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Personacon 윈드윙
작성
16.01.06 00:58
조회
883

Attached Image

디에고 브랜다오의 경기 모습 캡처

‘강중약 중강약약’

국내 인기 만화가 김성모 화백의 작품에서 자주 등장하는 대사가 있다.

작품 속 캐릭터가 마치 대전 격투게임을 하듯 콤비네이션을 구사할 때 종종 언급된다. 다소 과장된 설정이지만 이 같은 패턴은 사실 UFC 등 격투기에서는 무척 중요하다. 실력이 월등히 차이가 나지 않는 이상 뻔히 눈치 채는 공격으로는 상대를 때려눕히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는 UFC 페더급 디에고 브랜다오(28,브라질)에게 절실히 요구된다. 연승을 달리던 브랜다오는 3일(한국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MGM 그랜드가든 아레나에서 열린 ‘UFC 195’에서 브라이언 오르테가(24,미국)에게 트라이앵글초크를 허용하며 3라운드 1분 13초만에 패했다.

브랜다오는 UFC 기대주다. 성적도 나쁘지 않을 뿐더러 파이팅 스타일도 화끈하다. 초반부터 화끈하게 양훅을 휘두르며 치고 들어가 상대를 박살내는 것을 선호한다. 거칠게 달려들어 타격전을 거는 그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한 마리 맹견이 연상될 정도다.

브랜다오는 헤비급 복싱의 전설 마이크 타이슨과 종합격투계의 레전드 중 한 명인 반더레이 실바를 존경한다. 어쩌면 그의 이러한 파이팅 스타일은 신장은 크지 않지만 폭발적인 탄력을 바탕으로 큰 선수들을 잡았던 실바를 따라하고 싶은 욕심도 깔렸다.

하지만 현재의 브랜다오는 지나치게 강공일변도라는 지적이다. 기선을 제압하는 것은 좋지만 초반부터 너무 우직하고 강하게 나간다. 정타가 제대로 들어가면 바로 흐름을 잡아가는 효과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중반 이후로 들어가면 체력적 어려움에 직면한다. 단순한 ‘강강 패턴’으로 인해 상대가 공격에 적응하는 악순환도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부분은 좀 더 위를 노리고 있는 브랜다오 입장에서 반드시 고쳐야한다. 중하위권 랭커들에게는 통했을지 모르지만 앞으로 붙게 될 상위 수준의 파이터들에게는 오히려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오르테가와의 경기는 이러한 브랜다오의 문제점이 고스란히 드러난 한판이었다. 브랜다오는 오르테가를 맞아 초반부터 큰 펀치를 휘두르며 강하게 몰아붙였다.

1라운드 그림만 놓고 봤을 때 브랜다오의 일방적인 페이스처럼 보였다. 하지만 2라운드에 들어선 오르테가는 별다른 충격을 받지 않은 듯 냉정하게 경기를 풀어나갔다. 1라운드 때처럼 뒤로 물러서는 경우도 현저히 줄었다. 브랜다오의 ‘예상할 수 있는 수’에 제대로 적응했기 때문이다.

앞손 잽을 잘 활용해 짧은 공격으로 브랜다오의 얼굴에 거푸 정타를 꽂으며 흐름을 잡아갔다. 결국 이 같은 냉정한 경기운영을 바탕으로 오르테가는 3라운드에서 서브미션으로 경기를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

브랜다오의 이 같은 맹공 스타일은 실속 면에서 너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1라운드에서 그는 겉으로 보이는 그림에서는 임팩트가 넘쳤지만 정작 흐름을 잡아가지는 못했다. 무시무시해 보이는 큰 궤적의 펀치들이 보기보다 오르테가에게 데미지를 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크게 휘두르는 브랜다오의 묵직한 훅은 대부분 오르테가에게 보였던지라 가드에 걸리든지 스치거나 밀리듯이 들어갔다.

브랜다오의 우상인 타이슨이나 실바도 이처럼 마구잡이로 큰 펀치를 남발하지는 않았다. 타이슨같은 경우 잔 공격은 많지 않았지만 끊임없이 머리와 어깨를 움직이며 상대에게 보이지 않는 속임수 동작을 많이 취했고 결국 예상치 못한 타이밍에서 한방과 연타를 작렬시켰다. 실바 역시 ‘붕붕훅’이라는 단순패턴으로 유명했으나 경력이 쌓일수록 노련하게 경기를 풀어나가며 펀치를 크게 칠 때와 작게 칠 때를 잘 구분했다.

