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창룡전기 나름...

작성자
Lv.6 異色奇家
작성
13.02.26 09:30
조회
11,568

제목 : 창룡전기

지은이 : 오채지

출판사 : 발해


 저는 왠만하면...이 아니라 아예 최신작들은 안 봅니다. 군림천하에 데여서 그럴까요. 다음 권 기다리다가 그 텀이 1년을 넘겨버리는 바람에 아예 내용 자체를 까먹어 버려서 신권 나올 때마다 처음부터 다시 읽기를 수 번 째...그러다가 열딱지 나서 헌책방에서 21권까지 사버린 이후로 완결 안난 소설은 읽지를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발행년도가 07년이니 09년이니 가장 최근에 나온 걸 읽었던 게 2011년이었습니다.

이 창룡전기도 09년도 작품이군요.

근데...진짜 드물게 낄낄거려가며 읽었습니다.

무협 소설의 영원한 화두인 개연성은 좀 약합니다. 무림맹의 맹주가 주인공을 거두려는 이유도 소설 그대로 죄책감 때문이라면 너무도 약합니다. 결말도 참 부실합니다. 라스트 보스 참 어이없게...


근데 재미있습니다. 여기서 호불호가 갈리겠지요. 보다보면 어디서 많이 본 듯한 익숙한 개그인데 그게 곳곳에 짜임새 있게 섞여 있습니다. 억지로 웃음을 강요하는 듯한 소설들 보면 눈쌀을 찌푸리곤 합니다. 맥락도 없는 짓을 하고는 그걸 주인공의 멘트로 애써 개그로 만들려는 소설도 꽤 많이 봤습니다.


여기서 전 요즘 작품 중에 없는 것을 보았습니다. 바로 라이벌이라는 존재죠. <절대쌍교>의 강소어와 화무결, <의천도룡기>에서 장무기의 라이벌은 성곤-송청서-주지약으로 이어질 수도 있겠죠. 라이벌이란 게 주인공을 돋보이게 할 수도 있는 겁니다만 오히려 그 라이벌 자체가 작가의 의도와는 달리 주인공보다 더 비중이 커질수도 있죠. 대표적인 예가 <은영전>이겠죠. 다나카 요시키도 양 웬리가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의 캐릭터까지 잠식할 줄 몰랐다고 밝혔을 정도니까요. 대신에 이 라이벌이란 존재는 소설 자체를 맛깔스럽게 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 입니다.


창룡전기의 주인공은 분명 장일락입니다. 라이벌 아닌 라이벌은 흑도의 부스러기인 마지철입니다. 왜냐하면 소설 전반으로 주인공 장일락이 마지철을 꼬붕 삼아 데리고 다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뻔한 소설이라면 기승전결의 ‘전'쯤 되면 꼬붕 마지철은 주인공에 감동을 하여 심복이 되겠지요. 그런데 마지철은 끝까지 장일락에게 칼침 놓는 것을 꿈꿉니다. 그래서 이 마지철을 라이벌의 반열에 올려도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거기다 장일락은 초반부터 완성형 케릭터인데 반해, 마지철은 은밀히, 그리고 장일락이 놀랄 정도로 성장합니다. 물론 주인공을 뛰어넘을 정도는 아닙니다만 대형 사고(?)도 칩니다. 이쯤되면 라이벌로 격상 시켜도 되겠지요.


장황하게 떠들었습니다만 결국 그거지요. 1권을 읽었으니까 당연히 2권도 읽어야...이런 의무감으로 읽게 되는 무협이 은근히 많습니다. 물론 뻔한 제목에 내용이고 빌려오면서 미리 결말 부분도 살펴 본 적도 많습니다. 그게 그거니 빌릴 때마다 대여점 주인에게 ‘이거 보신 건데요'하는 삑사리를 맞지요. 기억도 오래된... 누군가가 쓴...뭐 이런 식으로...그러니까 읽긴 하지만 내용도 간곳 없고 그저 대여점 바코드에나 내가 읽었던 것이라고 기억되는...


앞서 얘기했듯 하나하나 따져보면 비판할 내용도 상당한 작품입니다.


하지만 요 근래 들어 어떤 강박 관념 없이 시원하게 웃고 즐기면서 읽었던 작품인것 같습니다...


