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문화계 임펙트, 과거와 오늘날

작성자
Lv.60 카힌
작성
16.11.10 12:05
조회
1,315

과거를 미화 하는 경우가 많지요. 특히 일부 연예인들이 그렇죠.


그러나 자타가 인정하는 90년대 진짜배기는 그 잘나갔다는 스타들이 자신의 입으로 말하는 그 이상은 제가 보기엔 단 세명뿐이었습니다.

검건모, 신승훈, 서태지죠.


근접한 가수들이 없는건 아니지만 암팩트가 확연이 달랐죠.

단지 음반판매량이 압도적이어서가 아닙니다. 300만 짜리 영화 10편보다 천만짜리 영화 한편이 훨씬 기억에 오래 남고 많이 회자되며, 그 영화에 이슈가 될 내용이 많다고 하면 비유가 될 지 모르겠습니다.(요즘 빅데이터로 화제성 조사를 하는 것처럼)


물론 이것은 오늘날과 일대일로 비교하긴 어렵습니다. 로컬 위주니까요. 그러나 세월따라 변해가는 환경을 감안해야죠. 그 이전으로 돌아가면 산울림이 그랬고, 다시 그 전으로 가면 이미자가 그랬습니다. 문화가 융성했던 시절 이전임에도 백만장을 팔았다는 산울림이 아니겠습니까. 센세이션을 일으키기도 했고요.


한때 이 세사람에 대해 치켜세워주는 MC들의 발언이나 영상소개들은 그 인기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합니다. 세월이 흘렀고 직접 겪는것과는 차이가 많죠. 게다가 90년대는 여러 장르에서 가수들이 쏟아져 나와 그 숫자가 크게 늘어나던 시절이기도 합니다.


김건모, 신승훈, 서태지는 한편으로 끝나고 마는 천만 영화가 아니라 한 시대를 재패했다고 해도 크게 과언은 아니었죠. 과거에 잘나갔다고 말하는 연예인들이 300만짜리를 자랑하고 다니지만 뭐 그럴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천만짜리 김건모 신승훈 서태지는 진짜 인기에 비해 비교적 젊잖은 편에 속합니다.


가끔 예능에 나와 자신의 과거를 좀 과하게 미화 하는 연예인들 보면 속으로는 좀 웃기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비교적 최근으로는 원더걸스의 텔미 춤 열풍이 비교적 그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다른 점은 음악이라는게 한 장르만 있는것은 아니어서 여러 스타일이 공존한다고 보았을 때 지금으로 치면 댄스음악을 완전히 재패했다는 점에서는 다릅니다.  서태지는 재패했죠. 재패한후 시사프로그램에서 수도 없이 분석하고 메인뉴스에서 늘 그를 다루었습니다.

단순히 음반판매량 얼마로 표현할 수 없는 음악계를 뒤흔든 장본인입니다.


오늘자 김건모에 대한 기사를 보고, 조금 왜곡해서 말하는 분들이 보여 생각난 김에 이글을 써봅니다. 동네 곳곳에 있는 음반가게마다 줄을 서서 기다려 샀던 그 김건모가 참..어쩌다가 당시 다른 인기가수에 비해 오히려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하게 되었는지...참..


* 참, 빼먹을 뻔 했네요. 80년대 말에는 이선희가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테이프가 닳도록 들은 이문세와 변진섭이 있긴 하지만 이선희에 빗대기는 좀 그렇습니다. 요즘은 이 비교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제가 방어적으로 말하는지 모르겠습니다만...암튼 김완선 소방차등의 인기가 대단해도...이선희에 비교하긴 쪼금 그런것과 비슷한 맥락입니다. 이선희는 2천만짜리 영화라고 할 수 있죠. 소방차는 오백만쯤 되고.

