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60 카힌
작성
17.07.11 18:33
조회
1,055

이 가상화폐를 만든 개념 자체가 어느 특정 국가에 속한 화폐가 아니지만 그렇다고 마냥 방치할 가능성은 매우 적습니다.


그냥 냅두지..라는 의견이 많고, 국가가 개입하려고 하면 굉장히 큰 저항이 있을 테지만 그래도 그냥 방치할 순 없는게 국가라고 전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보기엔 필연입니다. 가상화폐의 장점이 점점더 보편화되면서 커져만 가고 다시 채굴에 뛰어드는 사람이 많은 선순환 구조를 거치면서 폭증하고 있는데, 이게 더 이상 무시할수 없는 엄청난 규모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완전한 개입은 어렵지 않나 개인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왜냐면 가상화폐는 한 개인 또는 국가가 일방적으로 제약을 둘 수 없는 경계가 없는 화폐이기 때문입니다.


 즉, 기존 통화와 완전히 동일한 개념으로 통제하기는 어렵지 않나 싶고, 단지 최소한의 부작용을 제어하기 위한 법제화가 이뤄질 가능성을 점쳐봅니다. 


중국이 이 가상화폐를 적극 이용한다는 소식은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그런데 국내에서 다단계 사기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생각보다 다단계의 수법이 너무나 정교하기 때문에 다단계인지 모르고 가상화폐 관련 서비스를 받거나 투자하게 되는 경우를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부동산이 거품이 많다고 오래전부터 이야기 되어 왔지만 부침은 있을 지언정 대폭락이 지속되거나 하는 일이 없듯이 앞으로의 세대는 가상화폐가 익숙해 지리라 보여집니다.


단, 교통정리는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무튼 최근에 레드오션에 진입한지 오래 된 비트코인에 비해 양호했던 이더리움은 선수들의 영역으로 들어섰습니다.  최근 몇일의 폭락으로 그래픽카드 중고매물이 급증하고 있지만 또 어느날 이런 분위기가 반절될지 모릅니다. 


그러면서 이미 불패신화가 만들어져 있어서 단기간 흔들려도 결국 2~3년 지나보면 큰 수익이더라.. 라는 믿음이 생겨나고 자리잡고 있습니다. 제가 보기엔 이미 만들어진 이런 심리를 다수가 갖게 된 이상 쉬이 꺼지진 않으리라 보여집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부침과 등락의 위험도는 커질 수 있습니다. 급등락을 거듭하면서 손해 보는 분들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마치 주식처럼 말이죠.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말은 이렇습니다. 삼성전자를 몇해전 80만원에 사신 분은 지금 세배가 넘는 수익을 거두고 있지만 그건 결과론적이고,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은 하락할때 팔고 오를때 사서 이중의 피해를 본 경우가 많습니다.


즉 가상화폐는 지금 프로들이 과거 수익을 짭짤하게 벌었고, 레드오션화 된 지금도 역시 노하우를 통해 겉으로 드러나는 수익보다 더 괜찮은 이익을 보고 있습니다.


몇달 채굴하다 그만두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손해는 아니라 생각하지만 그들이 본래 가져야할 이익의 상당부분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남좋은 일만 시킨 셈입니다.


펀드 6개월 가입하고, 수수료만 낸 채 해지하는 것처럼요.


전용프로세서까지 동원해 캐고 있는 비트코인 시장. 중고 매물을 사고 파는 노하우와 유통사와 직접 거래할 정도의 큰 돈을 들일 수 있는 배짱과 자금력 등이 이제 개인들과 구분되는 프로들의 영역이 되어 버렸습니다.


아무튼 주식시장이 그러하듯 개인들이 뛰어들어 그리 재미볼 시기는 이미 지났습니다. 그 와중에도 대박이 나고 그 와중에도 돈을 버는 사람들이 있고, 또 계속 나타나겠지만 제가 보기엔 이미 주식시장과 비슷해진지 오랩니다.


따라서 취미삼아 한다는 개념은 이제 이더리움에서조차 신중해야할 때가 아닐까 싶네요.


PC 20대 놓고 장사하던 동네 피씨방이 하나둘 생길 때만 해도 서로 먹고 살기 좋다가 난립하게 되는 순간부터 서로 힘들어지는 시기가 오게 되고, 이후엔 목좋은데서 200대씩 돌리는 곳와 상대하기 어려워 진것과 비슷하다보면 되겠습니다.


