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무협백과

무협에 관련된 지식백과



[권법5] 벽괘권, 홍가권

작성자
Personacon 검우(劒友)
작성
03.01.20 06:56
조회
1,803

● 벽괘권의 특징

벽괘권은 수 많은 중국권법 문파 가운데서도 가장 격렬하게 움직이는 권법으로 이름높다.

신속하게 상대의 주위를 돌면서 양 팔을 풍차처럼 휘둘러 중거리나 원거리에서 공방을 펼친다.

명칭도 그 팔을 휘두르는 모양에서 유래되었으니, 크게 휘둘러 내리치는[벽(劈)]과 휘둘러 올려치는 [괘(掛)]라는 동작에서 기인했다. 또,권(拳)을 거의 쓰지 않고 손을 편 채로 팔을 휘두르기 때문에 벽괘장(劈掛掌)이라 불리는 경우도 많다.

공격은 가슴을 크게 젖히고 팔을 완전히 편 상태에서 기세 좋게 내리친다. 이때, 팔꿈치에 불필요한 힘을 넣지 않고 내리치기 때문에 팔을 채찍처럼 휘두르는 듯이 보인다.

팔을 크게 휘두르면서 공격을 구사하기 때문에 공격범위가 크다.

벽괘권의 기술은 상대의 기술이 닿지 않는 거리에서도 구사할 수 있다. 벽괘권이 중거리에서 원거리를 주체로 하기 때문이다. 낮게 움츠린 상태에서 단숨에 몸을 일으키면서 공격을 펼치기도한다.

북파권법의 문파는 몸을 크고 부드럽게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벽괘권은 그야말로 그의 극치라고 말해진다.[신속하게 주위를 움직이면서 크게팔을 회전시켜, 공격을 할 수 없는 거리에서 상대를 제압한다]는 것이 벽괘권이다.

 

역사와 배경

현재까지,벽괘권의 상세한 기원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명 대(1368-1644)에 들어서야 {기효신서}에 의해 비로소 그 이름이 등장한다.명 대 중엽,하북성 창주의 용담(龍潭)지방에 격렬한 움직임을 하면서 팔을 크게 휘두르는 권법이 있다는 것이 화제가 되었다.

기효신서의 저자,척계광이 유담(流潭)지방을 방문해 그 권법을 찾았으나, 옛날부터 이 지방에 전해져 내려온 벽괘권이라는 대답만 얻었을 뿐이었다. 그 자들도 기원 등은 알지 못했다.

그렇게 현재에 이르러서도벽괘권의 탄생 비밀은 무엇 하나 알려진 바가 없다.

● 전승의 단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종 조사가 행해졌으나 판명된 것은, 벽괘권이 청 대(1644-1911) 중엽부터 두 가지 계통으로 나뉘어져 전승되었다는 것뿐이다.

현재 양 파 모두 그들의 개조가 어떻게 해서 그 권법을 익히게 되었는가 하는 점이나 상세한 연대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상세한 기원을 아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벽괘권의 역사를 아는데 있어서 기효신서와 함께 유일한 단서가 되고 있다.

한 파의 개조는 좌보매(左寶梅)라고 하는 염산현 대좌촌에 살았던 권사로,[한(韓)]이라는 도사에게서 그 기법을 배웠다고 한다.다른 일파의 개조는 남피현에 궁중 무관으로 일했던 곽대발(郭大發)이라는 인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곽대발은 자신의 분파를 조가(趙家)라는 집안에게 계승시켰다. 그 때문에 현재 곽대발의 흐름을 잇는 일파는 조가에 의해 전해졌다고 한다.

● 팔극권과 함께 발전

벽괘권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청 대 말기 이후의 일이다. 최초의 계기를 만든 것은, 의외로 팔극권사였다.

청 대 말기, 금모(金某)라고 하는 팔극권의 달인이 벽괘권의 우수한 실전성에 주목해, 가르침을 청했다.

벽괘권에 매료된 금모는 자신의 제자들에게도 그 기술을 전했다고한다. 인기가 있던 팔극권과 함께 전해지게 되면서 벽괘권은 자연히 세상에 퍼져나가게 되었다.

널리 보급되면서도 언제나 팔극권과 함께 전해졌던 벽괘권이 독자적으로 전승되게 된 것은 1900년대 전반이 되면서 부터라고 한다.

염산현파의 마영도(馬英圖)와 남피현파의 곽장생(郭長生)이 같은 시기에 중국 국술관(1929년 설립)에 교관으로 채용된 것을 계기로, 양자는 기술 교환을 시작했다.

국술관의 정식 과목으로 채택된 것과 함께, 두 파의 장점을 융합해, 보다 높은 실전성을얻은 벽괘권은 순식간에 발전을 이루었다. 결국 현재에 와서는 북파권법의 한 문파로서 중국 전역에 이름을 떨치기에 이르렀다.

홍가권은 황비홍의 무예로 유명하다.그 제자 임세영 역시 홍가문의 실력자로 유명하여 홍가권은 현재 홍콩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가장 유명한 무술 중에 하나이다.

홍가권은 남파 소림권의 하나로 그 시초는 소림사의 고승 지선선사의 고제자 인 홍희관이다.

홍가권은 또한 중국무술 역사상 의미있는 무공중의 하나로 그것은 역시 천지회와 관련이 있다.

청시대에 중국에서는 반청복명의 운동이 역사상에 많은 의미를 부여했는데 홍가권은 반청복명의 무술로서 등장 하였기 때문에 많은 전설과 명인을 배출했다.

