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69 고지라가
작성
17.08.26 22:28
조회
751



한국인은 잠재력이 있는 민족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추상적인 판단을 제외하고, 객관적인 근거를 찾다 보면 걸리는 것이 하나 있어요. 바로 노벨상입니다.

일본인이 노벨상 25개를 받았고, 중국인이 노벨상 8개를 받았는데, 한국인은 1개를 받았습니다. 그조차도 어떤 국민은 이를 반납해야 하느니, 말이 안 되느니 라며 울분을 터뜨립니다. 


성적표에 찍힌 숫자는 거짓말을 안 하는 법이죠.


하지만 저는 한국인이 일본인이나 중국인에게 뒤처진다는 생각은 들지 않아요.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개인적인 생각으론 국민 + 노벨상 유망자를 군대에 갈아 넣어서 국방을 지키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중국에 할머니 한 분을 빼면 한·중·일 노벨상 수상자는 모두 남자뿐이거든요. 


재능을 가진 사람을, 어떤 역량을 만들어 낼 수 있는 황금기에 군에 입대시켜서 나라를 떠받치도록 만드는 것이죠. 이게 참 아름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비록 강제성은 있지만, 군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본, 중국, 북한의 침략 위협에서 국가가 자주성을 지킬 수 있는 것입니다. 

징병 된 군인이 없었다면 일본, 중국, 북한의 무력도발을 수시로 받으면서 나라의 역량이 소극적으로 움츠러들었을 것입니다. 국민이 발 뻗고 자존감을 지닐 수 있는 건 모두 군인이 있기 때문이죠. 

거기에 비하면 노벨상 같은 건 별문제도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황금기가 지나갔다고 고작 2년 2개월의 시간 때문에 이후에 노벨상을 받은 사람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도 이상합니다. 노벨상 수상자들의 나이는 50대, 60대도 많으니까요. 정말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Comment ' 18

  • 작성자
    Personacon 묘한(妙瀚)
    작성일
    17.08.26 23:03
    No. 1

    재미있는 이야기 중 하나가... 노벨상 수상자들이 노벨상을 타게 되는 연구의 절반정도가 20대때 개념을 떠올리거나 잡은 것들이라죠
    다만 그런 천재들은 우리나라도 군대 안보냅니다.
    석사 대체복무 연구원으로 근무하거나 상위권 대학엔 박사 학위 따면서
    군대 안가도 되는 TO가 과마다 있습니다.

    그냥 연구 예산 편성이 단기적 실적위주의 연구로만 될수밖에 없는 구조가
    가장 큰 원인인거 같고...
    추가적으로 교육체계의 구조적 문제 + 랩실의 군대식 문화도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지 않나 생각합니다. 교수 갑질이야... 유럽이나 미국 선진국들도 박사 애들 괴롭혀서 자살하게 만드는 교수가 (해당 연구분야에선 천재,대체불가) 있는거 보면 어느나라나 있는 문제 같습니다.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9 고지라가
    작성일
    17.08.26 23:12
    No. 2

    하지만 그렇게 생각한다면 중국이나 인도는 한국보다 열악한 곳이죠.
    그 터키나 페루조차도 노벨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이게 정말 무슨 일일까요.

    찬성: 0 | 반대: 2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묘한(妙瀚)
    작성일
    17.08.26 23:29
    No. 3

    문학은 모르겠고우선 이과는 저렇습니다

    문학쪽은 우리나라 문단에서 그 특유의 '한'이 서린 표현들을 좋아하는데 외국사람들 취향은 아니라고 들었네여. 그 외에 여러 문제가 있겠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0 innovati..
    작성일
    17.08.27 01:05
    No. 4

    노벨상은 유럽중심의 상입니다. 우리나라를 아직 모르는 세계인이 더 많은데 문학이라고 얼마나 알까요. 그 나라가 매력이 있어야 그 나라의 문화도 매력이 있는겁니다. 한국문학이 시작된디 그리고 몇십년 밖에 안되었습니다.

    찬성: 5 | 반대: 0

  • 작성자
    Lv.35 야원(夜猿)
    작성일
    17.08.27 01:44
    No. 5

    일단 문학의 경우는 언어의 문제가 굉장히 큽니다.
    페루, 스페인어 쓰지요. 인도, 영어 씁니다.
    인지도를 얻기 쉬운 구조를 갖고 있지요.

