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9 분석가
작성
15.03.31 01:59
조회
1,249

1 직업적인 의학전문인이 아니고 기술전문인이 아니라서

   틀린지식이 있을지 모릅니다.

    틀린지식이나 보충할지식이 있으신분 댓글환영

2  읽어본 연구논문은 1990년대 이므로

   기술의 발전이 이루어져서 약간 더 가망이 있을지도 모르나

   근본적인 물리법칙을 뛰어넘어야 하므로 그나물에 그밥일듯합니다.


인간의 뇌세포는 1000억개 그중에 사용하는 뇌세포는 10억개가량

그리고 뇌세포는 시냅스라는 뿌리같은 물체로 이어져 있으며

뇌세포는 사용할수록 발달하며 시냅스도 사용할수록 더 많은 뇌세포와

이어집니다. 그래서 뇌세포가 죽더라도 그 시냅스와 이어진

다른 뇌세포가 백업 해주기에  우리가 기억력과 기타 능력을 유지시켜 줍니다.

1 접속기구

    뇌세포는 전기신호로 가동합니다.

  그래서 전기충격기로 사람을 지지면 운영체제가 맛이가서

  30분정도 제정신도 아니고 몸을 가누기 힘든 이유입니다.

1-1  문제는 뇌세포의 전기신호가 아주 미약하다는게 문제입니다.

가상현실기로 뇌세포를 속이려면 미량의 전기신호로 유사반응을 이끌어야 하는데

머리카락 두피 두개골을 뚫을만한 전기면 이미 유사 전기충격기가 돼버립니다.

가상현실 보려다가 “찌지직 으악 주금”.

1-2 이것을 해결한다고 치더라도 뇌 외피는 어떻게 반응을 이끌어낸다고 치더라도

    뇌속 깊숙이 존재하는 세포는 방법이 없습니다.

    이것도 뇌속의 뇌세포를 이끌어내려면 외피 세포가 죽는수가 있습니다.

1-3 뇌세포 반응이 사람마다 틀리는게 문제

    앞서 설명했지만 시냅스 이어지는게 사람마다 똑같은게 아닙니다.

    “사과” 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어떤사람은 200개의 뇌세포가 활성화 될수 있지만

      어떤사람은 400개가 활성할수도 있고 사과냄새 사과맛  구타?등 다른 요소와

      연결될수 있습니다

      앞서 200개  400개 뇌세포도 각각 다른 부위에서 반응할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경우의 수” 를 생각하면 불가능으로 나갑니다.

    그런데 이것은 “단어”거든요? “생각”과“감각”이라는것을 추가하면.

     수학자가 그럴것 같습니다 “씨발 막나가자는 거지?” 

1-4 더욱더 엿같은것은 디지털이 아니라 아날로그 라는것 입니다.

     똑같은 전류에 반응하는게 아니고  0.00001ma 차이 이상으로 갈라지면

      엔지니어가 그럴것같습니다 “씨발 막나가자는 거지?”

2 안정성

1번을 해결수도 없지만 한다고 치고  대망의 FDA 발 안정성이 문제가 됩니다.

뇌는 생각만이 아니고 신체대사 조율도 관여하거든요.

가상현실겜에서 몹을 열심히 썰다가 심장마비로 죽는다던가

갑자기 환각을 본다던가  손발의 감각이 없다던가 등

개인개인마다 유전적 환경적 형질이 틀리므로 언제 폭탄이 터질지 모릅니다.

이것을 생존기구도 아니고 취미기구로 뇌를 전자기기에 덜컥 맡기기에는

치명적입니다.

  

 3 운영체제

   아.날.로.그.에 대략 개인당 10억~1000억개의 뇌세포

   수많은 시냅스 그리고 개개인마다 다 틀리다.

   이것을 수십억 인류를 가상현실에서 네트웍한다.

    블랙홀 컴퓨터도 불가능합니다.

   아니 일단 신호체계가 아날로그면 기존의 기술을 싹 갈아엎어야 합니다.  

    


이러한 천지창조의 업적을 가진 가상현실기를

게임이나 만들어서 몹이나 썰고 있으니. 


ps- 현재 만들어진 가상현실기는  뇌가 아니라 감각을 속이는 것입니다.

 머리에다가 헬멧쓰고 바닥 에다가는 런닝머신 비슷한것에

장갑으로 촉감 비슷한것을 느끼게 하는 조악한 기구입니다.

논격 뇌탐험 기구는 시도조차도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기구는 후각은 거의 불가능한게 문제        


Comment ' 5

  • 작성자
    Lv.15 아라나린
    작성일
    15.03.31 02:12
    No. 1

    재밌는 발표(?)네요. 확실히 아직까지 어떤 식으로 뇌가 활동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연구결과는 없습니다. 그저 뇌의 어떤 부분이 이런 걸 할 것이다라는 정도만 알 뿐, 세세하게 뉴런들이 어떤 식으로 활동하는지는 잘 모르죠.
    일단 게임 소설에 나오는 그런게 가능하게 된다면 신체가 마비 된 사람들을 치료할 수 있겠네요. 치매도 예방내지 치료가 가능하겠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 분석가
    작성일
    15.03.31 02:23
    No. 2

