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33 로르샤흐
작성
03.11.30 11:40
조회
402

'다'란 부분은 퀘스트님이 오해하셨습니다. 그냥 문장 말미에 '다'가 붙는다면야 이는 조선 시대에도 얼마든지 있습니다. 하였도다 그렇소이다 등등. 그런데 제가 말한 '다'란 평서형 종결어미로 쓰이는 '다' 입니다.

我 朝鮮人으로 議하야도 朝鮮人 三字가 第一 重大한 公稱이라.

유길준이 쓴 서유견문 중 한 부분입니다. 지금 같으면 문장 끝에 '이다' 라고 쓰겠지만 이 글에서는 '이라' 라 하고 있습니다.

"나과 누으님조차 가면 가려니와, 내 혼자는 못 갈노라."

하시니, 우흔 더옥 텬지 망극히 우오시더라.

계축일기 중 한 부분입니다. 지금이라면 '우시었다' 정도로 마무리가 되겠지만 이 글을 쓴 궁녀는 '~더라' 란 어미를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쓰이던 '더라'가 이광수의 무정 출간 이후 점점 줄어들다 거의 사라지다시피 합니다. 이전에 '~더라' 쓰이던 곳이 '이다' 가 쓰이기 시작한 겁니다. 이후 일본 유학파인 김억의 시나 유학파가 만든 동인지 '창조'를 보면, 그 이전의 문헌들과는  - 소설만이 아니라 평론이나 시 등 - 어미 사용이 확연히 달라지고, 이 차이는 바로 10여년 전과 비교해도 너무나 큽니다. 1900년대 초 대한매일신보의 사설과 1920년대 동아일보 사설을 보면, 이 두 글이 쓰인 시기가 20여년밖에 안 난다는 게 신기할 정도니까요.

물론, 이러한 어미 사용법의 변화, 더 나아가 문체의 변화가 '무정' 한 작품으로 비롯되었는가는 논란이 될 수 있지만, 지금 우리가 일상적으로 글을 쓸 때 사용하는 '다'의 용볍이 이광수의 무정에서 처음 나타났고, 이 용법이 지금 우리 글쓰기으 기본이 되었음은 분명합니다.  그리고 이 '다'의 용법이 일본어의 종결어미 'だ'의 영향을 받았음도 부정하기가 힘듭니다. 일본 유학파의 전면적 등장 시기와 평서형 종결어미로 쓰이는 '다'의 등장 시기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주격조사 '가' 가 수상하다 하셨는데, 주격조사 '가' 처음 문헌에 등장한 문헌은 1572년 송강 정철의 자당인 안씨부인이 쓴 서간입니다. 이후 17세기 무렵에 y 반모음으로 끝나는 주어 뒤에 쓰이다 지금같이 받침 없는 주어 모두에 쓰이는 용법으로 사용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주격조사 '가' 가 어디서 등장했는가 하는 건 아직 논란거리입니다. 이전에는 임진왜란 시기 일본어의 영향이라는 설이 지배적이었지만, 이 조사가 처음 등장한 문헌이 임진왜란 이전 문헌입니다. 게다가 실제 입말로 쓰이는 말이 문헌으로 나타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단 사실까지 감안하면 문제는 더욱 애매합니다.

남편이 반말하고 아내가 존대하는 걸 일본어의 영향으로 보시고 상호 존대를 전통적 어법으로 보시는 거 같은데, 이 역시 단언하기 힘듭니다. 월인 석보를 보면 남녀 대화에서 상호 경어체를 쓰지만 남자 쪽은 두루 낮춤을 쓰고 여자 쪽은 극존칭을 쓰는 장면이 있습니다. 궁궐의 예를 드셨지만 궁궐같은 경우 어느 나라이든 예법이 특히 강한 곳이고, 양반가 같은 경우도 예법을 따지던 곳입니다. 변강쇠전에선 강쇠와 옹녀가 같이 경어체를 쓰지만, 강쇠보단 옹녀가 더 자신을 낮추고 있습니다.