 


Comment ' 5

  • 작성자
    Lv.45 이블라인
    작성일
    16.11.10 12:16
    No. 1

    과거는 미화되기 마련이지만 언급하신 가수들, 특히 개인적으로도 팬인 김건모씨는 평가절하 될 이유도 근거도 전혀 없는 최고의 가수중 하나인데..일부의 평가는 거기에 미치지 못하는 모양이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이통천
    작성일
    16.11.10 13:21
    No. 2

    웃기다를 우습다. 가볍다.와 동일시하는 사회인식도 영향이 있는듯. 임창정도 상당히 저평가된 스타라고 생각하는 1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Rainin
    작성일
    16.11.10 21:55
    No. 3

    이 글도 신고되어 있군요? 어이없네요 이 정도면.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5 담적산
    작성일
    16.11.11 05:57
    No. 4

    솔직히 신승훈은 초대박 히트 이외에는 의미를 두긴 좀 그렇죠.
    하지만 김건모와 서태지는 우리나라 가요계의 나가는 흐름을 바꾼 사람들이라고 평해도 될듯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CS보니
    작성일
    16.11.11 10:02
    No. 5

    작은 거인 김건모는 가요계를 재패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김건모 공책 쌓아뒀던 시절이 생각나네요. ^^

    찬성: 1 | 반대: 1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2988 별것아니라면 아닌데..뭔가 배신감이 느껴지네요. +21 Lv.80 나선의미 16.11.12 1,480
232987 이번주 아내가 바람을 핍니다... 를 보고 +7 Lv.99 골드버그 16.11.12 1,218
232986 VJ특공대 비둘기 사육 와.... +6 Lv.7 잉여킹 16.11.11 1,228
232985 이게 정말 사람이 낼 수 있는 소리일까? +9 Lv.60 카힌 16.11.11 1,063
232984 환생물, 차원 이동물 중에 2화 이내에 걸러야 하는 유형 +9 Lv.99 相信我 16.11.11 1,233
232983 와 진짜.. +16 Lv.64 Engel124.. 16.11.11 1,023
232982 못 그림 주의. 왜 먹지를 못 하니. +8 Personacon 르웨느 16.11.11 1,096
232981 (분노주의)대한민국 최초, 좀비를 소재로 한 새로운 장르... +7 Lv.85 odog 16.11.11 1,236
232980 여동생 2 +9 Lv.61 드림보트 16.11.10 1,108
232979 여동생. +14 Personacon 르웨느 16.11.10 1,222
232978 소설 찾아주새요!! +2 Lv.70 innovati.. 16.11.10 1,126
232977 금일자 슈퍼스타K 추천합니다. +5 Lv.60 카힌 16.11.10 1,094
232976 맥스FC 퀸즈리그 ‘동서양 여인천하’ 스토리도 풍성 +2 Personacon 윈드윙 16.11.10 1,200
232975 가끔씩 저는 천사와 악마에 대해서 이런 생각을 자주 합... +7 Lv.12 12시호박 16.11.10 1,095
232974 와... +8 Lv.55 짱구반바지 16.11.10 1,078
232973 저도 이제 슬슬... +2 Lv.18 글도둑 16.11.10 1,053
232972 드디어 공인인증서 입력이 사라졌네요 +4 Personacon 플라워 16.11.10 1,231
232971 요즘 글쓸 때마다 심란하네요 +13 Personacon [탈퇴계정] 16.11.10 1,289
» 문화계 임펙트, 과거와 오늘날 +5 Lv.60 카힌 16.11.10 1,316
232969 UFC 존존스·K1 슐트 절대 강자로 키운 '절대 거리' +6 Personacon 윈드윙 16.11.10 1,100
232968 역지사지, 우리의 연애가 안 되는 이유 +8 Personacon 윈드윙 16.11.10 1,364
232967 재미있는 소설 추천해주실분 없나요 +23 Lv.19 골드메달 16.11.09 1,780
232966 트럼프 승리로 우리나라에서 벌어질 일들을 예상해봅니다. +12 Lv.24 약관준수 16.11.09 1,386
232965 트럼프가 등장하는 소설 아이디어를 생각해본 적이 +2 Lv.85 고락JS 16.11.09 1,014
232964 헝거게임은 책이 훨씬 나은가요? +8 Personacon NaNunDa 16.11.09 1,158
232963 정치인이 뜨는 법 +1 Lv.38 강태양 16.11.09 931
232962 신발 어디서 사시나요? +10 Lv.24 약관준수 16.11.09 1,106
232961 현직대통령이 전임 대통령의 정책을 바로 폐쇄 할 수 있... +9 Lv.38 린쿠 16.11.09 1,181
232960 기상청 일기도를 통해 날씨 보는 법 +4 Lv.38 강태양 16.11.09 1,095
232959 조금 섭섭하네요. +9 Lv.99 은색빗방울 16.11.09 1,086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