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39 매봉옥
작성
03.11.06 20:22
조회
555

---------------------------------------   서프라이즈 펌

이름: 정보

2003/10/31(금) 23:36 (MSIE6.0,WindowsNT5.1,Q312461) 165.194.27.52 1600x1200

조회: 1221

점수: 203

일본전자업계 사상최대 흑자 -- but 삼성전자의 1/10 ?  

일본 전자메이저 사상 최대 흑자

일본 9대 주요 전자업체들의 상반기 결산결과 총 266억엔의 순익을 기록, 사상최대의 흑자폭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최근 잇따라 발표된 일본 9대 전자업체들의 상반기(4월∼9월) 실적 집계결과 마쓰시타전기 등 4개사가 전년에 비해 이익 폭을 확대했고 소니, 히타치,미쯔비시전기 등 3개사는 비록 이익이 줄었으나 2년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특히 이들 9개사들의 순이익 합산이 266억엔으로 나타나 1년 전 총 229억엔의 손실을 보인 것과 비교할 때 뚜렷한 성장세로 전환하고 있다는 분석을 낳았다.

올 상반기에 이익을 기록한 기업은 성공적인 구조조정을 마친 마쓰시타전기를 필두로 NEC, 샤프, 산요전기, 소니, 히타치 제작소, 미쯔비시 전기 등 총 7개 기업이다.

이 가운데 마쓰시타, NEC, 샤프, 산요전기 등은 전년 동기의 이익을 크게 상회했다. LCD TV,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등 디지털 가전기기의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이 이들 기업의 이익폭을 늘린 것으로 풀이된다.

마쓰시타의 나카무라 구니오 사장과 샤프의 마치다 가쓰히코 사장은 자사의 LCD TV 판매율이 크게 신장했다고 밝혔다.

마쓰시타와 산요전기의 경우 이같은 실적 호전이 지속될 경우 2003회계년도 최종 결산시 흑자로의 반전이 확실시 되고 있다.

전년 동기 대비 이익률이 크게 하락한 소니는 지난 29일 인력조정, 디지털 가전사업의 강화 등을 골자로한 구조조정안을 내놨고, 히타치 역시 30일 일렉트로닉스 부문에 역점을 두고 사업 구조를 재편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상반기 1474억엔의 적자를 기록한 후지쓰는 이번 회계 연도에 적자 폭을 줄이기는 했지만 역시 585억 엔의 적자를 보였다. 도시바도 손실을 기록했다. 미쯔비시는 120억엔의 흑자를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세 회사를 포함해 8개사 모두가 1분기(4∼6월)보다 2분기(7∼9월)의 실적이 호전되고 있어 전자업종의 경기는 확실히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업계는 진단했다.

이들 9개사의 매출 총액은 전년 동기보다 2.1% 늘어난 23조7400만엔이었다.

<명승욱기자 [email protected]>

-0-0-0-0-0-0-0-0-

소니나 마쓰시타 등 일본 전자업체 서열 1위부터 9위까지 몽땅 합쳐서, 그것도 사상최대라는 순익이 우리 돈으로 2천억대? 올 상반기(우리 나란 1-6월을 상반기로 침) 삼성그룹도 아니고 삼성전자 하나의 순익만 2조 원을 훌쩍 넘겼죠. 아니 삼성은 따질 것도 없이 LG전자 순익규모보다 적네. --.--; 황당.

흠... 역사엔 가정이 없다지만, 만약 우리 겨레가 2차 대전 후 남북으로 분단되지 않고 내전도 안 일어나, 또 그래서 지금쯤 인구 8~9천만의 시장규모에다, 한참 일하고 공부할 나이의 젊은이들 5년에서 3년씩 군대에서 복무하지 않았고, 또 그동안 무자비하게 쏟아부었던 국방비를 R&D에다 썼고, 경제에만 매진했다면...? 지금쯤 일본 경제 규모를 능가했거나 비슷한 수준이 아니었을까요? 쩝... 어쨌든 이런 공상은 죽은 자식 불알 만지기에 불과하겠지만, 지금이라도 남쪽이 북쪽이나 서로 정신 차리고 어서 통일을 해야 할 텐데요.

