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오늘은 한글날입니다.

작성자
Lv.14 구작가
작성
15.10.09 12:21
조회
739

한글날 특집...... 까지는 아니더라도, 한글날을 기념해서 뜻깊은 글 하나 같이 보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여기에 올립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말은 사람들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 조선 말은, 우리 겨레가 반만년 역사적 생활에서 문화활동의 말미암던 길이요, 연장이요, 또 그 결과이다. 그 낱낱의 무수한 조상들이 잇고 보태고 다듬어서 우리에게 물려 준 거룩한 보배이다. 그러므로, 우리말은 우리 겨레가 가진 정신적 및 물질적 재산의 총목록이라 할 수 있으니 우리는 이 말을 떠나서는 하루 한 때라도 살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 말은 조선 사람에게 너무 가깝고 너무 친한 것이기 때문에, 도리어 조선사람에게 가장 멀어지고 설어지게 되었다. 우리들이 항상 힘써서 배우고 닦고 한 것은 다만 남의 말, 남의 글이요, 제 말과 제 글은 아주 무시하고 천대해 왔다. 날마다 뒤적거리는 것은 다만 한문의 자전과 문서뿐이요, 제 나라 말의 사전은 아예 필요조차 느끼지 아니하였다. 프랑스 사람이 와서 프랑스 말로서 조선어 사전을 만들고, 미국, 영국 사람이 와서는 각각 영어로써 조선어 사전을 만들고, 일본 사람이 와서는 일본 말로써 조선어 자선을 만들었으니, 이것은 다 자기네의 필요를 위하여 만든 것이요, 우리의 소용으로 된 것이 아니었다.


 제 말의 사전을 가지지 못한 것은 문화 민족의 커다란 수치일 뿐 아니라, 민족 자체의 문화 향상을 꾀할 수 없음을 절실히 깨달아, 이 수치를 씻고자, 우리 문화 향상의 밑천을 장만하고자, 우리가 우리 손으로, 조선말 사전의 편찬 사업을 처음으로 계획한 것은 융희 4(서기 1910)년부터의 일이었으니, 당시 조선광문회에서 이 일을 착수하여, 수년 동안 재료 작성에 힘을 기울였던 것이다. 그러나, 사정으로 인하여 아깝게도 열매를 맺지 못하였고, 십여 년 뒤에 계명구락부에서 다시 시작하였으나, 이 또한 중도에 그치고 말았다.


 이 민족적 사업을 기어이 이루지 않고서는 아니 될 것을 깊이 각오한 우리 사회는, 이에 새로운 결의로써 기원 4261(서기 1928)년 한글날에 조선어 사전 편찬회를 창립하였다. 처음에는 조선어학회와 조선어 사전 편찬회가 두 날개가 되어, 하나는 맞춤법, 표준말들의 기초공사를 맡고, 하나는 낱말을 모아 그 뜻을 밝히는 일을 힘써 오다가, 그 뒤에는 형편에 따라 조선어학회가 사전 편찬회의 사업을 넘겨 맡게 되었으니 이는 조선어학회가 특별한 재력과 기획이 있어서가 아니라, 다만 까무러져 가는 사전 편찬회의 최후를 거저 앉아 볼 수 없는 안타까운 심정과 뜨거운 정성이 있기 때문이었다.


 포악한 왜정의 억압과 곤궁한 경제의 쪼들림 가운데서, 오직 구원한 민족적 정신을 가슴 속 깊이 간직하고, 원대한 문화적 의욕에 부추긴 바 되어, 한 자루의 모지라진 붓으로 천만가지 곤란과 싸워 온 지 열다섯 해만에 만족하지 못한 원고를 인쇄에 붙이었더니 애닯도다. 험한 길은 갈수록 태산이라. 기어이 우리 말과 글을 뿌리째 뽑아버리려는 포악무도한 왜정은 그 해, 곧 기원 4275(서기 1942)년의 시월에, 편찬회와 어학회에 관계된 사람 삼십여 명을 검거하매, 사전 원고도 사람과 함께 흥원과 함흥으로 굴러다니며 감옥사리를 겪은 지 꼭 세 돐이나 되었었다.


 그 간에 동지 두 분은 원통히도 옥중의 고혼으로 사라지고, 마지막의 공판을 받은 열두 사람이요, 끝까지 옥에서 벗어나지 못한 다섯 사람은 그 실낱같은 목숨이 바람 앞의 등불같이 바드러워, 오늘 꺼질까, 내일 사라질까 하던 차에 반갑다.


 조국 해방을 외치는 자유의 종소리가 굳게 닫힌 옥문을 깨뜨리어, 까물거리던 쇠잔한 목숨과 함께 흩어졌던 원고가 도로 살아남을 얻었으니, 이 어찌 한갓 조선어학회 동지들만의 기쁨이랴?


