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
17.09.13 00:49
조회
611

그, 현대판타지 헌터물에서 꼭 뭘 얻어서 돈을 벌어야한다는 구도만 놓고 생각하는게 너무 1차원적인 것 같아요.


상식적....이라는 말이 맞는지는 모르겠는데, 아무튼 제 상식선에선 초창기 헌터물에서, 그러니까 저 옆동네 나귀족이라던가 하는게 시작되던 그때 쯤의 헌터물을 볼 때에는 사람들이 그다지 돈을 얼마나 벌고 어떻게 벌고 무슨 가치가 부여되고 하는것에는 관심이 없었어요.


그러니까 그냥 주인공이 킹왕짱 다 해먹고 거기다가 현대물이니까 재벌도 패고 공권력도 패고 국가단위로 또 패고 하려면 돈 많은게 좋고 그러니까 몹을 잡으면 돈이 나옵니다 했다가 이게 돈 될게 뭐 있나 했더니 뉴스만 틀면 신 에너지가 어쩌고, 차세대 동력이 어쩌고 하니까 그냥 적당히 가져다 쓴게 아닌가.


그런데 이제 와서 헌터물이 범람하고있는 현실을 두고 소설들을 보면, 이건 거의 전부가 어떤 개념인지 기초적인 설정조차 없이 그냥 으레 ‘몬스터를 잡으면 스톤이 나와. 이게 돈이 돼.’ 라는것만 차용해서 써먹고 경제적인 개념 자체를 비운채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결국 돈은 한줄의 글자에 불과하고, 이에관해 떠드는 독자는 ‘작가의 설정’따위에 태클이나 거는 악성독자가 되고, 뭐 그런 것 같네요.


아, 얼마를 벌던 별 관심도 없는데 돈 돈 돈 돈 하면서 글을 늘려쓰기도 적당히 괜찮은 것 같구요.



사실 인세에 갑자기 등장한 괴물씨를 때려잡는데 굳이 거기서 뭐가 나와서 거래를 해서 부자가 된다는게 상식적이진 않은 것 같습니다.


판타지에서 상식찾는것도 웃기긴 한데, 그래도 납득이....


희소가치가 있을 때 일확천금이 가능 한 것이고, 차라리 괴물씨를 때려잡고 그 증거물로 국가에서 보상을 받아먹겠습니다 하는게 훨씬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가는 국민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존재하니까요.



어차피 헌터님들이 괴물들을 때려잡고 나온걸로 거래를 합시다! 해도 온갖 소설들처럼 수백 수천 수만마리를 후드려잡고 거기서 수만, 수십만, 수백만원 이상의 가치를 하는것들이 막 뿜어져 나오는데 그 범위가 지구 전체라면.


기존의 경제가치로 이걸 지탱할 수 없잖아요오...


톡 까놓고 그냥 관공서에 수렵허가 내고 총들고 산에가서 돼지나 잡는게 돈 더벌겠다. 안전하고 ;ㅅ;...



왜 반드시 괴물을 잡아서 무언가를 얻어야만 한다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힌것일까요.


그냥 요즘 보면 어차피 모든 이야기를 관통하는 개념은 ‘괴물을 잡아야 성장한다’인데, 이것만으로도 사냥의 이유는 존재하고, 부의 원천은 다른곳에서 찾는것이...



뭐 불가촉천민계급이 재벌때려잡는 이야기까지 같이 넣자니, 소위 있는놈들이 뿌려주는 돈으로는 감당이 안되어서 ‘던전’이라는 곳에는 늘 도라에몽주머니 같은게 있어서 비싼게 뿜뿜합니다. 하는 것 같...


차라리 몹잡아서 돌멩이 나온거 먹으면 세져! 응응 근데 그거 똑같은거 많이먹으면 효과 구림! 그니까 적당히 먹고 팔아! 이런게 더 설득력 있지 않나...싶고 ;ㅅ;



그러니까 결과적으로 그러려니 하고 보다가 눈에 거슬리면 ‘결국 장르 퀄리티는 이정도지 뭐...’ 하게 되고...



사실 근데 엄청 열심히 잘 각잡고 써도 일주일이면 신작에서 그 개념 고대로 갖다쓰니까 내가 글을써도 별로 신경쓰고 싶진 않을 것 같네요.




주절거리긴 했는데 이 글은 의식의 흐름순서대로 쓴 글이고 퇴고하지 않았으니 적당히 걸러들어주세요 ;ㅅ;.....


하암.. 그냥 그렇다구요...