--------------------------------------------------------------------------------

영성: 공감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11/01-00:14]-

--------------------------------------------------------------------------------

아구:  266억엔 *109 =?  (28994 억원) -> 2조 8994 억원  -[11/01-00:22]-

--------------------------------------------------------------------------------

정보: 아구 / 엔/원화 환율은 1/10 비율이 맞습니다. 착각하신 것 같은데 원환율은 1달러에 1,100원이고, 엔환율은 1달러에 109엔이니까.  -[11/01-00:26]-

--------------------------------------------------------------------------------

만약: 위 기사대로 266억엔이고 2660억엔이 아니라면 정보님 말대로 원/엔 환율비율이 1/10이 맞으니까 2천억대가 맞는것같네요. 그런데 저는 2번 놀라네요. 우선 정보님 말대로 일본의 기라성같은 전자업계의 순익이 삼성전자 한개기업의 순익만도 못하다는 것과 둘째는 일본의 경제규모가 우리나라보다 대략 10배 규모라고 알고있는데 일본기업의 이익은 상대적으로 터무니없다는 것입니다  -[11/01-00:34]-

--------------------------------------------------------------------------------

정보: 사실 좀 황당하건 마찬가지지만, 첫째 삼성도 몇 년 전만 해도 그랬습니다. (그래서 지금도 몇 년 전에 외국 나갔다 온 사람들은 지금도 삼성이 2류고 소니가 1류라고 박박 우기고 있죠. 교포들이 지금은 그 반대라고 얘기해 줘도.) 삼성의 순익 규모는 미국 최대 기업들인 IBM이나 인텔에 필적합니다. 그래서 삼성이 다음번 상대로 찍은 게 일본 기업들 따위가 아니라 미국의 IBM이죠. 현재 한참 발전한다는 중국에서도 가장 잘 나가간다는 기업들 순익도 엄청날 것 같지만 우리 돈으로 몇십억이면 대박입니다. 다만 경제규모에 보다 밀접한 건 순익보단 매출 총액 쪽이죠. 그러나 매출로도 삼성 LG 같은 기업 10개 정도만 있으면 현재의 턱걸이 선진국에서 가장 부유한 선진국이 되고도 남죠.  -[11/01-00:52]-

--------------------------------------------------------------------------------

1등목표: 어느꼴통 기자놈이,,,,266억엔을 사상최대라고 하지 ??????,

     최근 몇년동안 최고라면 몰라도,,

     하여튼 우리나라 기자놈과 신문은 대가리에 든게 없어서..............  -[11/01-01:03]-

--------------------------------------------------------------------------------

만약: 언젠가,어디선가 그런말을 들을 기억이 있네요. 한 국가가 경제적으로 발전하기위해서는 우선 인구가 1억정도는 되어야 한다고요. 그래야 규모의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가 된다고요. 가령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같은 나라는 인구가 1억이 넘거나 그에 육박하는 나라들이며 러시아 중국 인도 브라질같은 나라는 지금 국민소득은 낮지만 1억이 넘는 인구로 인해 점차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나라라고 하더군요. 그말이 어느정도는 맞는 것 같습니다. 스위스나 핀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스웨덴 기타등등 이런 나라는 비록 국민소득은 월등히 높지만 경제규모가 큰 나라는 아니지요. 더불어 이들 나라들을 살기좋은 나라라고는 해도 강대국이라고는 인정하지 않쟎아요? 그런점에서는 대만도 마찬가지고요. 예전에 누가 말하기를 대만이 비록 중소기업은 많이 발달했지만 우리나라처럼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삼성전자 대우중공업 대우자동차 삼성중공업 등등의 대규모 기업집단이 없기 때문에 경제대국으로 발전하기에는 불가능하다고 했는데 그 말도 맞는 것 같습니다. 결론은 하루빨리 한반도가 통일을 해야한다는 것^^  -[11/01-01:03]-

--------------------------------------------------------------------------------

정보: 하나 더. 작년 삼성의 순익 규모는 전세계 IT 기업 중 3위였습니다.  -[11/01-01:03]-

--------------------------------------------------------------------------------

정보: 1등목표 / 사상최대인 게 맞을 수도 있어요. (통계가 있는 건 아니지만) 일본이 한참 잘 나가던 10년 전에도 흑자 내는 기업이 많으면서도 적자 보는 기업 역시 많았고, 소니 순익이 우리 돈으로 조 단위 넘어갔다는 얘기도 못 들은 것 같군요.  -[11/01-01:13]-

--------------------------------------------------------------------------------

아구: 정보/  실수했네요. ^^.

