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어째 요즘들어 일본풍의....

작성자
Lv.82 더벅머리
작성
05.04.10 15:55
조회
1,447

요즘들어서 어째서인지 일본만화의 대사를 그대로 본뜬듯한

문장들을 많이 보내요.

어법에 약간 안맞는 듯 하면서도, 특별히 꼬집기도 뭐한...

그러니까... 일본어를 그대로 직역한 듯한 글들말입니다.


Comment ' 24

  • 작성자
    어릿광대
    작성일
    05.04.10 16:27
    No. 1

    저만이 아니였군요.. 저도 글을 읽다 보다 보면 일본 만화(애니메이션)나 게임에서 나오는 말들을 그대로 차용한 듯한 방식의 대사를 꽤 자주 접하는데 그 부분이 조금은 오묘한 부분이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작가의 창작 대사인지 저의 착각인지 조금은 헷갈리는 부분이더군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ㅇ_ㅇ
    작성일
    05.04.10 16:30
    No. 2

    예시를 좀 들어주세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6 아즈라엘
    작성일
    05.04.10 16:52
    No. 3

    아래는 제가 예전에 토론마당에 올렸던 글입니다만 참고가 될듯해서 댓글로 올립니다.
    ---------------------------------------------------------------------------------

    우리나라가 일제하에 있으면서 많은 일본용어들이 우리말속에 아직도 남아있습니다.

    저도 무협소설을 매우 좋아하는 독자입니다만 가끔 소설속에 등장하는 용어들속에

    일본식 표현들이 발견되어 안타까울때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없는

    단어들(정치,경제,물리....등)이라면 이해가 가지면 우리식용어가 있는데도

    굳이 일본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요. 그래서 아래에 양국의 표현을 올립니다.

    참고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본식 표현. - 바른 한국식 표현.


    1. 무뎃포(無鐵砲) -막무가내, 무작정, 무턱대고

    2. 궁도 -활쏘기, 궁술

    3. 노동자 -근로자

    4. 무사(武士) -칼잡이, 검객

    5. 연인 -애인

    6. 가족 -식구 (가족은 이제 완전히 일상용어가 되었으니 바꾸기 어렵겠죠)

    7. [납득]하다 -[수긍]하다

    8. 무도 -무술, 무예 [일본인들은 道라는 표현을 엄청 좋아합니다]

    9. 서도(書道) -서예 [<XX서도회>라고 잘난듯이 써놓은 동호회가 많더군요]

    10. 다도(茶道) -다례(茶禮) [불교 용어인 다례가 정확한 표현]

    11. 전사(戰士) -용사(勇士)

    12. 민족(民族) -겨레

    13. 공헌 -이바지, 기여

    14. 괴뢰 -꼭두각시

    15. 구매하다 -구입하다

    16. 긍지 -자긍심, 자부심

    17. 골격 -뼈대

    18. 당뇨병 -소갈병

    19. 치매 -노망,망령

    20. 모포 -담요

    21. 묘소(墓所) -산소(山所)

    22. [박살]내다 -[요절]내다

    23. 방향 -향방

    24. 분만(分娩) -해산(解産)

    25. 삼엄한 -무시무시한

    26. 세대(世帶) -가구(家口)

    27. 쇠약(衰弱) -탈진(脫盡)

    28. 순번(順番) -차례(次例)

    29. 시간 -시각 [70년대까지는 시각이 매우 자주 쓰였었음]

    30. 신부(新婦) -색시,새댁,각시

    31. 신랑 -서방, 새서방

    32. 실패 -낭패

    33. 안내(案內)하다 -인도(引導)하다

    34. 안내장 -청첩장

    35. 압수하다 -몰수하다

    36. 애매한 -모호한

    37. 용도 -씀씀이

    38. 원금 -본전

    39. 일단 -우선, 먼저

    40. 내 [입장]도 좀... -내 [처지]도 좀...