원래 경어체, 즉 높임법이란 단순히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하는 어법이 아닙니다.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상호 존중으로 쓰는 것이 경어체입니다. 그런데 하게체 같은 아랫 사람을 존중하는 용법 사용은 거의 사라지고 윗사람에게 쓰는 용법만 쓰이다시피 하는 게 근래 모습입니다. 퀘스트님이 말하신 문제는 부부간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한국어 경어체 사용 전체의 문제입니다.

저 역시 공부가 부족한 입장이라, 제가 아는 한에서 적당히 말하는 게 고작입니다. 이견 있으시면 말해 주시길.  

강호정담란을 잘 안 오기에 답이 늦었습니다.


Comment ' 8

  • 작성자
    Lv.85 lullullu
    작성일
    03.11.30 14:42
    No. 1

    ..고수님들의 그 높으신 지식은 범인인 저로서는;;
    어찌되었건..이광수라..-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퀘스트
    작성일
    03.12.01 09:58
    No. 2

    친절한 답변 고맙습니다. 역시 의문점을 올리길 잘했네요. 근데 '걸인 하나 내려왔다' 는 평서형 종결어미에 해당되는 게 아닌가요? 이런 것은 뭐라고 부르는지도 좀 알려주셨음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퀘스트
    작성일
    03.12.01 10:02
    No. 3

    그리고 y 반모음으로 끝나는 주어 라는 건 어떤 것을 말하는 건지도좀 ... 머리를 굴려봐도 떠오르는 게 없네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 하우
    작성일
    03.12.01 10:49
    No. 4

    약간 의문이.....
    위의 예문에 든 것은 과거에 일어난 일을 다른 누구에게 전해줄 때 쓰이는 종결어미로 요즘에도 자주 쓰입니다. 문어체에선 거의 쓰이지 않지만 대화체에선 자주 쓰이는 바 '누가 뭐뭐 했다더라' 와 같은 식으로 활용되고 있죠. 판소리에서 -더라 란 어미가 많은 것은 그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마찬가지로 위 예문도 누구에게 무언가를 전하고자 쓴 글이기에 -더라 란 어미를 쓴게 아닌가 생각되는군요.
    고문 중 저런 것 말고 자신의 속마음을 쓴 것 중 위 어미를 쓴 글도 있는지 궁금하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진신두
    작성일
    03.12.01 10:50
    No. 5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처럼 말해서 이만한 장문의 글을 답변으로 받았는데 단 몇 줄의 글로 또 장문의 답변을 요구하는군요, 퀘스트님.

    - 2 퀘스트 2003-12-01 09:58:57
    친절한 답변 고맙습니다. 역시 의문점을 올리길 잘했네요. 근데 '걸인 하나 내려왔다' 는 평서형 종결어미에 해당되는 게 아닌가요? 이런 것은 뭐라고 부르는지도 좀 알려주셨음 합니다.

    - 3 퀘스트 2003-12-01 10:02:26
    그리고 y 반모음으로 끝나는 주어 라는 건 어떤 것을 말하는 건지도좀 ... 머리를 굴려봐도 떠오르는 게 없네요.

    관심이 있다면 얼마든지 검색해서 찾을 수 있는 내용인데, 굳이 그런 전문적인 부분까지 묻는 이유는 무었인지?
    본인이 올리는 글은 확인도 없이 대충 "감으로" 올리면서, 다른 사람이 공들여 찾고 올리는 글은 슬쩍 보고 몇 줄의 글로 또 다시 수고를 끼치게 하는 그런 일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퀘스트
    작성일
    03.12.01 11:48
    No. 6

    진신두님 또 오셨군요. 저는 공명님이 공들여찾아서 올린 거라고는 미처 생각 못했네요. 일가견이 있는 분 같아서 기왕 머릿속에 들어 있는 거 좀 알려주시면 어떨까 하여 부탁드린건데요. 제 검색 능력이 시원치 않아서 남들 다 찾는 것도 잘 못 찾는 수가 많은 것도 한 까닭이구요.

    굳이 그런 전문적인 부분을 묻는 이유는 제가 지적호기심이 많은 편이라서 그런 모양이지요. 한마디로 '궁금해서'요...