이러한 반청복명의 무술로써 홍가권은 병사를 배출하는데 사용되었고 그렇기 때문에 단기간에 강해지는 수련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좀더 외문기공에 치우치게 된 것 같다.

이러한 홍가권은 실전상에 매우 강한 면모를 보였고 그러한 것이 현재의 무술인들에게 커다란 매력으로 작용하여 많은 수련생을 낳았으며 세계적으로도 많은 수련생을 배출하였다.

홍가권은 여타 소림권과 마찬가지로 마보, 궁보, 허보, 반마보, 궤보, 독립보, 괴보등의 기본보법을 이용하며 철사장, 철포삼, 박수공 등의 강한 외공을 수련한다.

홍가권의 수련 방법은 다음과 같다.우선 공자복호권으로 기본공을 철저히 수련한 후 홍가권의 이름높은 형인 호학쌍형권을 수련하게 된다.이 호학쌍형권은 홍희관이 우선 호권을 연마한후 후에 유를 보완하기 위해 학형을 도입했다고 한다.

마지막 단계인 철선권은 내공을 수련하는 것으로 철교삼이라는 사람이 전수 했다고 한다.철교삼은 황비홍의 아버지인 황기영과 친분이 있었으며 이것으로 인해 홍가권의 가전무술에 포함이 되었다고 한다.

그다음 십형권이나 오형권과 같은 기법을 배우며 이러한 기법에는 아주 많은 살수가 포함되어 있어 상당한 고급기술에 속한다.

홍가권은 발의 기술보다는 손의 기술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발의 기술은 손의 기술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의의가 크다 할수 있다.홍가권의 분파에 따라서는 점혈을 찔러넣는 위험한 기술을 습득하기도 하며 이것은 홍가권에 있어서의 무서움을 나타내는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현재 우슈 남권에 홍가권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보면 그만큼 남파소 림권에서는 홍가권의 존재가 크다 함을 알수 있는 부분이다.

■ 홍가권의 특징 ■

속칭 [홍권(洪拳)],홍가권은,수 많은 남파권법 중에서도 1,2위를 다툴 정도로 인기 있는 권법이다.

인기의 이유는, 단기간으로도 실전에 통용되는 기술을 몸에 익힐 수 있다는 점이다. 홍가권은 전란의 시기에, 단기간에 병사를 길러 내기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수련은, 익히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내공이라는 몸 속에서 힘을 끌어내는 방법이 아닌,외공이라 불리는 근육이나 뼈를 단기간에 철저히 단련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다른 권법에 비해 간단하다고 할 수 있다.

기법 상의 특징도, 강하게 단련한 부위를 상대의 급소에 찔러넣는,높은 실전성을 추구한 경향이 보인다. 싸움에 있어서 주로 사용하는 것은 장으로, 침과 동시에 단련된 손끝으로 급소를 점혈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주먹이나 발을 사용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급소만을 노린다.

기법 상의 또 하나의 특징은, 허리를 크게 회전하면서 공격을 한다는 점이다. 홍가권의 권사는 수련 당초는 내공보다도 외공을 중시하기 때문에 강한 발경을 낼 수가 없다.

그 결점을 허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보완해서 강력한 공격을 구사하는 것이다.[근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한 공격을 언제나 급소에 찔러 넣는다]는, 그것이 홍가권이다.


Comment '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협백과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 무공일반 장안법(障眼法) 도둑▩ 03.02.05 1,364
47 무공일반 술법(術法) 및 방중술(房中術) 도둑▩ 03.02.05 2,778
46 무공일반 독술(毒術) +1 도둑▩ 03.02.05 2,228
45 무공일반 내공(內功) +1 도둑▩ 03.02.05 4,042
44 무공일반 귀식대법(龜息大法) 도둑▩ 03.02.05 2,524
43 무공일반 검법(劍法)의 종류와 경지 도둑▩ 03.02.05 5,803
42 무공일반 [무공] 무예도보통지중 검법부분 +1 Lv.83 냉면철담 03.02.01 1,595
41 무공일반 [무공] 태극권 혈전보 +1 Lv.83 냉면철담 03.02.01 1,913
40 무공일반 여러가지 한국검법(韓國劍法) +6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7,191
39 무공일반 소림 역근경(易筋經), 태극기공십팔식(太極氣功十...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962
38 무공일반 12로 담퇴 +1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951
37 무공일반 삼절법(三節法)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761
36 무공일반 기본 수형. +1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129
35 무공일반 기본 보형. +1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825
34 무공일반 [권법6] 당랑권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296
» 무공일반 [권법5] 벽괘권, 홍가권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804
32 무공일반 [권법4] 통배권, 팔괘장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113
31 무공일반 [권법3] 영춘권, 심의육합권 +1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009
30 무공일반 [권법2] 응조권, 번자권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805
29 무공일반 [권법1] 사권, 사왕포추권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643
28 무공일반 팔단금(八段錦)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738
27 무공일반 육자결(六字訣)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249
26 무공일반 [무공] 무예도보통지의 이해 Lv.83 냉면철담 03.01.11 1,595
25 무공일반 참춘수련법 Lv.1 최윤호 03.01.09 1,741
24 무공일반 장법 +7 Lv.1 최윤호 03.01.07 3,285
23 무공일반 ▶ 차를 마시려면 잔을 비워라 Lv.1 최윤호 03.01.07 2,028
22 무공일반 독,암기 +1 Lv.1 최윤호 03.01.07 3,084
21 무공일반 무공 초식 일람. +6 Lv.1 최윤호 03.01.07 6,463
20 무공일반 미야모토 무사시의 \'오륜지서\' +2 류민 03.01.07 1,931
19 무공일반 검도 용어 +1 류민 03.01.07 2,31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