    

     그대신 이거 보탭니다. 이글쓴 기자가 저 처럼 실수한게 아닐까요?

    

    

     Sony's profit plunges 66.4%

     Friday, October 24, 2003 at 04:53 JST

     TOKYO — Sony Corp said Thursday its group net profit for the April-September half of the current fiscal year fell 66.4% from a year earlier to 34.05 billion yen, weighed down by sluggish results in its electronics and game businesses.

    

     The high-tech giant also reported declines of 51.8% in pretax profit to 79.83 billion yen and 51.3% in operating profit to 49.89 billion yen on a consolidated basis for the six months. Group sales dropped 3.2% to 3,400.80 billion yen. (Kyodo News)

    

       -[11/01-01:27]-

--------------------------------------------------------------------------------

정보: 아구 / 제 생각엔 소니의 순익이 급감했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이라  첨부하신 기사와 관련된 부분에서 실수했을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이는 것 같은데...

    

     (오죽 했으면 소니 회장이 삼성으로부터 배워야 한다고 맨날 역설하겠으며, 이번에 삼성과 LCD 합작 공장 만들면서 기술 배우려는 목적으로 자기네 기술자 보내려다 한 마디로 거절당하는 개망신을 당했다는 얘긴 너무나 잘 알려진 얘기이니 기자들이 소니의 몰락을 몰랐을리는 없겠겠죠.)  -[11/01-01:35]-

--------------------------------------------------------------------------------

1등목표: 정보/ 80년대 초 까지만해도 소니의 일본 전자업계 순위는 5위안에 들지 못했고,간신히 10위안에 드는정도 였습니다. 하지만 80년대 중반에는 수백억엔 단위의 이익을 내고, 80년대 중반에 컬럼비아 영화사를 인수하고, (물론 그 이전에 소니뮤직을 만들고 음바사도 인수했지만), 또한 그당시에 NEC는 세계 2위의 반도체 회사였고, PC의 경우도 일본내 1등, 세계 2~3위 정도 해지요. 그외에 히타치, 마쓰시다, 도시바, 산요 등등 쟁쟁한 회사들이 최소 수십억엔에서 1천억엔에 육박하는 순익을 냈습니다. 참고로 니텐도의 경우도 최고 순익을 많이 낼때는 2천억엔까지도 냈습니다. 80년대 신문을 참조해 보세요...  -[11/01-01:35]-

--------------------------------------------------------------------------------

1등목표: 정보/ 80년대 초 까지만해도 소니의 일본 전자업계 순위는 5위안에 들지 못했고,간신히 10위안에 드는정도 였습니다. 하지만 80년대 중반에는 수백억엔 단위의 이익을 내고, 80년대 중반에 컬럼비아 영화사를 인수하고, (물론 그 이전에 소니뮤직을 만들고 음바사도 인수했지만), 또한 그당시에 NEC는 세계 2위의 반도체 회사였고, PC의 경우도 일본내 1등, 세계 2~3위 정도 해지요. 그외에 히타치, 마쓰시다, 도시바, 산요 등등 쟁쟁한 회사들이 최소 수십억엔에서 1천억엔에 육박하는 순익을 냈습니다. 참고로 니텐도의 경우도 최고 순익을 많이 낼때는 2천억엔까지도 냈습니다. 80년대 신문을 참조해 보세요...  -[11/01-01:38]-

--------------------------------------------------------------------------------

정보: 1등목표 / 그렇군요. 감사.  -[11/01-01:44]-

--------------------------------------------------------------------------------

정보: 근데 다만 당시 반도체 시장 규모가 그렇게 크지 않았었고, 또 닌텐도의 경우는 전자업체에 포함되는 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쪽이라고 생각되는데...  어쨌든 이런 얘기가 중요한 건 아니니 뭐... 어쨌든 말씀 감사합니다.  -[11/01-01:47]-

--------------------------------------------------------------------------------

1등목표: 85년 부근에 소니의 외형은 마쓰시타 외형의 1/3~1/4 정도 되었는데 (물론 순익도 절반 이하), 당시 소니는 워크맨,CDP,TV,캠코더등으로 번 돈으로 50억불을 들여 컬럼비아 영화사를 인수했고, 마쓰시타 또한 MGM인가하는 영화사를 더 많은 돈을 들여 인수했다, 몇년후 포기했죠.

