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창대가 낭창낭창한 이유.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
21.10.16 23:15
조회
219

가끔 동양 무협지나 시범 영상들 보면 왜 창대가 낭창낭창하게 휘는 거는 실전성 보다는 화려함을 추구하고 상대를 현혹시킬려고 하는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엄청난 실전적인 이유더군요.

낭창낭창한 이유는 창날이 목에 2cm만 들어가도 총알이나 화살 처럼 회전하는 것과 비슷하게 창대가 낭창거려서 진동을 줘 막강한 살상력을 준다고 하네요.

수실이 달린 것도 전 단순히 멋이라던가, 검의 혈조처럼 창대에 피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만 있는 줄 알았는데. 창을 찌르면은 수실이 목도리도마뱀 프릴처럼 촤악 하고 퍼져서 상대의 시야를 가려버린데요.

낭창낭창한 창대는 가벼워서 찌르기가 수월한데요. 검으로 찌르기보다는 같은 힘이라도 더 빠르다네요.

그 이유가 검을 찔르려면 주먹으로 쨉을 치는 것처럼 팔을 접고 펼쳐야 하는데 창은 그런 준비 동작이 전혀 없이 쑥 밀면 되니까는 더욱 빠르고 막강한 공격력이 나오네요.

크윽.



Comment ' 7

  • 작성자
    Lv.67 kirper03..
    작성일
    21.10.17 01:23
    No. 1

    창대가 낭창낭창한 이유는 낭"창" 낭"창"이어서 그렇습니다

    찬성: 5 | 반대: 0

  • 작성자
    Lv.96 묘한인연
    작성일
    21.10.17 06:34
    No. 2

    전 탄력이 있어서 휘두르기 쉬우라고 그런줄...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일
    21.10.17 09:35
    No. 3

    창으로 후려치는 기술도 있습니다 상대 목을 노리고 치기 처럼 자른다는 개념이 아니라 목젖이나 경동맥은 노리고 창대가 휘어지니 후덜덜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41 태하(太河)
    작성일
    21.10.17 20:41
    No. 4

    무협은 작가들의 상상력이 발휘되는 영역이니 더 언급할 필요가 없겠지요. 그런데 무예로 창술을 연마하는 분들이 있다면 과연 어떤 나무로 만든 창대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조선군은 기창용으로 나무 중에서도 가장 단단한 가시나무를 창대로 사용했습니다. 기창의 특성과 관련이 있겠지만 낭창낭창하고는 거리가 먼 나무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5 고락JS
    작성일
    21.10.17 21:06
    No. 5

    몇 가지 관점이 있겠죠.

    1. 가령 대나무도 창의 재료로 활용됐는데, (말그대로 죽창) 이건 유연성보다는 소재의 접근성이 더 중요했을 거고요.

    2. 군대식 창술에서 창의 유연성을 극대화한 기술이 과연 필요했을까? 란 의문도 좀 있습니다. 그게 필요할 정도의 숙련자라면 일반 병사라고 보기는 어렵겠죠.
    즉 일반 병사를 위한 창이라면 굳이 유연성에 엄청난 플러스를 줄 필요는 없었다는 거죠.
    그거보다는 위에 죽창처럼 구입의 용이성이 더 중요한 항목이었을 거고요.

    3. 현대식 창술도 그렇지만, 전 봉술과의 연관성을 생각해보는데, 사실 그 낭창낭창한 유연성을 극대화해서 사용하는 게 중국식 봉술이거든요.
    보면 중국 창술 역시 그 봉술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어보이고요.
    그 관점에서 보자면 낭창낭창한 유연한 창술이란 개념은 군사적인 전투술의 개념보다는 일종의 무술화된 봉창술의 개념에서 더 필요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찬성: 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2 사마택
    작성일
    21.10.17 21:34
    No. 6

    오 그럴수도 있겠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7 so*****
    작성일
    21.10.18 05:03
    No. 7