    발표가 아니고 뇌세포에 대한 논문을 보고 제가 아는 지식으로 풀어낸 것입니다.
    가상현실을 만들기에는 지금 기술로 불가능 한것도 한것이지만
    법칙을 뛰어넘어야 하는데 "미래" 면 모든게 해결된다고 보는 사람이 많아서
    이런 글을 쓰게 됐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0 테사
    작성일
    15.03.31 02:20
    No. 3

    장님이 환자를 대상으로, 눈 뒤쪽 시신경에 칩을 넣어서 치료하는 연구에 관한 TV프로를 본 적이 있습니다. 10년 이상, 장님으로 살아온 분인데, 놀랍게도 칩을 인식한 후 형태를 볼 수 있게 되었더군요. 신경에 대한 연구가 실험 단계에서는 일반인의 상식 이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가상현실이 실제로 게임으로 뛰어들어가는 건 아니지만, 헤드셋이나, 눈의 착시나 인지를 이용한 상태 변화 정도로는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감을 현실과 같이 구현하는 건 어렵겠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1 정주(丁柱)
    작성일
    15.03.31 09:55
    No. 4

    공상 과학.
    과학과 연관이 있으나, 상상력의 산물이죠.
    상상이 죄는 아니니까요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 쿠데타1
    작성일
    15.03.31 14:23
    No. 5

    과학은 사람들의 호기심에 의해 발달을 합니다. 새처럼 날고자 하는 오래된 욕망과 호기심이 비행기를 만들었듯이 말이죠. 가상현실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야기 되어 왔고 많은 사람들이 관련분야를 연구하고 있으므로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봅니다. 뇌이식과 같은 분야도 동물실험에서 몇십년전에 이미 약간의 성과를 본적이 있는데 과연 불가능할지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0891 공상과학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9 Lv.68 장과장02 15.03.31 871
220890 게임소설의 가상현실이 현실에서 가능한 기술인 이유 +16 Lv.68 장과장02 15.03.31 1,293
220889 가상현실은 이미 목전까지 다가와있다. - 깁니다. +14 Lv.45 매일글쓰기 15.03.31 969
220888 마법진VS프로세서 회로도 . +8 Lv.9 분석가 15.03.31 981
220887 작품을 보고 맨밑에 작가 이름 옆에.... Lv.99 주차장알바 15.03.31 872
» 게임소설의 가상현실이 현실에서 불가능한 기술인 이유 +5 Lv.9 분석가 15.03.31 1,250
220885 3일치 예약을 했으니. +1 Lv.67 임창규 15.03.31 923
220884 장르짱르 +5 Lv.52 사마택 15.03.31 956
220883 벚꽃이 피기 시작하네요... +2 Lv.32 뒹굴보노 15.03.31 1,062
220882 참 힘든 세상살이 +9 Personacon 엔띠 15.03.30 1,309
220881 조립식 스마트폰??? +10 Personacon 유은선 15.03.30 799
220880 예원 Vs 이태임. +7 Lv.45 매일글쓰기 15.03.30 1,074
220879 여러분들도 판타지 읽는데서 설렘이 없어지셨나요? +21 Lv.1 [탈퇴계정] 15.03.30 1,214
220878 정담지기분들은 이런거 어떠세요? +11 Lv.67 사랑해달곰 15.03.30 899
220877 연재한담에 '무료연재 글과 공모전 연재 글 분리 요청'에... Lv.15 신승욱 15.03.30 979
220876 토론의 기본은 사용 언어의 정의 : 장르문학 이야기 +14 Lv.29 스톤부르크 15.03.30 1,412
220875 결국에 이 마당은 다 모방인가? +10 Lv.17 아옳옳옳옳 15.03.30 1,411
220874 부산에 거주하시는분들! +4 Lv.1 [탈퇴계정] 15.03.30 911
220873 아래 마우스가 나와서.... +2 Lv.55 씁쓸한 15.03.30 1,065
220872 릴리M이 탈락해야 했던 이유 +15 Lv.60 카힌 15.03.30 1,196
220871 오랜만에 미학 공부를 해보고 싶네요. +5 Lv.14 기묘n쏭 15.03.30 969
220870 천명관 고래에 대한 감상 +11 Lv.11 환승플랫폼 15.03.30 1,188
220869 붕당정치 시리즈 2 +14 Lv.45 매일글쓰기 15.03.30 1,291
220868 마우스 +5 Lv.67 신기淚 15.03.30 808
220867 주말 스팀 할인 당한(?) 내역 3 +5 Lv.43 패스트 15.03.30 1,184
220866 판타지 소설을 읽는 것-달빛천사 노래를 들으며- +3 Lv.36 아칵 15.03.30 1,117
220865 책의 가치란 뭘까요. +12 Lv.78 대추토마토 15.03.30 971
220864 흠 찍신이벤트결과를 인제봤는데 +1 Lv.71 붉은줄표범 15.03.30 1,044
220863 이번주 주말은... +1 Personacon 엔띠 15.03.30 1,064
220862 KIA·넥센 공통된 고민…‘히든카드’ 윤석민 효과 +2 Personacon 윈드윙 15.03.30 1,171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