     당시에, 반도체의 경우, Intel이 1등하기전에 NEC가 1등을 했었고, 지금은 별 것 아닌 상태지만 도시바, 히타치, 후지쓰, 등 약 6~7개의 일본 회사가 10위권 안에 들었었지요. 일본회사를 제외하고는 미국의 INTEL, MOTOROLA, TI, 프랑스 SGS THOMSON (현재의 ST Microelectronics)정도가 겨우 10위권에 들었고, 삼성의 경우 90년 부근에 1M, 4M DRAM을 만들면서 겨우 20안에 드었지요. 물론 이때 삼성이 DRAM으로 연간 수백억원의 이익을 냈지만 (DRAM 시장 점유율 약 8%정도)...  -[11/01-02:03]-

--------------------------------------------------------------------------------

1등목표: 이때 일본업체의 DRAM시장 점유율 50 % 이상..  -[11/01-02:05]-

--------------------------------------------------------------------------------

아구: 정보/ "net profit for the April-September half of the current fiscal year fell 66.4% from a year earlier to 34.05 billion yen"

    

     이부분에 의하면 소니만 340억엔 이거든요.

    

     알고보니 덧셈의 마술인 것 같습니다.

     모든 기업이 이익을 내는게 아니라서요.

    

     Sony Corp  : 34.05 billion yen

     Hitachi : 5.38 billion yen

     Fujitsu : - 58.6 billion yen

     Sharp Corp : 27.95 billion yen

     Toshiba Corp. : -32 billion yen

     NEC Corp. : 15.5 billion yen

     Sanyo :  7.5 billion yen

     Mitsubishi Electric Corp : 3.82 billion yen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 23.15 billion yen

    

     ---------------------------------------------------

     Hitachi profit slips; Fujitsu trims losses

    

      

     TOKYO (AP) - Hitachi Ltd. reported a 5 percent profit decline for the fiscal first half, while rival Fujitsu Ltd. trimmed its losses for the first six months of its fiscal year in another sign of the tough conditions facing Japanese electronics makers.

    

     The latest earnings reports on Wednesday came a day after Sony Corp. announced it will slash 20,000 jobs, or about 13 percent of its global work force, as part of its attempts to bounce back.

    

     For the six months ended Sept. 30, Hitachi reported it earned 5.38 billion yen ($50 million), down from 5.67 billion yen a year ago. Sales rose 3 percent to 4 trillion yen ($37 million) from 3.9 trillion yen a year earlier.

    

     Hitachi said a slump in i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s business and its digital media and consumer electronics division hurt profits. Losses from the hard disk drive operations Hitachi bought from IBM last year also hurt earnings, it said.

    

     Tokyo-based Fujitsu said it lost 58.6 billion yen ($542 million) for the April-September period in contrast to a loss of 147.4 billion yen a year earlier.

    

     Sales totaled 2.14 trillion yen ($19.8 billion), down 0.4 percent from 2.15 trillion yen. Fujitsu said sales dropped in software and services, as well as transmission systems and server equipment, although they were up in electronic devices.

    

     Hitachi blamed deflation, a steady decline in prices that has plagued the Japanese economy for years. Tumbling prices have battered profits for Japanese companies and electronics makers have been moving manufacturing overseas, where labor is cheaper.

    

     Although Japanese electronics companies have cut costs and slashed thousands of jobs over the past few years, the results have been mixed.

    

     Sharp Corp., which has focused on liquid crystal displays, a product for which demand has grown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flat TVs, reported Wednesday a 22 percent rise in its profit to 27.95 billion yen ($259 million) for the first half, up from 22.90 billion yen a year ago.

    

     But Toshiba Corp. said last week it lost 32 billion yen ($296 million) for the first half compared with a net loss of 26 billion yen a year ago.

    

     Toshiba cited declining prices in personal computers. Television and cell phone sales were also sluggish, although liquid crystal displays and computer chips fared better.