    차라리 선전한 쪽이라면 일본인데, 일본은 한국과 비교하면 인구가 2배가 넘지요.
    자국 내수시장도 훨씬 풀이 넓을 뿐 아니라 해외 번역도 우리보다 훨씬 잘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 다음 이과의 경우..
    첫째로 과학 역사의 차이가 큽니다.
    서포카 해서 우리나라 1등을 다툰다고 하지만 기껏해야 5-60년 된 학교들이죠.
    그 학교들 세워지기도 전에 원자탄 만든 나라들과 비교하기에는 아직 가야 할 길이 멉니다.

    연구라는 게 갑자기 땅에서 솟아나는 게 아니지요.
    충분한 기반을 쌓고 남의 것을 익힌 다음에 작은 것부터 하나씩 개발하다가 큰 것이 펑 하고 터지는 건데, 그런 점에서 보면 우리는 이제 남의 것을 익히는 일만 마친 수준입니다.
    학부의 커리큘럼이나 대학원의 분위기 역시 그에 편중되어 있고요.
    남이 하지 않은 연구를 몇 년씩이나 공들여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안 갖춰져 있습니다.
    그런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 곳이라면 삼성 같은 대기업 쪽인데, 이쪽은 뭐 돈벌이가 최우선이니 당연히 상과는 거리가 멀지요.

    추가적으로, 여기서도 언어의 문제가 또 생깁니다.
    일본의 경우는 웬만해서는 영어를 몰라도 대학 수준까지는 공부하기에 크게 괴롭지 않을 정도로 전공서적이나 논문들이 잘 번역되어 있습니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인구가 많으니까, 한국이라면 도저히 채산이 맞지 않을 분야까지도 번역이 가능한 거지요.

    그에 비해 우리는 학부 수준에서부터 이미 영어에 어려움이 있으면 수학에 굉장한 괴로움을 겪게 됩니다.
    그런데 아무리 영어를 열심히 공부해도 우리말 책의 이해도나 속도를 따라잡을 수 있을 리가 없지요.
    이것만 해도 엄청난 페널티입니다.

    아마 한국인 중 노벨상이 나오려면...
    적어도 90년대 이후 유학 간 사람으로 미국에 뿌리를 박은 사람이어야 할 겁니다.
    젊어서 획기적인 발견을 할 만한 인재라면 일찌감치 유학을 떠났을 가능성이 크고, 박사학위도 그곳에서 받고 쭉 교수직을 역임한 사람이 가장 가능성이 높겠죠.

    찬성: 5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75 흔들릴때한잔
    작성일
    17.08.27 03:25
    No. 6

    저도 언어문제가 제일 큰것 같다는 소릴 들은듯 합니다

    찬성: 0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69 고지라가
    작성일
    17.08.27 12:22
    No. 7

    중국인도 노벨문학상을 받았고, 일본인도 노벨문학상을 받았죠. 중국인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만 다섯 명입니다. 그런데 한국은 평화상 하나뿐이예요. 아시아에서는 미얀마와 베트남, 방글라데시, 동티모르가 평화상을 받았죠.
    한국이 그 클래스인 걸까요.

    한·중·일 어디의 누구라도 열악한 환경에서 기량을 뽐내는 사람은 있죠. 재능이 있든 없든 노력하는 사람은 있기 마련이고 한국이라면 노벨상을 몇 개 받았을 정도의 기량을 될 거예요. 그래서 생각할수록 이상합니다.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5 야원(夜猿)
    작성일
    17.08.27 15:13
    No. 8

    위에서도 적었지만, 중국 인구, 일본 인구를 고려하면 풀이 턱없이 모자랍니다.

    작품으로 생계라도 유지하려면 독자가 있어야 하고, 그 독자층에서 차이가 클 수 밖에요.
    예를 들어 중국에서 김용이 무협을 쓰면 1억 부가 팔렸네 어쩌네 하지만,
    한국에 1억 부 팔린 책이 있기나 할까요.

    그렇다고 글이라는 걸 애초에 '수출' 목적으로 쓰는 경우는 드물고요.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4 NULLsign
    작성일
    17.08.27 06:16
    No. 9

    한 때 항간에 도는 말로는 우리나라 말이 번역하기 힘든 문체라서 그렇다는 이야기가 있었죠.
    예를들어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 나빌레라' 같은 말... 인데
    글쎄 지금은 잘 모르겠습니다.