    제가 생각고 있던 것을 고락님이 깔끔하게 말씀하셨네요. ㅎㅎ
    무술 경연대회 같은거 보면 유연한 봉이나 창술, 휘청휘청 휘는 칼, 유성추 같은 것들로 묘기같은 대련이나 시범들을 보여주는데 태극권이니 무슨무슨권이니 하는 맨손 무술처럼 개인 심신수양이나 퍼포먼스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엄청나게 숙련된 사람은 영화에 나오는 것과 비슷하게 사용하겠지만 과연 일전에서도 이론대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중국의 대단한 무술가라는 사람들이 격투선수에게 죄다 깨져나가고는 입만 살아서 나불거리던 영상들이 생각나네요.
    봉술이니 검술이니 해도 현실적으로는 막 휘두름이 될 것 같네요.
    바람의 검심이나 와호장룡처럼 서로 흘리고 막고 베고 화려하게 어울릴까요?
    아니면 같은 집단끼리 뭉쳐서 위아래, 좌우로 무기 휘두르면서 밀고 밀리면서 초딩들 장난감 칼싸움하듯이 할까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1251 작품차단기능이 필요하다 +7 Lv.97 트와일라잇 21.11.18 194
251250 연중도 나름 장점이 있네요. +3 Lv.21 [탈퇴계정] 21.11.18 205
251249 문피아 작가들의 댓글관리/댓글 조작?? 대체 뭔가요 +32 Lv.72 굴지 21.11.17 438
251248 탑매 보고파요 +5 Lv.52 사마택 21.11.17 167
251247 소호사무실. +5 Lv.52 사마택 21.11.17 163
251246 엄청난 작품을 찾아버렸네요… +10 Lv.46 gk******.. 21.11.16 446
251245 오늘의 당근. +2 Lv.36 연필도토리 21.11.15 119
251244 개나 소나 글 쓰는 뒤로 나오는 설정들.. +9 Lv.66 ck***** 21.11.15 311
251243 썼다 지웠다만 반복중... +2 Lv.67 아버지당 21.11.15 132
251242 재벌물중에 게임스톱 사태 모티브로 쓴거 제목 아시나요 Lv.35 이름못정함 21.11.15 92
251241 문피아 독자들이 눈높은거맞죠? +8 Lv.23 검은둔덕 21.11.14 265
251240 삼국지나 대체역사쪽 장르 추천좀 부탁드려요 +8 Lv.54 달검 21.11.14 130
251239 문피아 사람이 많이 빠졌나요? +10 Lv.52 흑염룡 21.11.14 377
251238 당근 거래 바람맞고, 현타가 왔습니다... +6 Lv.99 만리독행 21.11.13 197
251237 요즘 신작들 중에 추천작들! +2 Lv.88 하늘짱 21.11.11 308
251236 취직했습니다. +14 Lv.25 시우(始友) 21.11.11 217
251235 호갱님 뒷통수 조심하세요. +4 Personacon 水流花開 21.11.11 210
251234 진짜 요새 신박한거 없음? +7 Lv.93 아린날 21.11.11 202
251233 조금 전에 중고 헤드셋을 사 왔는데 헐렁하네요.. +6 Lv.99 만리독행 21.11.10 95
251232 소설 추천좀 해주세요 +9 Lv.39 무글 21.11.10 134
251231 연중글 빠르게 처리 못하나요..? +2 Lv.88 추운장 21.11.09 208
251230 일하랴 글쓰랴...어휴 +8 Lv.36 연필도토리 21.11.09 151
251229 다듬고 돌아오기로 약속하고 돌아왔지만 Lv.10 IKnow 21.11.08 152
251228 등교전 망설임 +2 Lv.71 장보검 21.11.08 161
251227 피자소주 와 소주귀신 Lv.94 심심타파하 21.11.07 105
251226 룰렛 짭잘 합니다 ㅎㅎ +1 Lv.55 씁쓸한 21.11.07 87
251225 불의검 +6 Lv.45 노애 21.11.07 112
251224 궁중암투물 좀 정밀한거 없을까요..ㅠㅠ +2 Lv.19 마카롱토끼 21.11.07 89
251223 천재는 고달픕니다. +13 Lv.22 pascal 21.11.07 204
251222 독자들에게 인기있는 글이란 +4 Lv.41 의향도 21.11.07 156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