Comment ' 6

  • 작성자
    Lv.88 barbaria..
    작성일
    17.09.13 01:08
    No. 1

    그러고 보면 몬스터 사냥을 사냥으로, 다시말해 수렵행위로 보는 작품은 거의 없는거 같아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적안왕
    작성일
    17.09.13 01:15
    No. 2

    그런 의미에서 에르나크가 좋습니다.
    겜판이긴 하지만요 @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7.09.13 01:38
    No. 3

    저는 몇가지 달리보는데요.

    첫째. 흥부가 박을 타서 금은보화가 쏟아져 나왔는데,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서 나라가 망하더라. 이런건 보고 싶지 않기 때문이겠죠. 그래서 인플레이션쪽은 눈감는게 아닐가 합니다. 로망이 아니니까요.

    둘째. 현대국가라서 부자가 아니면 애매한 측면이 있습니다. 군인으로 그리면 그건 군대와 몬스터의 전쟁기가 되고, 군인 이야기가 되죠. 자율성을 그려서 개성을 답기엔 충분치 않습니다. 군대는 통제니까요.

    무슨 정부요원으로 그리면, 전투력고강의 고수가 고작 정부요원이나 하고 있나. 라며 능력이 없는 것 처럼 비춰집니다. 마교교주나 무림맹주가 7급공무원이라면 위화감이 있겠죠. 그렇다고 정부관리로 그리자니 장관이 파이어볼 날리는 것도 이상하고요.


    무언가 강해짐으로써 얻는 댓가는 있어야 하겠는데, 무협처럼 고수되면 먹고살길이 열리는 것도 아니었으니까. 찾다가 돈이 연결되었고, 강해질 수록 돈을 벌어들임으로써 성공하고 있다는 느낌을 살리고자 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뭐. 그것도 설정 짠 사람들이야기고, 요즘은 설정 빌린사람들이 많으니까요. 글 작성자님이 왜 그런말 하는 지는 이해가 갑니다.

    찬성: 2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7.09.13 01:52
    No. 4

    엄...그러니까 그게 설정나름이긴 한데, 일단 보편적인 설정이 그 괴물들은 민간에 위협이 된다거나, 아니면 위협적이지 않은데 돈이 된다는 설정이잖아요?

    민간에 위협이 되면 그 퇴치 자체만으로 국가를 대상으로 보상금을 받아내는게 더 꿀잼 아니, 합당할 것 같고, 그냥 계속 후드려패서 잡는 사냥감이라고 본다면 난이도가 너무 높은게 말이 안되는거라 ;ㅅ;... 그냥 설정만 가져오고 생각은 안해봤다는 생각을 지울수가 없네요.

    굳이 군인이 아니어도 되고, 사실 한국이 그렇게 통제된 사회도 아니구요.


    사실 오늘 저녁에 불면증이 도져서 -_- 이런저런 생각중이긴 한데, 그래도 짧은 시간에도 경제적 설정 두어개는 술술 나오는지라, 제가 이쪽에 뭐 크게 대단하게 박식한것도 아닌걸 감안하면 아무래도 준비부족이 아닌가...하고.



    예전엔 사실 흥부가 박을 탔는데 금은보화가 뙇! 근데 이걸 살 사람이 없어서 굶어죽었어요 하는 이야기는 관심이 없긴 했지만, 요즘은 이게 더 먹히지 않을까 싶기도 하구요.

    사실 맨날 천날 박만 톱으로 키면 그게 무슨재미인가... 해서 사람들이 야 거 박에서 맨날 돈나오는거 안이상하냐 하는걸로 보이기도 해서 ;ㅅ;..


    후발주자가 선발대의 검증된 무엇을 공짜로 막갖다쓰는 와중이라면 이런 소소한 것들에서라도 신경을 좀 쓰면 평가도 더 좋고 뭐 인기도 더 끌고 그러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사실 기승전 필력이긴 합니다만

    좀 더 완성도. 그러니까 그냥 누가 봐도 이건 좀 잘 썼다 싶은 글들이 더 많아지길 바라기도 하구요.


    뭐 지금도 나쁜건 아니지만요 ;ㅅ; 이번주에 또 세개나 선작을 추가하기도 했고.

    그냥 잡담이죠 뭐...핳

    찬성: 2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7.09.13 02:17
    No. 5

    저도 초기 설정에는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고 여길 뿐. 님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게 아닙니다. 님의 지적은 전체적으로 옳아요. 저도 흥부가 맨날 박타서 금은보화 쏟아지는 이야기는 어지간히 좀 나왔으면 좋겠어요. 심지어는 톱을 부러뜨리고 싶을 때도 간간히 있고요.