다단계는 너무나 교묘하기 때문에 아는 사람은 알지만 모르는 사람들이 관심을 갖기 시작할 이 때가 그들이 판을 치기에 최적의 시깁니다.  조심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Comment ' 6

  • 작성자
    Lv.2 특이
    작성일
    17.07.11 18:53
    No. 1

    근데 비트코인이 레드오션에 진입했나요?
    아는 사람 때문에 찾아보니까 저번달에도 저저번달 대비 2배 뛰었다고 본 기억이 있는데.. 잠깐 정체기나 소폭 하락하는 경우도 있지만 계속 오르고 있다고 들었거든요
    뭐 그냥 흥미 생겨서 그때 한번 찾아본거지 하진 않아서 잘 아는 건 아니라 제가 모르는 부분도 있긴 하겠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7.07.11 19:02
    No. 2

    레드 오션이 되었다는 의미는 다수가 참여하여 소수만이 버는 구조를 빗대 말한 것입니다. 본문에도 여전히 이 와중에도 버는 분들 계시다고 했지요. 그러나 더 많은 사람이 몇달 손대가 그만 둡니다.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7.07.11 19:18
    No. 3

    예를 들어드리자면, 채굴기 한대를 들이는 비용이 과거에 비해 갑자기 크게 올랐습니다. 기존에 비해 투자비를 회수하는 기간이 늘어났고, 심심풀이 삼아 월 백을 벌던 분이 난이도 상승으로 그 절반을 벌게 되었는데, 새로 뛰어드는 경우는 어떠할까요.

    비트코인 가격이 올랐다지만 난이도도 같이 올라갑니다.

    이건 과거의 부동산 열풍처럼 절대 깨지지 않을 공식..즉 계속해서 오른다는 전제하에서는 단기간 등락이 있어도 결국 나중에는 수익이 되어 돌아 오게 되어 있는 심리인데...이마저도 개인이 손대기에는 무리가 있는 시점이라는 말입니다.

    ..
    제가 만일 돈이 많고 이 일에 대해 전문가라면, 스스로도 그리고 주변 의 돈 많은 사람들하고 모여 수천대를 전문적으로 돌리면서 그래픽카드 유통기업과 다이렉트로 거래하고, 적절한 시기에 더 뛰어난 제품이 나오기 전에 중고거래도 전문적으로 하면서 세대교체도 하고, 일부 중고거래로 시세차익도 보며, 아예 코인 거래에 직접 뛰어들기도 하겠죠.

    그러나 개인은?

    아예 전용 프로세서까지 제조의뢰해서 사용하는 전문가들과 달리 개인은...그래픽카드 가격이 불과 몇달시이에 평균 1.7배가 뛰었습니다. 위에 언급햇다시피 투자비 회수기간이 늘어났다는 의미죠.

    제가 한달 전쯤인가 채굴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지금은 달라졌을 수 있습니다.) 투자회수기간이 2년으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것도 고정비가 있어서 전기세 임대료 등이 들어갑니다.

    정리하면, 버는 사람은 벌 수 있는 노하우와 자금력으로 계속해서 이더리움 또는 Z코인 등 전문적인 사업으로 영위가 가능할 수 있지만 부업 정도로 여기는 분들은 재미보기 점점 어려워진다..심지어 자칫 손해 볼 수도 있는 시기로 접어들고 있다..정도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찬성: 3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단솔
    작성일
    17.07.11 21:48
    No. 4

    국가를 움직이는건 세금 입니다
    각국의행정부들이 세금을 포기 하고 가상화폐를 용납하지 않습니다
    곧 제제 작업이 들어가고 침묵속에서 산산조각 날것 이라 개인적으로 생각 합니다
    그런 과정에서 개미 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기를 바랄분 입니다
    이미 탈세를 목적으로 가상화페 작업 세탁에 들어간 상위 집단은 세탁을 끝내고 개미들의 방향성을 보며 장난질을 한다고 생각 합니다

    찬성: 4 | 반대: 0

  • 작성자
    Lv.99 2019
    작성일
    17.07.12 10:09
    No. 5

    가상화폐 직접 투자가 아닌 것들은 법에 저촉될 수 있다고 얼마 전에 tv에서 봤어요 알아서 조심합시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정주(丁柱)
    작성일
    17.07.12 15:09
    No. 6