    41. 자금,자본 -밑천

    42. 적자 -결손

    43. 전멸 -몰살

    44. 정원 -뜰, 동산

    45. 천정 -천장

    46. 추측 -짐작

    47. 출장 -파견

    48. 취급하다 -다루다, 처리하다

    49. 타당한 -옳은, 마땅한

    50. 취약 -부실

    51. 파탄나다 -결딴나다, 끝장나다

    52. 품절 -매진

    53. 혈액 -피

    54. 화훼 -화초

    55. 가격 -값




    그리고 이곳무협소설에서도 자주등장하는 표현법중에

    "~하지 않으면 안된다." 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런 식은 일제시대 이전의 우리나라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표현법입니다.

    우리나라사람은 이렇게 일본인 처럼 돌려 말하는 성격이 아닙니다.

    언어표현에서 만큼은 직설적이지요.

    "~해야만 한다." 라고 직설적으로 쓰는것이 올바른 우리식 표현법입니다.





    차라리 중국식용어를 사용한다면 무협소설에서야 이해할수 있지만

    자주 등장하는 일본식 용어들은 자제하는것이 어떨까요? 애국하는 법이

    뭐 따로 있겠습니까?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잊어버린꿈
    작성일
    05.04.10 16:53
    No. 4

    아즈라엘님의댓글을보니.. 하 정말이지 심각한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염성비제
    작성일
    05.04.10 16:54
    No. 5

    예 : 대장일행들이 라는 표현을 대장들이 라고 하는 표현정도?
    고유명사뒤에 바로 들이라는 복수형의 접미사를 쓰는 표현이 많이 쓰이지 않나여? 이건 일본문법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름뒤에 들이라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꺄옹이
    작성일
    05.04.10 17:06
    No. 6

    뭐, 일본 것이라 해서 모든 것을 배제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필요한 것은 우리들의 정서에 큰 무리를 빚지 않는 한도 내에서
    맞게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1 엘븐즈
    작성일
    05.04.10 17:24
    No. 7

    다들 번역풍이라고 쓰지말자고들 하시네요..

    한국어 표현의 다양화쪽으로 보는게 나을듯한데요
    국어도 시류에따라 변하기 마련입니다.

    예전에도 올라왔었는데 이런논란은 이제 별로..-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4 淸流河
    작성일
    05.04.10 17:26
    No. 8

    쓰지말자곤 해도 궁도라던가 무도라던가 하는말은 상관없지 않을까요? 단순히 활의 길을 걷는다는 뜻에서 궁도라는 이름을 붙일수도 있는것인데. 일본이 먼저 썼다고 우리나라가 쓰지말아야한다는 건 그 어디에도 없죠... 무공이라는게 길을 걷는것과 비유하면 딱 맞아떨어지니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용마
    작성일
    05.04.10 17:28
    No. 9
  • 작성자
    Lv.1 아르데코
    작성일
    05.04.10 17:53
    No. 10

    아즈라엘님 존경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5 현(炫)
    작성일
    05.04.10 18:21
    No. 11

    언어의 역사성에 의거, 문화의 흐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봅니다.
    고로... 표현방법은 작가분 마음~ 이란 소리죠...홍홍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7 ch******
    작성일
    05.04.10 18:22
    No. 12

    취지는 공감하지만, 예로 든 단어중에 쉽게 수긍이 가지 않는 것들이 있습니다. 대체 가능한 단어가 아니라는 거죠.

    물론, 괴뢰 같은 단어는 백번 천번 공감이 갑니다.