브랜다오는 웰터급 챔피언 로비 라울러의 진화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펀치 외에 다양한 킥과 그래플링까지 있는 브랜다오에 비해 라울러는 그야말로 거의 펀치밖에 없는 복서형 파이터다. 그럼에도 상대들은 라울러를 맞아 많은 공격을 허용한다.

최근의 라울러는 잽 등 앞손 공격을 적절하게 사용하며 상대를 차근차근 압박하다가 빈틈이 보였을 때 묵직한 정타를 잘 꽂아 넣는다. 근거리와 원거리를 오가는 스탭도 더욱 노련해졌으며 자신의 공격이 들어간 이후 상대는 때리기 어렵고 자신은 다음 공격을 치기편한 쪽으로의 각을 잡는 움직임도 더욱 좋아졌다는 평가다.

강자들이 즐비한 페더급에서 브랜다오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강강’이 아닌 ‘강중약’이 적절히 가미된 템포 조절이 절실하다. 

문피아독자 윈드윙

 


Comment '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7581 언제까지 무료시대 버릇 보일 생각인지. +4 Lv.67 임창규 16.01.06 1,426
227580 매번 겪다 익숙해진 제가 신기할 정도군요. +2 Lv.58 deekei15 16.01.06 1,165
227579 생...각해보니 올해로 20대가 됬습니다. +10 Lv.35 첼로른 16.01.06 1,028
227578 이계귀환물 프롤로그는 100%일치인듯 +7 Lv.80 아아앋 16.01.06 1,367
» ‘강강강’ 브랜다오, UFC 챔피언 라울러에 비친 해답 Personacon 윈드윙 16.01.06 884
227576 운영반영전 품질 테스팅 팀이 별도로있을리는 없겠지.. Lv.99 dropper 16.01.05 1,113
227575 주관을 가득 담은 장르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첫 글에 ... +7 Lv.78 대추토마토 16.01.05 1,308
227574 문피아 병신년 맞이 +7 Lv.79 du**** 16.01.05 1,183
227573 낭만의사라진필드, 솔플의제왕, 환생좌, 음악의신등등 +4 Lv.99 프리저 16.01.05 1,839
227572 혹시 무료작도 지금 조회수가 이상한가요? Lv.26 흰백작 16.01.05 1,116
227571 유료 결제 오류 있습니다 +1 Lv.55 은빛화살 16.01.05 1,167
227570 디도스 드립 또치시는거는 아니지요?? Lv.88 leipiel 16.01.05 1,056
227569 지금보니 앱만 그런게 아니네요.. +6 Lv.99 까마귀1 16.01.05 983
227568 문피아 전면 무료 할건가요? +8 Lv.59 하늘구름 16.01.05 1,880
227567 요새 문피아 앱이 엄청 느려진것같네요;; +1 Lv.99 까마귀1 16.01.05 1,382
227566 각 지역별 소주가 다 달라서 +5 Lv.55 짱구반바지 16.01.05 1,184
227565 문피아가 토렌트 사이트에 광고를 하는 건 어떻게 생각들... +8 Lv.16 강호영 16.01.05 1,957
227564 왜 저는 보는작품마다 삐그덕인지... +5 Lv.9 으아니24 16.01.05 1,629
227563 문피아 앱 많이들 쓰시나요? +7 Lv.99 드리밍데이 16.01.05 1,312
227562 문피아 이벤트 했었나요?? +4 Lv.67 섭짓 16.01.05 1,348
227561 중복결제 될 뻔 했네요. +3 Lv.66 은금 16.01.05 1,377
227560 엄마부대라고 아시나요? +8 Lv.63 가출마녀 16.01.05 1,692
227559 박건 작가 지인 계신지? +11 Lv.89 허장로 16.01.05 2,071
227558 당신의 주변에... +3 Lv.35 초아재 16.01.05 1,713
227557 사람이 술을 너무 많이 마시면... +3 Lv.35 초아재 16.01.05 1,737
227556 문 앞잡이들이라는 글을 봤습니다. 공감하십니까? +32 Lv.25 필수잼 16.01.05 3,041
227555 족발값과 소고기 구이 비용.... +6 Lv.24 약관준수 16.01.05 1,632
227554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동영상 플레이어 추천 좀 해주세요. +3 Lv.24 약관준수 16.01.05 1,810
227553 골든블랙홀..?? +3 Lv.71 넌돈벌레 16.01.05 2,140
227552 근성의 라울러, UFC 웰터급 끝판왕의 자격 Personacon 윈드윙 16.01.05 1,657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