    

     NEC Corp.'s net profit surged nearly 15-fold in the first half of its fiscal year, thanks to brisk sales of mobile phones, restructuring and profits from the public offering of two subsidiaries. NEC's net profit rose to 15.5 billion yen ($143 million) from 1.0 billion yen a year ago, the company said last week.

       -[11/01-03:09]-

--------------------------------------------------------------------------------

정보: 아구 / 중간 리플에서도 적자 내는 기업들을 언급했던 것처럼 "덧셈뺄셈의 마술"은 당연히 감안하시리라고 생각했는데요. ㅎㅎ 하지만 저도 사상최대란(아니면 1등목표님의 의견처럼 적어도 수년래 최대) 수식어가 붙어서 대부분의 기업이 순익을 냈으리라고 간단히 짐작해 버린 점과, 보통 일본 전자업계가 강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오해하기 쉬운 점은 있군요.  -[11/01-06:39]-

--------------------------------------------------------------------------------

바닷빛깔: 흠..... 상식적으로 생각할때, 일본 9대 전자기업의 순익이 266억엔밖에 안된다니 조금 이상하게 느껴지는군요.  -[11/01-10:43]-

--------------------------------------------------------------------------------

야 호: 인구는 7,8천만이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남북한 합치면 그정도 되겠지요.

     그정도 인구면 한반도의 면적에 충분하다고 봅니다.

     삼성같은 기업이 8,9개 아니면 10정도면 3만달러대로 진입하고도 남을것입니다.

     그리고 안보의 중요성을 등안시하는 분들이 계시던데,국방비를 줄여서 다른데 투자했더라면 더 발전했을텐데라고 생각하시면 다르게 생각하시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안보없이 경제는 없다구요. 물론 박정희시대도 불안햇지만 더 불안했다면 실제 지역전같은 규모있는 국지전이 있었다면 지금의 성과는 불가능했을겁니다.앞으로도 열심히 하면 전망은 밝겠지만 자만하면 안됐니다.삼성이 한국의 일등기업이지만 세계의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은 아직 아닙니다. 이건희의 탁월한 경영이 빛을 발한 부분이 더 크죠.그래서 이재용은 안된다는 겁니다. 검증없이 덜컥 삼성의 경영을 맡긴다면 위기가 다가오고 흔들릴겁니다.

     일본의 기업들이 흔들린다고 하더라도 지금 이순간 연구개발비를 늘리고 있는 그들입니다. 결코 호락호락 무너지지 않을 기업들이죠.

     이정도의 우리성과도 잘한거지만 앞으로가 걱정입니다.과학이나 기술혁신이 필요한데, 기초과학은 등한시하죠.이공대는 기피하죠.한숨만 나오는군요.

     과학기술이 우릴 먹여살리지,성형외과나 피부과,치과가 우릴 먹여살리지 못합니다. 지금 그들 직업군이 좋다고 하지만 과학기술의 미비로 성장이 정체된다면 그들 홀로 호황일수 없습니다.

     기초과하과 이공계를 지원하고 그들이 자부심을 가지도록 해야합니다.

     이만 끝  -[11/01-14:43]-

--------------------------------------------------------------------------------

김백: 일본 전자 업계 상위 10개 정도 연구비 다 합쳐도

     삼성전자 하나를 못따라 갑니다.

     농담같지요?

     그런데 사실입니다.

       -[11/02-02:47]-

--------------------------------------------------------------------------------

libra: 후지쯔, 도시바가 워낙 개판쳐서 9대 전자업체의 총이익과 비교하는건 별 의미가 없어보이네요.

     삼성전자 과거에 투자를 과감하게한 이익을 지금 보고 있는것 같습니다.

     계속 잘 나가기를 기원하지만 쉽지는 않지요.  -[11/02-06:35]-

--------------------------------------------------------------------------------

한마디: 삼성은 한국의 인재들을 거의 다 독점하다시피 해서 이뤄진 기업입니다.

     현재는 그 상황이 더 극심하지요

    

     한마디로 삼성은 대한민국의 인재풀중에서 최고 엘리트들을 전부 다

     집중시켜서 대한민국이 만들어낼 수 있는 최고의 엘리트집단이 이룩해

     낸 것입니다.