    근데 이젠 저에 대한 적개심을 감추려고도 하지 않으시는군요? 제 주측이 맞았나보지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57 ch******
    작성일
    03.12.01 23:40
    No. 7

    배움이 짧아 여쭙습니다만, "하였도다 그렇소이다"는 평서형이 아니면 무슨형인지 궁금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3 로르샤흐
    작성일
    03.12.02 03:24
    No. 8

    퀘스트님께서 국어학 쪽에 어느 정도 관심이 있으신 줄 제가 알았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었군요.

    제가 아직 공부가 부족해, 이 쪽 지식을 관련 지식 없이 쉽게 풀어 말할 능력이 못 됩니다. 궁금하신 것들은 이익섭의 [국어학 개설]이나, 이석준 이주행 공저의 [국어학 개론], 그리고 남광우 선생님의 [고어 사전]을 보시면 알 수 있을 겁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688 지금쯤 정담에 글 올릴텐데 하실 분들을 위하여.. +4 Lv.1 신독 03.12.02 197
16687 휴~~~컴 포맷했습니다~~~ +2 Lv.11 현람 03.12.02 159
16686 수능 점수가 나왔습니다. +16 Lv.1 예휘 03.12.02 382
16685 [펌]다시태어나도 한국인으로 태어나고 싶다. +13 Lv.1 하늘가득 03.12.02 635
16684 강풀의 순정만화......1~~8화. +14 Lv.52 군림동네 03.12.02 437
16683 우리는 무적의 솔로부대다..(우구당 파이팅~~) +9 Lv.52 군림동네 03.12.02 336
16682 [펌] 아이들의 재능발전은 어른들의 책임.... +4 Lv.1 푸른이삭2 03.12.02 217
16681 [펌] 나의 숨겨진 성격은? +6 Personacon 검우(劒友) 03.12.02 322
16680 펌]12월 2일 포청천의 시사만화 - 전지현 2% 패러디 광고 Lv.38 매봉옥 03.12.02 222
16679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의도 - 신동아 펌 Lv.1 백수서생 03.12.02 237
16678 때려 OST , KCM의 정체가 드러났다. +1 魔王怪笑 03.12.02 383
16677 고구려, 일제, 그리고... Lv.1 백수서생 03.12.02 185
16676 근래의 유행 풍조 +4 Lv.33 로르샤흐 03.12.02 292
16675 [가담(可談)] 허허-_-;; 벽산뮤직? +10 가영이 03.12.02 277
16674 [가담(可談)] 새벽공부를 하며. +5 가영이 03.12.02 276
16673 ' 견자단의 정무문 ' 시리즈를 다시금보며...... +1 Lv.3 비진립 03.12.02 243
16672 지금 캐롤을 듣고 있습니다... +3 Lv.39 파천러브 03.12.02 186
16671 우리모두 댓글의 1타의 영광을 위해서 정정당당하게 합니다~ +4 Lv.63 인생50년 03.12.02 199
16670 민화 아웃복서, 더 파이팅의 완벽한 표절작.. +6 Lv.5 만화량 03.12.02 684
16669 어떻게 할까요...... +3 Lv.39 파천러브 03.12.02 183
16668 공룡 중국의 화력과 참혹한 한국의 전력에 고구려의 역사... +8 Personacon 금강 03.12.01 612
16667 아 진심으로 보이는 고백방법 알려주세요.. +8 Lv.1 애국청년 03.12.01 350
16666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4 Lv.15 千金笑묵혼 03.12.01 256
16665 현대카드...엠 광고를 보고...... Lv.23 어린쥐 03.12.01 360
16664 스토리 코리아.....무한 창 압박..... +2 Lv.23 어린쥐 03.12.01 469
16663 당분간 잠수탑니다. +7 Personacon 검우(劒友) 03.12.01 327
16662 제주별곡(-_-;;) 수학여행 후기.. 관동별곡 형식을 따서. +2 Lv.54 만천화우 03.12.01 310
16661 예비군 훈련... +3 Lv.1 히든카드 03.12.01 367
16660 카드회사... 너무 멋진거 아닙니까? +6 素彬 03.12.01 560
16659 일본판 DDR인데 재미있어요~ㅋ +12 Lv.15 千金笑묵혼 03.12.01 523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