    하지만 박살내다와 요절내다는 의미도 같지 않은데다, '박살'이란 말 자체가 무슨 한자어도 아니고 우리말인걸요. 쇠약과 탈진도 의미가 다르고, 신부는 일본에선 '화가(花嫁;하나요메)'라고 해서 전혀 다른 단어를 씁니다. 안내장과 청첩장의 의미가 같지 않다는건 따로 말하기도 그렇고요. 애매하다와 모호하다 역시 둘다 바른 우리말 표현이고, 두 가지가 서로 다른 뜻을 담고 있습니다. 애매하다는 '누명을 써 억울하다'는 의미이고, 모호하다는 '말이나 태도가 흐리터분하여 분명하지 않다'는 뜻이지요. 전멸과 몰살, 출장과 파견 등등... 비슷하지만 다른 뜻을 담은 말과, 아예 뜻이 다른 말도 함께 말씀하시니 본 뜻과는 달리 잘못된 정보도 함께 전달되는 듯 싶습니다.

    거기에 '궁도'라는 것도, 일본에서 말할 때는 일본의 활쏘기 스포츠를 가리키는 고유명사에 가깝다고 봐야겠지요. 공감하지 못하시는 분들도 있겠습니다만, 일본인들도 '활쏘기나 궁술'을 가리키는 일반명사로 받아들이지는 않을겁니다. 일본인이 '궁도'라고 할 때 '활쏘기의 도'라고 받아들이는게 아니거든요. 만약 그렇다면 일본인들은 '궁도'란 말을 양궁이나 한국의 국궁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이겠죠. 일본인이 말하는 '검도(켄도)'란 고유명사가 펜싱이나 중국검술을 포함하는 개념이 아니란 것과 같습니다.

    일본에서 쓰이는 무사란 단어도, 일본에서는 원래 특정 계급을 지창하는 말이기 때문에 '칼잡이', '검객'과는 다른 의미로 쓰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7 ch******
    작성일
    05.04.10 18:26
    No. 13

    덧붙이자면, 저는 차라리 일본식 표현의 대표적인 예로 모 작가의 작품 제목으로도 사용되었던 '문답무용'을 들고 싶습니다.

    과거 한국에서는 물론 중국에서도 쓴 적이 없던 명백한 일본식 한자조어지요. 그것도, '대화는 필요없다'는 의미의 아주 호전적인 말이라...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1 韶流
    작성일
    05.04.10 18:26
    No. 14

    음 ㅡㅡ;; 요즘들어가 아니라.. 예전부터 슬슬 들어오기 시작하지 않았나요? 판타지 무더기로 양산체제 일때부터 심심치 않게 어법 틀리는건 기본이고, 번역투가 툭툭 튀어나오는데 ㅡㅡ;; 아직까지 판타지 혐오증이 남아있는 이유중 한가지죠 ㅡㅡ;; ㅎ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8 범진
    작성일
    05.04.10 18:41
    No. 15

    우리나라가 중국의 한자를 받아왔지만...
    역사학적으로 볼때 섬나라인 일본에 한자를 전파한건
    우리나라라고 들었어요. 그러니까 일본인들이 우리 방식을 따르는거지
    우리가 일본식을 따르는 게 아닐 수도 있죠~!
    헤헤... 좋게 생각해요 우리~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4 진짜무협광
    작성일
    05.04.10 20:16
    No. 16

    인문학 투자의 부실로 전문용어가 다 일본을 따른다는게 문제입니다.
    전문용어를 일본에서 번역한대로 따라쓰는게 상식인게 법조계입니다. 돈은 많이 벌면서도 그런데 투자하지 않는 법조계덕분에 이공계도 당연히 일본을 따라합니다.
    이 문제가 심각한 이유는 말이 사상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남을 따라간다면 자기문화와 생활방식을 버린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그 뜻이 애매하면 각분야에서 이론이 생기게 되죠. 따라서 각각의 주장에 대한 이해가 달라집니다. 판정기준이 일본식 한자어가 되므로 사회에서 통용될때까지는 입장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전달되기 십상이죠. 전문가 토론이나 최신이론 도입시 논쟁의 여지가 처음부터 발생하는 겁니다. 시간과 투자가 필요한데 도입하기가 바쁘니, 영어 자체로 쓰는 전문용어가 생기게 되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아즈라엘
    작성일
    05.04.10 20:27
    No. 17

    전문가(작가)가 쓰는 언어,단어,용어등은 일반인이 쓸때와는 그 파급효과란것이 다릅니다. 제가 올린 위의 댓글내용중에 잘못된것이 있을수 있겠습니다만 그 취지자체는 이해를 해주셨으면 합니다.

