퓨전&SF] 나의 세계를 바꿔줘(간만에 홍보) +2 Personacon 대마왕k 14.06.12 928 0
136252 한담 어, 시험이 절 압박시키네요 ㅜ +6 Lv.23 엄청느림 14.06.12 1,233 0
136251 한담 제 목표를 제시해주세요. +8 Lv.46 [탈퇴계정] 14.06.12 1,019 0
136250 한담 늦었지만 선작 100 돌파를 자축해봅니다. +32 Lv.61 글공대장 14.06.12 1,294 0
136249 한담 여기 게임판타지도 인기가 많나요? +8 Lv.11 깡펜 14.06.12 1,282 0
136248 홍보 [일/무협]매니악한 무협 "무신전" +2 Lv.47 자전(紫電) 14.06.11 1,280 0
136247 한담 세계를 창조하는 작가 +8 Lv.6 goguma14.. 14.06.11 1,142 0
136246 한담 선작 떨어지는건 정말 가슴이 찢어지는군요. +29 Lv.6 琉浪 14.06.11 1,291 0
136245 한담 플래티넘 전환 시점에 관하여 +6 Lv.59 취룡 14.06.11 1,378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