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SF 쓸때...

작성자
Lv.24 스텝.
작성
12.12.26 13:01
조회
5,565

SF쓰시는 분들, 혹시 어떤 설정에서 그것에 대한 원리를 써두시나요? 예를 들면 나이트런에서 AB입자를 어찌저찌해서 AB소드를 만들었다던지 하는 거요. 판타지에서도 마법은 대기중에 존재하는 불의 마나를 모아 파이어볼을 만든다던지 하는 일종의 원리 같은걸 제시하잖아요? 근데 SF는 상상력이 관건인가, 아님 현실성이 관건인지 잘 모르겠어서;; 고수분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Comment ' 15

  • 작성자
    Personacon 엔띠
    작성일
    12.12.26 13:07
    No. 1

    AB는 안티 배리어...
    상위괴수들이 펼치는 배리어를 무효화하는 입자죠(영식 포함)
    그걸로 만든게 AB 소드.
    땡.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4 스텝.
    작성일
    12.12.26 13:11
    No. 2

    본지 오래되서 까먹었습니다. 죄송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2 7ㅏ
    작성일
    12.12.26 13:26
    No. 3

    sf는 현재의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합니다만, 아직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과학적 법칙이나 공식을 작가의 상상력으로 만들어서 글로 풀어갑니다. 결국 과학의 껍질을 가진 판타지소설이죠.
    관건을 말씀하셨나요? 상상력이든 현실성이든 상관없습니다. 그냥 필력이 가장큰 관건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4 스텝.
    작성일
    12.12.26 14:19
    No. 4

    정확한 지적, 감사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니르바나
    작성일
    12.12.26 14:12
    No. 5

    위에 테일즈로드 님이 말씀하셨지만, SF는 공상과학이 아닙니다. 사이언스픽션이 맞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6 레몬티한잔
    작성일
    12.12.26 14:12
    No. 6

    과거의 정말 위대한 과학자들이 아니고서야 하드 SF는 쓰기 어렵습니다. 최신이론을 알아야하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도, 나아갈지도 알아야하니까요. 상상력이 관건이지 싶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Runcible..
    작성일
    12.12.26 17:23
    No. 7

    하드SF 쓰는데 최신 이론을 알 필요는 절대로 없습니다.
    어차피 최신 물리학 이론들은 독자들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데다, 대부분의 최신이론은 "가능성 높은 추측"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신 이론을 집어넣으면 하드SF라기보다는 그냥 유사과학물이 됩니다.
    하드SF 장르 안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할 클레멘트의 경우 오직 고전역학 수준의 기본적인 물리학 지식과 학부수준의 유기화학 지식만으로 글을 썼고, 그런 할 클레멘트의 글들이 하드SF의 교과서로 지금도 전해지고 있죠.
    하드SF를 쓰는데 필요한 것은 자연대 학부 4학년 수준의 기초적인 과학지식과 그 지식을 어떻게 배경과 꼼꼼하게 연계시킬지 구상하는 머리 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8 서리월
    작성일
    12.12.26 15:18
    No. 8

    소설은 픽션입니다. 근거도 근거지만 상상력이 더 중요하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통통배함장
    작성일
    12.12.26 18:57
    No. 9

    하드sf의 경우에는, 이론적으로 확실한 것을 다루거나 견고한 이론을 토대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소프트sf의 경우에는(대부분의 과학소설이 이 부류) 솔직히 과학적 지식보다는 상상력이 더 중요합니다. 물론 과학적 지식이 일정 수준 이상 있어야하고, 이게 쉽지 않은 일이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STARBLOO..
    작성일
    12.12.26 19:49
    No. 10

    (고수는 아니지만 지나가다 보여서...)
    둘 다 중요합니다. 현실의 지식만 있다고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아니고, 아이디어만 있다고 글이 뚝딱 나오는 것도 아니죠. 상상력도 중요하긴 한데, 이미 어지간한 소재는 다 나와 있기 때문에 완전 기발한 걸 창안할 만한 천재가 아닌 다음에는 기존의 것들을 어떻게 잘 재구성 하느냐가 중시되는 추세이고요.
    SF를 읽기 위해 전문지식이 필요한 건 아니지만, (모든 글이 다 그렇듯) "잘" 쓰기 위해서는 많은 공부가 필요합니다. 자연과학, 응용과학만이 아니라 인문학과 사회과학까지.

    이미 다른 분들이 지적해 주셨지만 SF팬덤에서는 "공상과학"이란 말 아~~~주 싫어합니다. 그냥 SF라고만 하거나 과학소설이라고 써주시는 게 좋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8 서리월
    작성일
    12.12.26 20:35
    No. 11

    실제로 공상 영화나 소설등을 보면 과학적 근거는커녕, 허황된 것들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다만 사람들이 모르니까... 그저 그냥 넘어가는 게 대부분이죠.
    진짜 과학자들이나 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봤을 땐 어이없는 부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왜 그냥 넘어가느냐?
    그럴듯 하거든요. 그리고 그 그럴 듯 한 것을 쓰거나 만들기 위해서는 당연히 어느정도
    지식이 필요합니다. 즉, 공부를 해야 한다는 뜻이죠.
    뭐, 이런 겁니다.
    역사소설에 역사를 공부해야 하듯, 과학 소설도 어느 정도 과학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물론, 판타지며 추리며 공포며... 모든 것들에 공부가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만능개미
    작성일
    12.12.26 21:54
    No. 12