    찬성: 2 | 반대: 2

  • 작성자
    Lv.41 우울할때
    작성일
    17.08.27 10:15
    No. 10

    잠재력이 있다는 주장에서 한 발자국만 잘못 가면 국뽕 과다투여가 됩니다.
    우리 민족에 자긍심을 가진 건 좋은데 한국인이라고 할게 있나요
    고려 때부터 전쟁 박 터지게 와서, 왜구가 박 터지게 와서 피가 섞인 국가인데
    그걸 한반도에 산 한민족으로 단정하고 민족에 잠재력이 있다니 마니..
    모든 종의 인간의 잠재력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단정할 수 없지요.

    찬성: 2 | 반대: 0

  • 작성자
    Lv.36 말로링
    작성일
    17.08.27 14:26
    No. 11

    전 오히려 우리나라 사람들이 노벨상에 매달리는 게 이해가 안 되는데요?
    문학상만 생각해보자면...

    노벨상을 받는다고 해서 그 작품이 대단히 좋은 작품으로 되는 것도 아니고 못받는 다고 해서 그 작품이 좋지 못한 것도 아니잖아요. ㅎㅎㅎ
    얼마 전에 비정상회담에서 김영하 작가님이 하신 이야기가 있었죠.

    '문학은 경쟁의 도구가 아니다. 메달을 따기 위해 글을 쓰는 작가는 없다. 자국의 독자들도 감동시키기 어려운데, 노벨 문학상은 유럽 중심의 문학상이기에 심사위원들도 유럽언어에 익숙하다. 이제는 목표를 바꿔 좋은 문학들이 많이 나오는 걸 목표로 해야 한다.'

    찬성: 2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69 고지라가
    작성일
    17.08.27 21:15
    No. 12

    우리는 올림픽 선수들에게 금메달을 요구하고, 월드컵 4강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죠. 그런데 메달 한 번 못 따고 16강 한번 못 올라간 국가가 '우리는 승리에 매달리는게 이해가 안 된다'라고 말하면 모두 어떻게 생각할까요.

    그런 나라를 우리는 어떻게 비웃고 놀리게 될까요.

    찬성: 0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36 말로링
    작성일
    17.08.27 22:50
    No. 13

    저도 어렸을적엔 그게 당연한 줄 알았습니다. 메달도 금메달을 따야 이기는 것이고
    월드컵 4강도 분명 의미있는 기록이죠. 하지만 점차 커가면서 뭔가 잘못되었다는 걸 느꼈습니다.
    승리... 네, 분명 그건 기쁜 일입니다. 월드컵이나 올림픽에서 기대하는 국민들을 위해, 그리고 나 자신을 위해 승리를 쟁취하여 메달을 따는 건 말이죠.
    하지만 이상하지 않습니까? 언젠가 신문에서 이런 기사를 봤습니다.
    '아쉽다. 은메달."'노메달.' 이게 당연한 거라고 생각하십니까? 아뇨. 전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올림픽의 진정한 가치는 무엇일까요? 그걸 생각해보면 고지라가님이 말씀하신 건 답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비웃는다고 말씀하시는데 왜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열심히 잘 했다고 말해주지 못할 망정 국민들은 메달을 따지 못한 선수에게, 높은 등수를 차지하지 못한 팀에게 비웃는 것 같나요? 예전엔 그랬을지 모릅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한참 성장하면서 어느 수준에 이르러 문화를 비롯한 스포츠에 관심을 쏟기 시작한 건 얼마 안 된 일입니다. 그때는 국가를 알리기 위해 메달을 따는 게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던 때입니다. 노벨상도 마찬가지죠. '옆 국가는 몇 개를 받았는데 우리는 없어.' 그러니까 우리는 노벨상을 타기 위해 노력해야 해! 아마...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앞서 말했듯이 저도 그렇게 생각했고요. 그게 자랑스럽다는 생각이 머릿속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이제 선진국 반열에 오르려 하고 있고 우리의 문화도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국민들의 의식수준도 많이 올라왔죠. 자,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도 선수들에게 압박을 가하고 문학상이 왜 안 나오냐는 그런 말을 하실 건가요?
    아니죠. 경기할 때는 선수들을 열심히 응원하고 부상당하지 않도록 기도하며 만일, 그 경기의 결과가 좋지 않게 나왔다고 하더라도 격려하고 다음엔 더 잘 할 수 있다는 따뜻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승리하지 못하면 누구보다도 분한 사람은 선수 본인이니까요.
    노벨상도 마찬가지죠.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이겁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찬성: 1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9 고지라가
    작성일
    17.08.27 23:53
    No. 14


    결과가 과정을 미화하긴 해도, 과정뿐인 사람이 결과를 달관할 수는 없겠죠. 노벨상을 다수 수상한 국가가 노벨상에 집착할 필요없다고 말하는 것은 멋있어 보이겠지만, 미얀마 동티모르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우리가 노벨상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말하는 것은 자기 위안이죠.