    이미 쓰이고 있으므로 어쩔수없다고 해서는 안돼겠지요.
    문화란 자연적으로도 이루어집니다만 수준높은 문화란
    노력의 열매가 아닐까합니다. 그래서 문화의 비교우위가 생기는
    거구요.
    일본식 한자,일본식용어,일본식의 문장등이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만 그 역사가 채 백년이 안됩니다.
    노력하면 달라질수 있다고 봅니다.
    엄연히 더 훌륭하고 좋은 우리글 우리말 우리표현이 수만가지가
    있음에도 겨우 몇백개에 불과한 일본의 표현법을 빌어쓸필요가 있을까요?

    물론 대부분의 작가님들께서 그것을 인지하면서 글을 쓰시지는
    않았을겁니다. 그렇지만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소설등의
    영향을 무의식에서라도 받지않았다고는 할수 없겠지요.
    그래서 글을 쓰기위해서는 국어공부가 필수라는 것입니다.
    저같은 독자들이야 그정도까지의 노력이 필요치 않다고해도
    글을 쓰는 작가님들, 만화를 그리는 만화가님들, TV에 나와
    토론하고 논설하는 여러 전문가들, 엥커나 기타 문화관련종사자들은
    이정도의 노력은 일종의 에티켓이 아닐까 합니다.

    무조건적인 국어사용을 강요하는것이 아니라 사용하더라도
    정확히 하자는 것이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청년
    작성일
    05.04.10 20:42
    No. 18

    저 또한 글 쓰신 분들의 의견에 동의하며 바른 우리말 사용과 국어순화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낍니다. 다만 아즈라엘님이 댓글부분에 지적하신단어들의 경우는 반드시 고쳐야 할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낱말들이 더 많은 듯 보입니다만......기분 나쁘게 생각지 마시고......저로서는 아무리 국어사전을 뒤져봐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은가루
    작성일
    05.04.10 20:42
    No. 19

    아즈라엘님의 말을듣고있으니 좀(많이)찔리네요;;
    확실히 일본어체를 많이,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더군요,저도.
    순우리말 모음집이랑 위에 아즈라엘 님이 올려주신것 같은게 모아져서 책으로 나왔으면 좋겠어요.이젠 거의 잊혀져가는 순우리말들도 그립고.잘못쓰고있는 우리말들을 바로잡도록 노력할 수 있는 기회...가 될것 같은데요.오늘 느낀게 많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초극의지
    작성일
    05.04.10 20:57
    No. 20

    물론 "번역풍"이 시대의 흐르 또는 특성이라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시대의 흐름을 따르는것도 중요하지만 전통을 지키는것도 중요합니다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려면 흔들리지 않는 잣대를 세워야지만 흐름에 휩쓸리려 본질을 잃어버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특별히 뜻이 다르지도 않고 우리말로도 표현할수 있는데 일본말로 표현할 하는것은 잘못 됬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뜻이 다르다면 복합어로 보고 사용할수도 있겠죠 무조건 받아드리지 말고 기준을 세우고 쓸건 쓰고 버려야할것은 버립시다~~~~~~~~ 라고 배웠습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청년
    작성일
    05.04.10 21:09
    No. 21

    뭐 어찌됐던 님들의 글과 아즈라엘님의 글 덕택에 국어사전도 찾아보고...제 자신의 언어사용에 대해서도 잠시나마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모두들 즐겁고 유익한 하루하루 되시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무언가
    작성일
    05.04.10 21:39
    No. 22

    ~~다는... 요거와 글 다쓰고 끝에 괄호치고 (끌려간다) (퍽!!) 요런것만 좀 자제했으면 합니다-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파하스
    작성일
    05.04.10 23:42
    No. 23

