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자주 틀리는 표현...

작성자
Lv.10 Arche
작성
12.08.18 12:47
조회
671

글을 보다보니 '~체' 와 '~채' 를 혼동해서

틀리시는 분이 많으시더군요.

'~체' 는 ~하는 척, 예로 '잘난체' 가 있습니다.

'~채' 는 ~을 유지한 상태로, 예로 '주먹을 쥔 채로 뛰어가다.'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글을 읽다보면 작가분들도 모르고 쓰시고,

읽는 독자분들도 다른 오탈자나 문법오류 지적은 하시는데

이 부분은 모르시는 건지 놓치시는 건지 지적이 없더군요.

글에 오탈자, 문법오류 등이 많으면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읽어 내려가다 중간중간

뭔가 턱 하고 걸리는 느낌이 들기 마련입니다.

쓰다보니 길어졌는데,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글 써 올립니다.

(꾸벅)


Comment ' 12

  • 작성자
    Lv.54 하는아이
    작성일
    12.08.18 12:54
    No. 1

    어... 음... 제가 평소에 틀렸는지 맞았는지조차 모르겠군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 IRuciel
    작성일
    12.08.18 13:18
    No. 2

    그러게요.. 맞게쓰고잇엇나 점검을한번.해봐야겟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1 파유예
    작성일
    12.08.18 13:19
    No. 3

    의미 차이를 알고는 있지만 항상 어느 것이 맞는지 헷갈려서 잘난 '척'처럼 ㅓ ㅣ 쪽인 '체'가 맞을거야 라고 외우던 생각이 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2.08.18 13:25
    No. 4

    제가 자주 그렇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Arche
    작성일
    12.08.18 13:26
    No. 5

    파유예님이 외우시던 방법이 맞는 겁니다.
    한글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않다.' 도 '~ 아니하다.'의 준말로
    'ㅎ' 이 겹받침으로 들어가는거니까요.
    '안되' 같은 경우도 '않되' 로 쓰시는 분들이 종종 있는데
    '아니되' 의 준말이므로 'ㅎ' 이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안되' 가 맞는 표현이 되는 거죠.
    항상 기본 표현 있고 그에 약간의 변형 된 것이 많은 것이므로
    이를 알고 있으면 모르는 것도 유추가 가능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4 SbarH
    작성일
    12.08.18 14:01
    No. 6

    안되를 않되로 쓰시는분들이 종종있다고 하셨는데..
    종종이 아니에요...엄청 자주보여요...안이라는 글자가 없는듯 취급되는듯...'않'을써야하든 '안'을써야하든 심지어 앉을써야하든 다 '않'만쓰고있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훅들어오네
    작성일
    12.08.18 14:12
    No. 7

    이상하군요. 안되가 아닌 안돼가 맞는 표현 아닌가요? ㅡ_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Arche
    작성일
    12.08.18 15:01
    No. 8

    '안되다', '안돼' 의 구분을 하려는게 아니라
    '안' 과 '않' 의 구분을 보여드리려고 짧게 쓰다보니
    어미가 빠져서 그렇게 됬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8 시시포스
    작성일
    12.08.18 17:45
    No. 9

    한담에 '체(척)'과 '채'의 올바른 표현법을 설명한 글이 이렇게 올라온 참에, 한 걸음 더 나아가 보고자 댓글을 붙입니다.
    ---------- ----------

    아래 세 문장엔 어떤 뜻 차이가 있을까요? 셋 다 같을까요?

    ① A하고 B하다.
    ② A하며 B하다.
    ③ A한 채 B하다.

    모두 같은 뜻이 아닙니다. 묘한 어감의 차이(뉘앙스)가 있죠. 같다면, 굳이 한 뜻에 세 가지 표현법이 공존한다면, 우리말이 참 비효율적인 언어임을 자인하는 꼴이 되겠죠.

    예문 세 문장은 두 개의 절을 이어서 표현했는데, 뒤 절인 'B하다'는 똑같습니다. 셋에서 어감의 차이가 있다면, 서로 다른 바로 앞 절 A의 표현이 바로 핵심이겠네요.