    리로케이트님이 어떤 깨달음을 얻으셨든 간에 거의 모든 국민은 노메달을 비난하고 예선하차에 욕을 하는것이 현실입니다. 우리가 선진국 반열에 오르려 하고있다고 하셨는데, 그럼 성적표를 보여 줄 수 있어야죠.

    손에든 성적표를 놓고 순위를 말할 수는 없는 거예요. 세계적인 기술 보유나 원천기술을 모두 수입해오면서 '우리는 행복한 선진국이 될 거야.' 라고 말하는 건 꿈속의 꿈이 아닐까요.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8 desperea..
    작성일
    17.08.27 15:28
    No. 15

    외국에서 노벨상 받았으니까 한국인도 노벨상 받아야 한다는 논리는 좀...

    찬성: 1 | 반대: 1

  • 작성자
    Lv.63 가출마녀
    작성일
    17.08.28 08:06
    No. 16

    돈이안되니까요<<<< 이말이 정답같습니다
    과학쪽은 기초과학이 발전해야 먼가를 할것인대 기초 과학쪽은 거의 불모지입니다
    문학쪽도 언어의 한계입니다 번역본 보시면 아 하실것 입니다

    일단 우리나라의 과학쪽은 돈 <<< 돈이 되는 기술 위주로 발전했기 때문에 힘듭니다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빨간몸빼
    작성일
    17.08.28 17:14
    No. 17

    자연 다큐멘터리 보면 외국의 많은 대학교수들이 침팬지에 대해서 아마존에 서식하는 특정 곤충이나 식물에 대해서 수십년을 연구하는 장면을 자주 보게 됩니다. 우리나라에 그렇게 연구할수 있는 환경이 되나요? 지금껏 돈되면서 빨리 결과물을 볼수 있는 분야에만 올인해왔고 그래서 우리가 이정도 살수 있게 됐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론 우리도 기초연구에 점점 더 투자 할테고 그러다 보면 노벨상을 받을만한 연구결과도 나오겠죠. 문학이야 언어의 벽이 워낙 높고 결정적으로 번역이 문제죠. 일본어나 중국어를 깊이있게 자국어로 번역할수 있는 유럽인은 어느정도 있지만 우리글을 그렇게 해줄 번역가는 거의 없죠. 그게 국력의 차이구요.
    지금 케이팝을 좋아하는 아주 극소수의 유럽 1~20대가 잘 성장해서 우리 문학의 깊이까지 번역할수 있는 그런 상황이 된다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meyameya
    작성일
    17.08.30 10:32
    No. 18