 서울에 돌아오자, 곧 감옥에서 헤어졌던 동지들이 다시 모여, 한편으로는 강습회를 차려 한글을 가르치며, 한편으로는 꺾이었던 붓자루를 다시 가다듬어 잡고, 흩으러진 원고를 그러모아, 깁고 보태어 가면서 다듬질하기 두 해 만에, 이제 겨우 그 첫 권을 받아, 오백 한 돌인 한글날을 잡아, 천하에 펴내게 된 것이다. 그 내용에 있어서는 다시 기움질을 받아야 할 곳이 많으매, 그 질적 완성은 먼 뒷날을 기다릴 수밖에 없지마는, 우선 이만한 것으로 하나는 써 조국 광복 문화 부흥에 분주한 우리 사회의 기대에 대답하며, 또 하나는 써 문화 민족의 체면을 세우는 첫 걸음을 삼고자 한다.


 돌아보건대, 스무 해 전에, 사전 편찬을 시작한 것은 조상의 끼친 문화재를 모아 보전하여, 저 일본의 포악한 동화정책에 소멸됨을 면하게 하여, 써 자손만대에 전하고자 하던 일에 악운이 갈수록 짖궂어, 그 극적 기도조차 위태한 지경에 빠지기 몇 번이었던가? 이제 그 아홉 죽음에서, 한 삶을 얻고 보니, 때는 엄동설한이 지나간 봄철이요, 침침칠야가 밝아진 아침이라, 광명이 사방에 가득하고, 생명이 천지에 약동한다. 인제는 이 책이 다만 앞 사람의 유산을 찾는 도움이 됨에 그치지 아니하고, 나아가서는 민족 문화를 창조하고 활동의 이로운 연장이 되어, 또 그 창조된 문화재를 거두어들여, 앞으로 자꾸 충실해가는 보배로운 곳집이 되기를 바라 마지 아니한다.


 끝으로, 이 사업 진행의 자세한 경과는 따로 밝히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다만 이 사업을 창조하며 후원하여 주신 여러분에게 삼가 감사의 인사를 드리는 바이다.


기원 4280(서기 1947년) 한글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 글은 다름이 아니라, 1947년에 출판한 ‘우리말 큰사전’의 머릿말입니다.


 이 사전이 출판되기 까지 학자들과 사전 원고가 겪은 무수한 우여곡절을 다 설명할 수는 없지만, 사전 원고의 행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전 원고는 조선어학회 사건의 증거물로 흥원과 함흥을 옮겨다니면서 여러 부분이 없어지고, 원고 자체의 행방 또한 오리무중에 빠지게 됩니다. 8.15 광복이 찾아온 후, 투옥됐던 한글학자들은 석방되고, 이들은 조선어학회를 재건하고 사전 출간의 재개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던 중 압수된 후 행방불명이었던 초고 26,500여 장의 원고가 1945년 9월 서울역(당시 경성역) 조선통운 창고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고등법원에 항소를 내면서 원고가 증거물로 이송되었다가 거기에 머물게 된 것이지요.

 되찾은 원고를 기초로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한 학자들은 1947년 한글날에 ‘조선말 큰사전’이라는 제목으로 을유문화사에서 1권을 출판합니다. 저 머릿말은 그 때 실린 것입니다.

 1949년 조선어학회는 한글학회로 이름을 바꾸고, 제목도 ‘조선말 큰사전’에서 ‘우리말 큰사전’으로 이름을 바꾸어 3권까지 출판하지만, 6.25 전쟁으로 사전 출판은 다시 중단됩니다. 전쟁 통에 원고를 땅에 파묻고 피난을 가는 수난 끝에, 다시 발간을 시작한 사전은 1957년 6권으로 마무리 지어집니다.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뜻과 노력을 기리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한글을 갈고 닦아 온 사람들의 노력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은 한글날을 맞이하여, 조금이나마 그런 사람들의 노력을 생각해보는 기회를 만들고자 올립니다.

 


Comment ' 4

  • 작성자
    Lv.60 카힌
    작성일
    15.10.09 12:37
    No. 1

    진정한 애국자들이로군요. 참 본받을 위인들이라고 봅니다. 전 말이죠. 역사책에 나오는 위인들을 전적으로 믿지는 않는 편입니다. 과거의 일을 지나치게 사실위주가 아니라 해석위주인 것들이 보이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어려운 시기에 뜻을 굽히지 않고 오랜세월 노력하여 결실을 맺는 분들이야 말로 진정한 위인이자 애국자라고 봅니다. 열다섯의 과거에 급제해서 영의정을 지냈다고 역사책에 나오고 하는 식의 위인은 일절 인정치 않습니다. 똑똑하고 높은 위치에 올라갔다고 위인이라 보지 않습니다. 남들이 걷기 힘든 길, 그리고 뚜렷한 신념으로 어려운길을 개척해서 결과를 만들어낸 사람들 그런 사람이 위인이라 생각합니다. 머리 좋고 지위 높았던 사람 보다 말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0 한혈
    작성일
    15.10.09 13:07
    No. 2