    

     쉽게 생각해서 한국프로야구 최고 올스타팀이 일본의 개별 프로야구

     한개 팀과 대등하게 싸울 수는 있으나

    

     일본은 12개팀 하나하나가 한국 프로야구 최고 올스타팀과 대등한

     실력을 가진 팀이 될 수 있지만

    

     한국 프로리그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지금 삼성은 창사이후에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떨어질 수는 있지만 지금 이상 선전하기는 힘들다는 것이지요

    

     달이 차면 기울듯히 삼성은 앞으로 기울수밖에 없고

     앞으로 지금의 삼성의 경쟁력을 앞설 만한 한국기업은 나오기가 힘들다는

     것입니다.

    

     단, 통일이 된 후라면 상황이 달라지겠지요

    

     먼가 큰 착각을 하시는 듯하군요

    

     그리고 지금 IBM이 MRAM 이란 걸 만들고 있습니다.

     자기 메모리라는 것으로

    

     이게 성공하면 삼성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완전히 붕괴합니다.

    

     한국 가전 제품은 엄연히 일제보다 20%30%정도 싸구요

     일제가전이 최고제품이고 한국의 삼성가전은 엄현히 그 보다 등급이

     떨어지는 제품입니다. 그러나 중상이상은 돼지요

    

     그리고 한국차도,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절약하는 차원에서 사면 모를까

     좀 더 돈 좀 더 들여서 제대로 차를 장만할려면 한국 현대 차 않삽니다

    

     그리고 삼성 핸드폰이나 기타 가전제품 뜯어보았을때 핵심부품이

     일제나 미제 심지어 이스라엘칩이 않들어간게 있는 줄 아십니까

    

     그리고 한국은행들의 경우에는 전부 다 미국은행들이다시피 하는데

    

     아무리 제조업에서 많이 벌여서 미국넘들이 금융산업으로 전부다

     삥으로 뜯어가는 돈이 엄청납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금융산업이 약했을 때에는 전체 수익면에서

     상당히 외부로 지출돼는 부분이 너무나 많습니다.

       -[11/02-14:53]-

--------------------------------------------------------------------------------

흐흠: libra / 그럼 일본가전업체중에 흑자올린 기업들만 다 더해 보세요. 그래봤자 삼성의 절반이죠.  -[11/02-15:06]-

--------------------------------------------------------------------------------

흐흠: 한마디/ 본인은 못느끼겠지만 굉장한 패배주의에 사로잡혀 있는거같은데, 지금이 삼성의 최대 전성기인지 아닌지 누가 그렇다고 정해 줬는지 궁금하고, 또 찼으면 기울기 시작한다는 게 진리라면서 어째서 삼성에만 적용되고 ibm에는 그게 적용되지 않는지도 궁금하군요.

     글구 아직도 현대차가 브랜드에 밀려서 아직도 몇% 싸게 팔리는 건 사실이지만, 가전제품은 안 그래요. 더 비싸게 받는 건 더 비싸고 싼 것은 싸죠. 경합중이란 얘기지. 근래 미국 베스트바이같은데 가봤어요? 냠.  -[11/02-15:11]-

--------------------------------------------------------------------------------

흐흠: 한마디 / 미국사람들은 차값에 돈 절약할 사람이면 아예 중과차 사요. 목숨이 걸린 문제이니까. 폄하하지 마세요. 현대가 근래 좋은평가 받으면서 일제 차중에 렉서스 빼곤 거의 동급 취급받죠. 미국차 사는니 한국차 산다는 애기하는 사람 많이 봣어요.

     그리고 한국 가전에 일제나 이스라엘제 들어가는 건 보이면서 일본제나 이스라엘 전자제품엔  한국제  주요 부품들어가는건 안 보이나요? 심지어 미국의 HP도 PDA에 삼성CPU 쓰고 노키아도 플래시메모리 한국산 쓰죠. 지금 울니라 기업들이 정말로 기술이 없어서 일제 쓰는 건 별로 없어요. 사다 쓰는게 더 싸서 그렇지.  -[11/02-15:18]-