Comment ' 4

  • 작성자
    Lv.99 코드명000
    작성일
    13.02.26 14:27
    No. 1

    재미는 있었는데 완결이 맘에 들지 않았던 작품이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8 이씨네
    작성일
    13.02.26 19:17
    No. 2

    참 재미있는 책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5 오그레
    작성일
    13.02.26 23:24
    No. 3

    마지철이란 인물이 참으로 매력적이더군요. 저는 이런 캐릭이 아주 마음에 듭니다. 비슷한 캐릭으로는 표사에 석철인가? 하는 캐릭도 매력적이였죠.
    오채지 작가님 소설중 제일 재미있게 보았고 기억에 남는 소설이였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no*****
    작성일
    13.02.27 08:28
    No. 4

    전 오히려 창룡전기처럼 개그식으로 끝내는게 낫더군요
    소설전첸 십병귀가 최고지만 마무리는 창룡전기가 제일 좋았음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8127 일반 (여행기,고전)당나귀와 함께한 세벤느 여행... Lv.86 저거광팬 13.03.08 1,822 0
28126 무협 만불만탑 &무림지하 잘 읽고 있습니다. +1 Lv.67 하한 13.03.08 4,932 2
28125 게임 로열페이트 23권 읽다가 피식 +3 Lv.57 새벽의금성 13.03.07 7,329 0
28124 무협 요즘읽은 장르소설9 +17 Lv.2 DrBrown 13.03.07 9,372 3
28123 판타지 하얀늑대들 1~2권 +8 Lv.12 악마왕자 13.03.06 4,520 6
28122 인문도서 고전 명작들을 한꺼번에 읽은 척 하기... ... +8 Lv.14 Dainz 13.03.06 7,819 4
28121 무협 북천십이로(1~7권) 감상평입니다. +20 Personacon J군 13.03.06 7,904 2
28120 무협 불사신공 - 북제 +9 Lv.6 풍돈 13.03.05 9,059 0
28119 기타장르 상실의 시대 를 읽고 +34 Lv.22 무한오타 13.03.03 4,757 2
28118 일반 (장편,시리즈)스티그 라르손의 여자를 증오... +3 Lv.86 저거광팬 13.03.03 2,436 0
28117 게임 오늘오후에의 미러이미지 +8 Lv.96 강림주의 13.03.03 6,234 3
28116 무협 낭인천하 3권을 읽고... +10 Lv.60 yu**** 13.03.02 6,352 5
28115 퓨전 이든 13권부터 흥미가 급감하네요. +18 Lv.99 곽일산 13.03.02 6,126 6
28114 현대물 고수,하산하다 추천글보고 3권까지 읽어봤... +10 Lv.9 콩도령 13.03.02 7,134 1
28113 판타지 블레이드 마스터를 읽고 +9 Lv.1 [탈퇴계정] 13.03.01 5,808 0
28112 퓨전 이차원 용병 7권 +27 Lv.28 여우사초 13.03.01 8,912 12
28111 SF (sf/고전) 아이작 아시모프의 바이센티니얼... +3 Lv.86 저거광팬 13.03.01 4,674 2
28110 무협 십만대적검 1~2권 +12 Lv.4 pai 13.03.01 10,672 5
28109 판타지 스틱스를 재독하며 줄거리 포함 +5 Personacon 미그미 13.03.01 6,362 1
28108 무협 작가연재란의 낙향무제 +2 Lv.60 카힌 13.02.27 6,606 1
» 무협 창룡전기 나름... +4 Lv.6 異色奇家 13.02.26 11,569 3
28106 무협 설봉 - 천애비검 +8 Lv.31 세르미안 13.02.25 7,826 1
28105 무협 전진검 작가의 역천마제 1, 2권 +6 Lv.81 천연세제 13.02.25 6,477 7
28104 현대물 먼치킨 노닥물 홀리데이(완)의 감상 +56 Lv.6 여명방랑자 13.02.24 12,550 1
28103 인문도서 유방을 읽고 일본 역사 서술은 재미 +10 Lv.31 자쿠 13.02.24 3,686 1
28102 현대물 차카게 살자의 라여린 이란 캐릭에 대하여 ... +58 Lv.65 오그레 13.02.23 7,736 4
28101 무협 명왕신세계전을 읽고 +5 Lv.1 무다무다 13.02.23 4,358 1
28100 판타지 야만인 코난 2-검은 해안의 여왕 을 읽고 +6 Lv.22 무한오타 13.02.22 3,317 0
28099 퓨전 골든메이지 감상하고... +6 Lv.16 유니셀프 13.02.22 12,488 0
28098 판타지 칸솔론을 읽고 +25 Lv.10 살라군 13.02.22 10,654 14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