    ①의「-고」와 ②의 [-며]는 어미로 '연결어미'입니다. 서술어(동사와 형용사)의 어간 뒤에 바로 붙어서 다음 절 서술어의 움직임이나 상태에 호응합니다. 연결어미라서 앞 절과 뒤 절 사이에 단절이 없습니다. 띄어쓰기의 구분 없이 그냥 곧바로 연결되었습니다. 그런데 ③의 '채'는 명사입니다. 명사라서 앞 절과 뒤 절 사이가 '채' 때문에 띄어쓰기로 끊어져 구분되었죠. 왜 굳이 명사를 써서 띄어쓰기로 앞 절과 뒤 절을 또렷이 협곡처럼 구분했을까요? 어떤 이유가 당연히 있지 않을까요?

    '어미와 명사'의 차이에서 나온 띄어쓰기의 연결과 단절에서도 엿보이 듯, ①과 ②의 뜻은 비슷합니다. 물론, 미묘한 어감 차이가 ①과 ② 사이에도 있습니다. 하지만, ③의 뜻은 ① ②와는 전혀 다릅니다.

    사전에 나온 ③ 의존명사 [채]의 예문들입니다.

    • 옷을 입은 채로 물에 들어간다.
    (A: 옷을 입다 - B: 물에 들어가다)

    • 노루를 산 채로 잡았다.
    (A: 노루가 살아 있다 - B: 노루를 잡았다)

    • 벽에 기대앉은 채로 잠이 들었다.
    (A: 벽에 기대앉았다 - B: 잠이 들었다)

    예문을 자세히 보니 뭔가 감이 잡히시지요. 의존명사「채」 표현법의 핵심은 [B 행동ㆍ상태를 하는 데, A의 행동ㆍ상태가 일상적이지 않다]입니다. ③은 일상적ㆍ상식적ㆍ통상적 개념에서 어긋나는 행동을 하고 연이어 다른 행동을 할 때 사용하는 표현법입니다.

    물에 들어가려면 일상적으론 옷을 벗어야 하는데, 벗지 않고 들어갔다.
    노루를 잡았다면 상식적으론 죽여서야 잡는데, 죽이지 않고도 잡았다.
    잠을 자려면 보통은 누워서 자는데, 벽에 기대앉아서 잤다.

    ①이나 ②의 뜻으로 엉뚱하게 ③의 표현법을 써서, 의도한 뜻이 곡해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연결어미 [-고]와 「-며」를 쓸 때가 있고, 의존명사 「채」를 쓸 때가 달리 있습니다. 행동ㆍ상태에서 A와 B의 관계를 잘 살펴서, 의존명사 「채」 표현법을 올바르게 썼으면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namake
    작성일
    12.08.18 20:55
    No. 10

    요런 글이 있을 때 저도 하나 말하고 싶은게 있네요.
    평소 글을 읽을 때 자주 느끼던 것

    [낫다]와 [낳다]
    1)낫다
    병이 나았다, 상태가 더 좋아지다

    2)낳다
    아기를 낳다, 어떤 이유로 어떤 결과물을 만들다

    * 올라온 글 거의 90%가 병이 낫다를 낳다로 쓰고 있는 것 같더군요.

    그리고 또 하나 [의]와 [에]
    소유격 조사를 [에]로 쓰는 분들,
    전에는 어쩌다 가끔 보였는데 요즘와서 점점 많아지는 것 같아요.
    참고가 됐으면 좋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싱싱촌
    작성일
    12.08.19 00:06
    No. 11

    다행히 전 낳다와 낫다를 구분할 줄 아는 것 같네요^^;;

    제가 다른 분들 소설 보다가 제일 걸리는 맞춤법은
    다르다와 틀리다를 구분 못하는 것.
    이건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도 똑같습니다. 당장 제 부모님도 그렇거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0 묵현사
    작성일
    12.08.19 01:24
    No. 12

    다르다/틀리다
    틀린 것은 맞지 않다는 의미이고 다른 것은 같지 않다는 뜻이죠.
    일부러/일부로
    일부러가 맞는 말이죠. 이거 틀리는 분들 참...
    낮다/낳다/낫다
    낮다는 높이, 낳다는 아기나 알을 낳다, 낫다는 상처가 낫다
    ~하러/~하로
    ~하러가 맞는 말이죠. ~로는 위치를 말하니까요. 이것도 틀리는 분들 깝깝.