    가상 화폐류가 국가에서 단속을 하지 않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그것이 각국의 이해관계가 엮인 투기자본으로 적절하기 때문에 + 이미 거기 투기한다고 돈 쏟아넣은 사람이 있어 피해를 줄이기 위해 + 이미 그걸로 돈 벌어가고 있는 사람들이 있기에...
    가상 화폐를 '돈'이라고 인정한 적은 한 번도 없지만, 마치 주식같죠. 노력하면 얻을 수 있는 주식 같이... 암호를 해독하고 돌리면 얻는다...
    그 와중에 뭘 하는 건지 그래픽 카드는 손상...
    많은 기업들이 얽혀있을 수도 있고... 돈도 많이 얽혀있고... 나름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는 부분 때문에 냅둔거지...
    그 가상화폐를 돈이라고 인정한 중앙은행(국가)은 아무나라도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5501 구독자 통계에 왜 여성 비율이 높았는지 알아냈습니다! +4 Lv.11 청매림 17.07.15 944
235500 바이올린을 배우려고 하는데... +8 Lv.88 Finger8 17.07.15 694
235499 얼마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5 Lv.88 Finger8 17.07.15 727
235498 습관이 무섭네요 +5 Lv.55 짱구반바지 17.07.15 789
235497 현실이 상상을 뛰어넘는다는 말의 의미 +2 Lv.52 과몰입주의 17.07.15 723
235496 저에게는 스케일 큰 꿈이 있습니다. +4 Lv.67 bujoker 17.07.15 791
235495 오늘 드디어 난제하나를 해결 했습니다 +11 Lv.63 가출마녀 17.07.15 760
235494 글 쓰고 올리기 전에 검토하는 거 뭐라고 하죠... +14 Lv.41 잎새사이 17.07.15 847
235493 환불 어떻게 하나요? +5 Lv.54 문북라이프 17.07.14 754
235492 공모전 도전의 결과...'도꼬다이'네요 +4 Lv.7 磨穿十硏 17.07.14 916
235491 민폐에 대한 의미를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 +8 Lv.66 칸달라스 17.07.14 713
235490 요즘에 아무리 삶이 팍팍해 졌다곤 하지만 기본적인. +6 Lv.66 칸달라스 17.07.14 710
235489 남자끼리는 싸우면서 친해 진다? +13 Lv.4 남성학 17.07.14 765
235488 미쳐가고 있습니다. 으헤헤헤 +11 Personacon 신곰 17.07.14 700
235487 작품을 쓰니, 다이어트가 되네요. +6 Lv.19 발암작가 17.07.14 640
235486 필력이 대단한 글을 보고 가져왔습니다. +10 Lv.19 발암작가 17.07.14 988
235485 귀족 며느리는 뭐라고 불렀을까요? +15 Lv.83 염소대마왕 17.07.14 763
235484 맥그리거vs메이웨더, 복싱 아닌 이종격투? +2 Personacon 윈드윙 17.07.14 965
235483 한국이 위험한 나라였나 보네요... +17 Lv.8 desperea.. 17.07.14 991
235482 반지의 제왕 원서하고 문피아 소설들하고 차이가 뭐에요? +8 Lv.1 cookiemo.. 17.07.14 948
235481 시급이 안오르는 이유가 있었네요. +7 Lv.25 시우(始友) 17.07.14 928
235480 모처럼 찜질방 왔는데... +3 Lv.99 세이기온 17.07.14 649
235479 요즘 작품을 하나 준비하는데... +7 Lv.56 멍꿀멍꿀 17.07.14 707
235478 픽미픽미픽미 업! +4 Lv.41 잎새사이 17.07.13 632
235477 풍운고월님의 조언을 바랍니다. +4 Personacon 水流花開 17.07.13 724
235476 우연히 작품 홍보란에 들어갔다가 +6 Lv.21 도류 17.07.13 769
235475 명함 욕심ㅋㅋㅋ +9 Lv.55 짱구반바지 17.07.13 770
235474 영화를 시청하는데 발음이 아닌 들리어요. +10 Lv.4 남성학 17.07.13 726
235473 외도하는 챔피언 맥그리거와 강력한 상위랭커들 +10 Personacon 윈드윙 17.07.13 739
235472 갑자기 능력 생기는 설정은 좋다 이거에요. +6 Lv.99 옳은말 17.07.13 898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