    이문제에 대해서는 사실 이미 해답이 나와있습니다.
    연구비가 땅파서 나오나 !! 이게 해답이죠. 연구에는 돈이 들어갑니다.
    연구에는 당연히 돈이 들어가고 지원을 받게 됩니다.
    그럼 어떤 연구에 돈이 들어가고 어떤연구는 지원을 못받을까요? ...
    우리나라는 이걸 성공가능성이 높은 연구 위주로 지원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연구성공가능성은 8-90% 이상이라고하죠.
    근데 이게 정상일까요?
    그럼 다른 선진국들 연구 성공은 몇프로 일까요?
    30%미만으로 알고 있습니다. 엄청 낮죠?
    이차이는 어디서 기인할까요? ....
    성공률이 높은 연구는 뭐고 성공률이 낮은 연구는 뭘까요?
    성공률이 높은 연구는 당연히 쉽고 당장 돈이 될만한 연구이며
    성공률이 낮은연구는 당연히 어렵고 당장 돈도 안되는 연구입니다.
    당연히 기초과학같은경우 당장 돈도 안되고 성공확률도 낮으며 또 연구비도 엄청 쳐먹습니다.
    우주개발같은경우도 그닥 돈이 안되죠. 다른행성가서 자원을 캐오는것도 아니고 또 비용도 엄청 쳐먹죠. 연구기간도 대체 언제 끝날지 알수가 없구요.
    즉 연구를 상업적인 시각으로 바라볼것인가 과학적인 시각으로 바라볼것인가
    우리나라의 연구비 지원은 대부분 실패할만한 어렵고 힘든연구에는 지원이 안되는겁니다.
    그것또한 실적이니까요. 하지만 선진국들은 그 시야가 다른겁니다.
    아니 다르다기 보다는 훨씬더 넓은 시야로 미래를 보는거지요.
    우리나라에서 노벨상이 안나오는건 사회시스템적 문제에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6064 능력이 넘치는 세상에서 일반인이 할만한직업은 뭐가 있... +20 Lv.55 아메노스 17.08.27 834
236063 그냥 소설뒤져보다 설정탓에 갑자기 궁금한게생겼네요 +6 Lv.99 쳇꿍 17.08.27 594
236062 너무 뒷북 같지만 홈페이지 리뉴얼되면서 소모임이 없어... +11 Personacon 고요왕 17.08.27 839
236061 하늘 찌르는 맥그리거, 메이웨더 허 찌르나 +24 Personacon 윈드윙 17.08.27 675
236060 분량조절 실패라는 말을 절감한 새벽입니다. +7 Lv.4 NULLsign 17.08.27 832
236059 진짜 궁금한데 질문게시판으로 글을 옮겼다고 했는데요. +7 Lv.86 상제上帝 17.08.27 628
236058 소설은 필력이 최곤 것 같아요 +15 Lv.31 사느보느 17.08.27 959
» 궁금한 게 있어요. 한국인은 왜 노벨상을 못 받는 걸까요. +18 Lv.69 고지라가 17.08.26 752
236056 4시간에 200p밖에 못 읽으면 심각한건가요?? +17 Lv.25 시우(始友) 17.08.26 828
236055 헐 핸드폰 도둑 맞았음. +5 Lv.52 사마택 17.08.26 579
236054 쇼미6 세미파이널 후기 +4 Lv.60 카힌 17.08.26 543
236053 판사가 주인공인 소설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Lv.99 2019 17.08.26 621
236052 항상 글을 올릴 때 마다 드는 생각이... +1 Lv.4 NULLsign 17.08.26 673
236051 컴퓨터가 켜지지 않아서 무슨 고장인지 +24 Personacon 水流花開 17.08.26 625
236050 어떤 소설 찾다가 연중된 인기소설 보고 느낀 점 +6 Lv.58 베르시스 17.08.26 874
236049 현대판타지류 관련 질문입니다 +6 Lv.32 n6******.. 17.08.26 686
236048 지금 무슨일이 일어나고있는건가요? +31 Lv.58 abyssfir.. 17.08.25 962
236047 초성을 써도 순위권에 들긴 하네요 +5 Lv.20 하찮은8787 17.08.25 734
236046 톡소다 텍본이 쉽게 긁혀요 ㅡㅡ; +6 Lv.19 투란데르 17.08.25 877
236045 레진은 결국 웹소설/라이트노벨 전부 폭파. +11 Lv.29 스톤부르크 17.08.25 1,922
236044 읽어주기 기능 팁 +2 Lv.83 승천하라 17.08.25 537
236043 비공개된 작품은 선작해제 어떻게 하나요??? +5 Lv.70 다라다닷 17.08.25 611
236042 허벅지 탄탄하면 덜 피로하다 (코메디닷컴) +1 Lv.5 Jeffbaek 17.08.25 594
236041 모닝 샌드위치 아이디어 조언 바랍니다 +24 Lv.60 카힌 17.08.25 570
236040 무료20~30위권 돌아다니는 재미가 나름 있습니다. +2 Lv.60 담우澹雨 17.08.25 767
236039 결재 진짜 너무 불편하네요 +6 Lv.96 윤필담 17.08.24 638
236038 기다무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르겠네요. +6 Lv.20 파란펜촉 17.08.24 846
236037 한국 장르소설이 번역되어 팔린 경우 있나요? +14 Lv.25 술그만먹여 17.08.24 1,014
236036 여러분들은 보통 언제 글을 쓰십니까?with잡설 +13 Lv.4 NULLsign 17.08.24 571
236035 레진 웹소설 쪽에 문제가 생긴 것 같군요. +8 Lv.29 스톤부르크 17.08.24 1,54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