    어영감님, 고맙습니다.
    말과 글을 지키기 위한 투쟁에 비하면, 오늘날의 국립국어원 하는 짓을 보면 국어는 고사하고 언어에 대한 상식적인 직관조차 없어 보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ForDest
    작성일
    15.10.09 13:23
    No. 3

    미국에 살고 있는 저는 요즘 한국이 얼마나 대단한 말인지 제대로 깨닫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발음에서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ANU
    작성일
    15.10.09 16:07
    No. 4

    개인적으로는 아래 아 라고 천시받으며 어느 순간 사라진 그 모음이 가장 안타깝습니다.
    한글은 이미 존재하는 거의 대부분의 음을 재현하지 못하게 변형되었습니다.
    한국어라는 배우기 뭐같은 언어와 겹쳐졌기 때문이기도 하고
    사대주의에, 문화 말살정책에 의한 것이기도 할거구요.

    어찌됐든 세종대왕께서 현세에 들르신다면 통탄에 비탄을 거듭할 한글날이 아닐까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6005 이상과 현실에 대한 괴리감이 느껴집니다. +2 Lv.18 티타 15.10.12 864
226004 요즘 문피아 순위권 소설들 보다보면 +7 Lv.28 로망스. 15.10.12 1,226
226003 자신이 구매한 유료소설을 다운받을수있나요? +7 Lv.1 [탈퇴계정] 15.10.12 1,167
226002 온수매트 교환받았는데 Lv.6 auuc 15.10.12 765
226001 퇴근 14분 전... 인간이 가장 지루함을 느낄 시간... +16 Personacon 성공(星空) 15.10.12 1,000
226000 결혼식 하객복장 +9 Lv.24 군내치킨 15.10.12 1,030
225999 서피스북에 꽂혔습니다 +17 Personacon 성공(星空) 15.10.12 1,086
225998 글 하나 적는데 이렇게 오래 걸리는지 몰랐어요. +12 Lv.1 [탈퇴계정] 15.10.12 1,014
225997 위기의 KCC, 이름값을 버려야 산다 +2 Personacon 윈드윙 15.10.12 797
225996 지나친 반복은 독자를 지치게 합니다. +6 Lv.60 카힌 15.10.12 1,132
225995 창천 Lv.85 하늘과우리 15.10.12 649
225994 출간본 연중.. +1 Lv.99 골드버그 15.10.12 915
225993 나노공정, 삼성 VS 인텔 +11 Lv.60 카힌 15.10.12 1,015
225992 꿈, 아니면 미래 +3 Lv.1 [탈퇴계정] 15.10.12 687
225991 관심병에 대하여 +3 Lv.13 [탈퇴계정] 15.10.12 996
225990 이제 월요일, 출근을 위해 잘 시간입니다. +3 Personacon 적안왕 15.10.12 693
225989 몇시간 안남았네요 +7 Lv.44 키르슈 15.10.12 763
225988 스카이레이크 업그레이드 후기 +7 Lv.95 아라짓 15.10.12 983
225987 방금 롤 한 판 하고 왔습니다. +8 Lv.32 예하성 15.10.11 933
225986 여성회기물도 보고싶습니다 +9 Lv.69 고지라가 15.10.11 861
225985 컴공과 분들 있으신가요? 어디가 유망한가요? +5 Lv.50 chonsa 15.10.11 1,004
225984 다른 독자까지 욕하는 댓글.. 어떡하나요? +16 Lv.15 공경도하 15.10.11 1,072
225983 연재에 조회수에 대해 질문 하나 있습니다. +8 Lv.1 [탈퇴계정] 15.10.11 1,086
225982 지금 인터넷 안되는건 제 pc문제인가봐요. +27 Personacon 적안왕 15.10.11 865
225981 리메이크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5 Lv.4 [탈퇴계정] 15.10.11 902
225980 소설표지 어떻게 하나요? +5 Lv.50 와삭바삭 15.10.11 952
225979 컴퓨터가 안되네요.ㅠㅠ 도와주세요. +9 Lv.57 가네스 15.10.11 874
225978 UFC 곤자가·린들맨 평행이론? 크로캅, 추억의 일진일퇴 Personacon 윈드윙 15.10.11 812
225977 왜 일요일이 되면 몰아서 아픈 느낌일까... +5 Lv.60 정주(丁柱) 15.10.11 928
225976 마녀사냥은 하지 맙시다. +11 Lv.8 [이후] 15.10.11 1,176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