--------------------------------------------------------------------------------

정보: 위의 댓글들로 다른 것들은 더 이상 설명할 필요는 없는 것 같고(무언가 예측하려면 외국 회사나 한국 회사에 같은 기준을 갖다대야겠죠?), M램이 성공하면 한국 반도체 업계가 망한다? 그럼 큰일났네요? ^^ 벌써 IBM과 모토로라가 벌써 M램 개발에 성공했으니까. 근데 삼성은 벌써 기존 제품보다 1천배 빠른 P램 시제품을 내놨고, 하이닉스는 Fe램 양산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양사는 그외에도 M램, F램, C램 등등 다 개발하고 있죠. 그리고 이들 램 타입들은 각기 고유의 특성이 있어서 M램 하나 개발했다고 짱땡은 아니랍니다.  -[11/02-15:58]-

--------------------------------------------------------------------------------

화니: 정보/ 좋은 지적이십니다. 괜히 전기만 끄면 데이타 홀라당 날라가는 꾸진 DRAM을 아직까지 주로 사용하는 거 아닙니다. DRAM을 단지 저장장치로 인식하는 분들이 많은데...... 캐쉬메모리로서의 성격이 더 큽니다. CPU만 속도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 DRAM도 속도빠른게 계속 나온다는 걸 간과하지 말아야죠. 딴 종류 RAM이 성능을 따라올 수 있을까요, 물론 있긴 있다 쳐도 가격은??? 공급량은?????

    

     딴 RAM들이 DRAM의 지위에 오를려면 아직도 멀었다는 얘깁니다.  -[11/02-23:49]-

--------------------------------------------------------------------------------

화니: 이건 사견이지만, 일본 DRAM 산업이 한국에게 리드를 허용한 시기와 CPU 판도가 인텔로 급속히 넘어간 시기가 상당히 비슷합니다.

    

     즉, 현재의 윈텔(MS윈도+인텔) 구도가 깨지지 않는 한 DRAM 시장을 다시 내줄 가능성은 적다고 봅니다. 물론 하이닉스가 끝내 해외매각 된다든가 하면 또 얘기가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최근 경영상태 호조를 보이고 있는 만큼......

    

     고맙게도(?) 윈도는 신제품 나올 때 마다 엄청난 DRAM 메모리를 요구하거덜랑요! 현재의 메모리 호조는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봅니다. 철밥통 같던 윈도9x가 점차 윈도2000/XP 계열로 교체되어가고 있고, 얘들 쓸려면 메모리가 최소 256MB는 있어야 하고, 물량은 삼성, 하이닉스가 젤 많고, 딴 회사건 믿음이 안 가고......  -[11/02-23:56]-

--------------------------------------------------------------------------------

화니: 어느날 혜성같이 PC 호환기종을 누르는 새로운 스타 컴퓨터(?)가 등장하면 모를까나.  -[11/02-23:58]-

--------------------------------------------------------------------------------

bobos: 한가지 분야 전기(電機)만을 두고 일본 메이저 9개사와 삼성전자를 비교하는 이글의 의도는 분명하지 않지만...

     자동차만 한번 볼까요...(영업이익)

     1위 토요타자동차 4조7천억원

     2위 혼다기연       3조원

     ...

     이런거 보면 의미있습니까? 삼성전자 보다 잘나가는 회사 일본에는 다른 업종에서 훨 많습니다...

       -[11/03-17:28]-

--------------------------------------------------------------------------------

ㅉㅉ: bobos/ 멍청한노마 여그에 그거 모를사람이 있어서 이케 추천수가 높것냐? 글에 의도를 봐야제...하튼 쥐뿔만큼 아는 참새대가리들이 더 설친다네깐두루.  -[11/03-18:27]-

--------------------------------------------------------------------------------

정보: bobos / 일본에서 삼성과 순익규모로 경쟁할 수 있는 업체는 자동차 업체 외에는 없습니다. 그것도 말씀하신 도요타나 혼다가 거의 유일하고. 참 다른 분야 업체 중에 NTT도코모가 있군요. 근데 이 기업은 일본 내수 시장 위주 업체죠(유럽 등 각지에 진출했긴 하지만 거기서 벌어들이는 규모는 미미함).  -[11/04-02:30]-