    저도 어느 정도의 과학 지식, 그리고 작가님께서 표현하고 싶은 것을 그럴듯 하게 써내려갈 수 있는 필력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게임, 애니메이션 등으로 나온 일본의 작품인 '슈타인즈 게이트'를 아십니까? 이 작품 내에서 나온 물리학 이론, 즉 '설정이론'은 기본적으로 알려진 지식들을 응용해서 아주 '그럴듯 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전자레인지로 진짜 시간여행이 가능하게 된 경위까지의 이론들이 그것을 읽는 독자로 하여금 설득력을 주고 있죠. 물론 전문적인 지식으로 따지고 들어가면 당연히 말도 안 됩니다. 비슷한 것으로 게임판타지소설의 캡슐이니, 너브기어니 하는 것들이 있고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건, 작가님께서 구상하신 설정을 위해선 어느 정도의 지식과 독자들에게 최면을 걸 수 있는 필력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제주제에 너무 말이 길어졌군요. 커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rnahtjd
    작성일
    12.12.26 22:44
    No. 13

    작가님이 쓰시고자 하는 내용과 관련된 법칙이나 이론 등은 숙지하시고 그것을 바탕으로 소설 속의 세계관과 법칙 등을 만들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아이작 아시모프의 소설(로봇시리즈, 파운데이션 시리즈...다 스토리가 이어지는 소설임) 읽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요하네
    작성일
    12.12.27 01:09
    No. 14

    둘다 중요하죠.

    굳이 설정에 뭔가 도움이라도 되고싶다면 크로노스케이프의 【SF 사전】을 읽으시길 ㅁㅁ;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4 스텝.
    작성일
    12.12.27 15:58
    No. 15

    급히 제목 수정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27894 한담 서재 상단의 그림을 플레시나 gif(?)인가, 여러 그... +4 Lv.1 [탈퇴계정] 12.12.27 6,509 0
127893 추천 해양물 판타지? blue's war blue 추천 해요~ +2 Lv.45 ARKhan 12.12.27 7,493 0
127892 홍보 [일반/현대] 도깨비불 +3 Personacon 베어문도넛 12.12.27 1,212 0
127891 한담 필력을 높이려면 필사가 꼭 필요한가요? +21 Lv.4 검성95 12.12.27 5,025 0
127890 한담 저만 그런가요 +13 Lv.10 9stopf 12.12.27 2,974 0
127889 홍보 [일반/sf]<범할 권리>제 얘기 좀 들어보실래요? +7 Personacon 통통배함장 12.12.27 6,505 0
127888 추천 F.카프카 님의 "ONE DAY" 추천합니다! +2 Lv.94 Nicia 12.12.27 6,959 0
127887 홍보 [일반/판타지]폭풍의 정령왕 +10 Personacon 키냥냥 12.12.27 2,830 0
127886 한담 선호작 취소할 때 +30 Personacon 르떼 12.12.27 3,205 0
127885 한담 소설 설정 분량이 얼마나 되시나요? +6 Lv.24 스텝. 12.12.27 3,449 0
127884 추천 설검화님의 '좋아해주시지않을래요' 추천! Personacon 만능개미 12.12.27 4,510 0
127883 한담 추천할때 +6 Lv.24 스텝. 12.12.27 3,424 0
127882 요청 뭔가 제 마음에 드는 소설을 찾아주세요. +4 Lv.11 후르뎅 12.12.27 5,479 0
127881 요청 글을 찾고있습니다 +2 Lv.17 오리주 12.12.27 3,478 0
127880 홍보 [일반/판타지] 한국형판타지 <천녀天女> +4 Personacon 길담 12.12.27 5,466 0
127879 한담 이틀 늦었지만 개리 크리스마스. +3 Lv.6 AirAir 12.12.27 6,592 0
127878 한담 개인적으로는 한담란이 정말 이전처럼 확 살아나면... +4 Lv.18 색향 12.12.27 3,802 0
127877 알림 [일반] 트리세이트-광룡 아레이아│퓨전 +2 Lv.1 [탈퇴계정] 12.12.27 6,998 0
127876 알림 [일반] 라유-Inside World│로맨스 Lv.1 [탈퇴계정] 12.12.27 5,715 0
127875 홍보 [일반/판타지] SF판타지, 테라의 눈물 홍보합니다. +12 Lv.6 이스텔지아 12.12.26 6,357 0
127874 한담 제 글 다음에 홍보하시면 됩니다. +20 Lv.39 마지막한자 12.12.26 6,569 0
127873 한담 우리에게 중요한건 뭐? 스피~드 +19 Personacon 키냥냥 12.12.26 5,459 0
127872 한담 한담 활동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규정 개선이... +14 Personacon 엔띠 12.12.26 5,640 0
127871 홍보 [일연/판타지] 500년 간 얽혀 있던 복수의 사슬이 ... Lv.6 Lee書靈 12.12.26 4,319 0
127870 한담 선호작 폴더 만드는 기능 현재 있나요? +4 Lv.45 라솔 12.12.26 2,840 0
127869 요청 한담이 너무 썰렁합니다!!!! +5 Lv.7 주아인 12.12.26 2,744 0
127868 한담 동파사고는 의외의 피해자를 낳았습니다 +10 Personacon 구름말이 12.12.26 3,354 0
127867 홍보 [일반/암흑대제] 흔치 않은 기회입니다. +17 Personacon 엔띠 12.12.26 4,006 0
» 한담 SF 쓸때... +15 Lv.24 스텝. 12.12.26 5,565 0
127865 한담 연재한담 활성화를 위해서인가 +1 Personacon 견미 12.12.26 3,764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