    무심결에 쓰게 되죵~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89 이루어지리
    작성일
    05.04.11 04:37
    No. 24

    그렇군요. 조심해야 겠다는...(웃음)

    이거.. 분위기 잘못타고 장난치다 매장당하는게 아냐?-_-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6290 한담 요즘 게시판 응답 속도가 느려진것 같네요. +7 Lv.71 상서림 05.04.10 303 0
16289 한담 (감사) 여러분 금시조입니다. +19 금시조 05.04.10 695 0
16288 한담 읽을때마다 짧다고 느껴지는 글 강력 추천합니다 +5 Lv.1 狂風愛歌 05.04.10 682 0
16287 한담 [강추]절대 무적 +13 Lv.57 민가닌 05.04.10 707 0
16286 한담 아앗;;내일 수학여행 가는데;; +2 武林狂 05.04.10 207 0
16285 한담 [추천] 금시조님의 절대무적 +4 Lv.9 plume 05.04.10 371 0
16284 한담 [추천]정말 마력이라 할만한 흡입력을 가진 소설 +5 靑風劍仙 05.04.10 1,447 0
16283 한담 선호작 지우기 어떻게 하나요 +5 Lv.99 광마혈룡 05.04.10 238 0
16282 한담 약속대로 돌아왔습니다. ^^ +1 노하 05.04.10 534 0
16281 한담 [추천] 희강님의 만독군자!!! +6 Lv.47 흑황 05.04.10 651 0
16280 한담 가장 마음에 안드는 글의 유형.. +5 ㅇ_ㅇ 05.04.10 582 0
16279 한담 저 선호작에 이상이;; 님들이 좀 도와주세요;;ㅜ_ㅠ +6 Lv.21 꿈에다름 05.04.10 264 0
16278 한담 내가본 최고의 성실 연재작가님 +5 Lv.44 風객 05.04.10 962 0
» 한담 어째 요즘들어 일본풍의.... +24 Lv.82 더벅머리 05.04.10 1,448 0
16276 한담 (추천) 게임소설 나반님의 초이스.. Lv.1 철수 05.04.10 735 0
16275 한담 한수오님의 보검박도를 보다가... +2 Lv.83 殺人美笑 05.04.10 893 0
16274 한담 태극검해 진자운의 반보십팔식에 대해서 +8 Lv.1 Tragedy 05.04.10 1,117 0
16273 한담 노병귀환의 철웅이... +7 바보左手刀 05.04.10 866 0
16272 한담 한량인생님의 하인무적, 삭제되었나요? +1 Lv.1 우야 05.04.10 449 0
16271 한담 [추천] 천삼뇌기 추천합니다. +2 Lv.14 반구 05.04.10 616 0
16270 한담 이럴 수가! 장영훈의 [일도양단]이 배신을... +60 Personacon 금강 05.04.10 2,134 0
16269 한담 [질문]에냑님의 절명문 밑줄쫘악~ ㅜㅜ +1 Lv.74 뱀닮은용 05.04.10 379 0
16268 한담 정연란의 비천전기 안보시면 정말 후회를...... +1 Lv.9 늘도전이 05.04.10 506 0
16267 한담 곧 돌아오겠습니다. +11 Lv.10 송현우 05.04.10 431 0
16266 한담 화산질풍거 떳습니다~~ +1 흑화랑객 05.04.10 452 0
16265 한담 옷..화산질풍검이.. +1 Lv.39 파천러브 05.04.10 445 0
16264 한담 질문인데요... +3 청강 05.04.10 187 0
16263 한담 정연란 - 일월신교 추천합니다.^^ Lv.3 장소군 05.04.10 453 0
16262 한담 장르문학대상 수상작에대한 조회수 조작 전말 Lv.8 비오는언덕 05.04.10 798 0
16261 한담 간밤에 발견한.... +4 Lv.58 김안아 05.04.10 898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