    대표적으로 깝깝한 목록들이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25746 한담 크아아. 천봉형에다 설봉 대선배 출현이다... +11 Lv.6 탱알 12.08.21 1,428 0
125745 한담 선호작에 N 이 좀처럼 안뜨네요. +6 Lv.57 하늘까시 12.08.21 665 0
125744 요청 중세의 치료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20 Lv.30 빅엿 12.08.21 1,011 0
125743 추천 설봉작가님의 '쾌수' 강추합니다! +7 후회의미학 12.08.21 4,142 0
125742 한담 글을 쓰다가.. +3 Lv.45 수중도시 12.08.21 1,154 0
125741 요청 마법이 없는 판타지 있을까요? +20 Lv.14 너땜쉬 12.08.21 1,854 0
125740 한담 흑흑 선작을 또 하나 삭제해 버렸네요 +17 Lv.16 남궁남궁 12.08.21 2,050 0
125739 요청 소식이 끊긴 인기작들 찾아주세요.. +7 Lv.50 연중은안돼 12.08.21 1,422 0
125738 한담 추리쓰릴러 소설 주인공의 트라우마 +5 Lv.4 다들웃어요 12.08.21 841 0
125737 요청 출간작이나 연재작 추천좀! +5 Lv.54 도랑트 12.08.20 1,131 0
125736 홍보 [정규/전왕] 초장편 이야기 중 2번째 +2 Personacon 엔띠 12.08.20 1,591 0
125735 추천 설백님의 '사부-하산하다' 추천합니다. +15 후회의미학 12.08.20 2,597 0
125734 요청 주인공이 소시민인 소설 추천부탁드립니다. +4 Lv.1 하가티 12.08.20 2,460 0
125733 요청 이책제목좀 아시닌분?!!!!!!!!!!!!!!!!!!!!!!!!! !... +1 Lv.56 한국사렁 12.08.20 1,736 0
125732 한담 한자어의 문제 +4 Personacon 霧梟 12.08.20 572 0
125731 공지 자유연재란 작가분들에게. +20 Personacon 금강 12.08.20 2,268 0
125730 요청 테라오딧세이같은 SF같은 소설 추천좀요!!!^^ +11 Lv.58 ra**** 12.08.20 2,413 0
125729 요청 틀에박힌 세계관이 아닌 새로운 세계관의 소설 없... +14 후회의미학 12.08.20 2,060 0
125728 한담 이런 캐릭터 어떨까요? +10 Lv.10 Arche 12.08.20 1,129 0
125727 홍보 [세상을 파는 자] 그는 세상을 팔았다 [정규/판타지] +2 Lv.11 에그머니나 12.08.20 542 0
125726 요청 매드 사이언티스트가 주인공인 소설 좀 추천해주세요. +7 Lv.1 호박마법사 12.08.20 672 0
125725 추천 취몽객님의 "아이작" 추천합니다. ^^ +16 Lv.76 포른 12.08.20 2,606 0
125724 한담 사투리 캐릭터 나올때 +7 Lv.30 호호홍 12.08.20 733 0
125723 요청 무적행 같은 소설 +2 Personacon 마아카로니 12.08.20 868 0
125722 요청 기갑물 추천좀 해주세요 +9 Lv.87 We.DS 12.08.20 2,543 0
125721 요청 판타지 추천 받아요. +8 Lv.1 셀리니아 12.08.20 758 0
125720 홍보 [정규/판타지]재회와 만남의 장의사 홍보합니다. Lv.1 [탈퇴계정] 12.08.19 484 0
125719 한담 최근 시작한 '신의'라는 드라마 말입니다 +21 Lv.64 길동무 12.08.19 1,850 0
125718 요청 오래된 건데 제목이 기억이 안남니다. +5 Lv.50 극악현무 12.08.19 1,210 0
125717 요청 제목 좀 알려주세요 +5 Lv.52 FAD 12.08.19 959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