--------------------------------------------------------------------------------

정보: 그리고 많은 분들이 약간 오독하시는 것 같은데, 위에서 말한 삼성의 순익 규모는 올 상반기 순익일 뿐으로, 작년 회기 기준으로 당연히 4조 원을 넘는 순익을 올렸습니다.  -[11/04-02:33]-

--------------------------------------------------------------------------------

음: 음  -[11/06-07:36]-


Comment ' 2

  • 작성자
    Lv.39 파천러브
    작성일
    03.11.07 00:59
    No. 1

    헛..이 리플들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8 뚜띠
    작성일
    03.11.07 01:12
    No. 2

    아직까지는... DRAM이 메모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앞으로도 당분간을 그럴것이고..
    언젠간.. FRAM이나 다른것으로 바뀌겠지만.. 그것역시.. 삼성에서 1, 2위를 다퉈 생산을 할듯..

    아마 IT 분야에선.. 당분간.. 삼성의 성장이 계속 될듯 합니다..
    단지.. 특허세 등과 같은 기술료가 해외로 많이 빠져나간다는게 문제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781 재수생 강세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재수생이 성공한다는 ... +3 Lv.19 R군 03.11.06 344
15780 [공지] 파일 혹은 프로그램 기타 공유, 요청 글 올리지 ... +1 Lv.6 가온(歌溫) 03.11.06 292
15779 재수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4 미주랑 03.11.06 360
» [펌]일본전자업계 사상최대 흑자 -- but 삼성전자의 1/10 ? +2 Lv.39 매봉옥 03.11.06 555
15777 만선문의 후예, 걸인각성 +6 황제의 도 03.11.06 431
15776 컴고수님들!!(어?아니라도 상관없나?;;) 질문입니다!! +3 행인 03.11.06 268
15775 끝내 다리 절단한 '아름다운 철도원' 김행균씨 +3 Lv.90 불멸유령 03.11.06 246
15774 재수 말입니다., +1 Lv.1 고르고13 03.11.06 366
15773 밑에 요람님의 글을 읽고..... +5 Lv.1 太武 03.11.06 211
15772 컴이 고물이라 그런건지... +6 정훨 03.11.06 392
15771 일단 마우스 함 가따데바.. +3 Lv.1 술퍼교교주 03.11.06 241
15770 [질문]내공이 심후하신 여러고수님들의 오의를 알고 싶습... +3 Lv.1 독자무적 03.11.06 207
15769 고무림 소모임중에-_-무협비디오사랑 이런거안만듭니까?^^;; +3 Lv.75 소닉 03.11.06 365
15768 내일로 다가온 축제 +1 Lv.1 진운 03.11.06 281
15767 국내 첫 '레즈비언 듀오' 탄생 +7 Lv.90 불멸유령 03.11.06 585
15766 황제의 검 +7 Lv.4 스코비 03.11.06 563
15765 왠지 행복해 지는 날입니다... +4 Lv.15 千金笑묵혼 03.11.06 425
15764 [신고합니다] 리플 + 잡담 +5 Lv.52 녹슨 03.11.06 248
15763 일본 포경협회의 말도 안되는 논리 +7 Lv.1 푸른이삭2 03.11.06 564
15762 지나가는 고물수집차 조심하세요 +4 Lv.1 버들피리 03.11.06 459
15761 딸기 100% 같은 만화 없나요?? 추천 좀 해주세요~ +3 Lv.11 백적(白迹) 03.11.06 394
15760 수능얘기 고만합시다.. +5 Lv.4 삐딱군 03.11.06 424
15759 무협소설 사행시 입니다..--; +2 Lv.4 삐딱군 03.11.06 170
15758 수능을 보고난 고무림 회원들께 +6 Lv.1 신독 03.11.06 273
15757 간단한 태그 질문입니다~ +4 Lv.1 제갈중달 03.11.06 254
15756 [펌]쯧쯧... 한국자동차... 진실을 알고 보면 볼수록 구... +3 Lv.1 적월 03.11.06 521
15755 이해가 간다. +8 Lv.1 천풍유협 03.11.05 300
15754 전지현 장혁을 봤습니다... +4 Lv.41 학도병 03.11.05 477
15753 THE END... +3 Lv.1 적월 03.11.05 245
15752 '개콘' 개그맨들 소속사와 결별 "개콘은 계속" +3 Lv.90 불멸유령 03.11.05 357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