    그래도 작가입장을 따져보자면 성공보장을 1%라도 잡고 싶은게 작가니까 쏟아져나오는 건 어쩔 수 없겠죠. 앞으로도 뭐가 유행이다 하면 또 쏟아져 나올테고요.

    그래서 저는 그런 작가들은 안타까워요. 성공률만보고 그 많은 경쟁작을, 그것도 비슷한 설정과 소재로 물리쳐야 되는건 그다지 생각안하니까요.그렇다고 '도전해라! 작가들이여!' 이럴수도 없고요.

    이래저래 한숨나오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7.09.13 02:56
    No. 6

    휴.

    잘 쓴 글은 많아지는데, 좀 더 잘 쓰길 바랄 뿐....

    뭐, 나아지겠졉!

    안나아져도 볼거지만 =ㅅ=

    찬성: 2 | 반대: 1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6288 스티븐 킹 천재 맞네. +4 Lv.52 사마택 17.09.19 886
236287 소설을 찾습니다 +2 Lv.70 검은방 17.09.19 500
236286 판소 제목을 찾습니다. 주인공 프레이 +2 Lv.8 kk**** 17.09.19 622
236285 어제겪은 무서운 이야기 +13 Personacon 피리휘리 17.09.19 773
236284 3회 공모전 대체 어떻게 결론났나요? +3 Lv.72 풍지박살 17.09.19 926
236283 공인인증 하소연 +7 Lv.60 카힌 17.09.19 567
236282 삼겹살 먹을때 꼭 상추와 마늘 야채 많이 드세요 (from k... +3 Lv.5 Jeffbaek 17.09.19 722
236281 본인이 댓글을 단 작품의 회차를 알 수 있었으면 하네요. +4 Personacon 플라나니아 17.09.19 627
236280 소설에 나오는 '흑막'이나 '음모' 같은 것들은 솔직히 너... +4 Lv.96 강림주의 17.09.18 856
236279 트랜드에 뭍혀 사라진 전개방식 +4 Lv.60 카힌 17.09.18 850
236278 뉴비입니다. 일반연재? 자유연재? 차이가 뭐에요? +3 Lv.39 제이르르 17.09.18 728
236277 삼성과 카카오가 손을 잡는다니? +5 Lv.60 카힌 17.09.18 894
236276 저밑에 컴터 추천해달란글을보니... +15 Lv.99 달의아이룬 17.09.18 611
236275 아랫 글이 웃겨서 글 씁니다 +10 Lv.30 일잠일잠 17.09.18 880
236274 호구의 기준, 제대로 알고 말하자. +18 Lv.52 과몰입주의 17.09.18 1,052
236273 컴퓨터 추천좀 해주세요 ! +17 Lv.64 Engel124.. 17.09.17 663
236272 레벨 올리기. +11 Lv.51 이나이™ 17.09.17 659
236271 지가 메이웨더도 아니고 칠회부터 뒷걸음질만 치던놈이랑 +4 Personacon 피리휘리 17.09.17 762
236270 요즘 왜 그럴까요... +11 Lv.70 innovati.. 17.09.17 916
236269 소설 제목을 찾습니다 +2 Lv.68 비구름 17.09.17 605
236268 소설제목찾습니다.골드선물.. +2 Lv.79 카나코 17.09.16 640
236267 요즘 무력이나 능력 인플레이션이 너무 심해서.. +6 Lv.24 약관준수 17.09.16 803
236266 깨 싸게 팔았습니다. 매집상이 오더군요. +3 Lv.24 약관준수 17.09.16 704
236265 '강페니' 강병현의 농구 2막, 하더웨이와 다를까? +4 Personacon 윈드윙 17.09.16 522
236264 연중 이유라... +5 Lv.35 초아재 17.09.16 848
236263 문피아를 이용한 홍보문구를 본 소회 +12 Personacon 二月 17.09.16 812
236262 아무래도 전업작가는 할 만한 게 아니다. +9 Lv.52 과몰입주의 17.09.16 1,267
236261 책제목아시는분 부탁드립니다 +2 Lv.52 [탈퇴계정] 17.09.16 523
236260 나도 늙었어. +6 Lv.52 사마택 17.09.16 574
236259 예전에 본건데, 제목이 기억 안나네요. 아시는 분 있을까요? +2 Lv.81 페트렐 17.09.16 547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