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무협백과

무협에 관련된 지식백과



내공(內功)

작성자
도둑▩
작성
03.02.05 18:29
조회
4,044

내공(內功)

☞ 호흡을 단련하여 신체의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새로운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한 무공의 한 가지.

주로 기의 운행을 통해 내력을 일으키며 정신을 단련한다.

각 무공마다 독문의 내공이 있어 호흡과 기의 운행 순서가 다르다.

무당파의 무공이 내공의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격공섭물(隔空攝物)

☞ 내공을 이용해 손을 안대고 물건을 취하는 걸 말함.

능공섭물(綾空攝物), 허공섭물(虛空攝物)이라고도 한다.

격체전공(隔體傳功)

☞ 몸을 통하여 내공을 전달하는 수법.

마지막에 전달받은 사람은 전달한 사람들의 내공을 온전히 사용하여 자신의 내공처럼 쓸 수 있기 때문에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게 된다.

내가심법(內家心法)

☞ 호흡을 단련하여 신체의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새로운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한 무공의 한 가지.

주로 기의 운행을 통해 내력을 일으키며 정신을 단련한다.

각 무공마다 독문의 내가심법이 있어 호흡과 기의 운행 순서가 다르다.

무당파의 무공이 내가심법, 내공의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내가진기(內家眞氣)

☞ 내공 수련을 통해 쌓인 진기.

내가요상술(內家療傷術)

☞ 내공을 이용해 내상을 치료하는 고도로 어려운 치료법의 하나.

내공심법(內功心法)

☞ 호흡을 단련하여 신체의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새로운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한 무공의 한 가지.

주로 기의 운행을 통해 내력을 일으키며 정신을 단련한다.

각 무공마다 독문의 내공심법이 있어 호흡과 기의 운행 순서가 다르다.

무당파의 무공이 내공심법의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내단(內丹)

☞ 내공을 오랫동안 익히는 경우에는 무형이 유형이 되는 경지에 달하게 되어 단단한 구슬 모양의 내단을 이루게 된다.

사람의 경우에는 그것이 단전에 생기는데, 내단은 수련을 쌓을수록 점점 커져서 그것이 완전하게 형성이 되면 만독불침의 금강불괴가 되는 단계에까지 이를 수 있다.

한편 오래된 영물의 경우에도 역시 내단이 형성되는데 이것을 취하여 먹게 되면 보통 사람들은 무병장수하게 되고 무림인의 경우에는 수십 년을 닦은 내공을 얻게 된다.

내력(內力)

☞ 내공에 의해 불러 일으켜진 힘. 육체적인 힘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능공섭물(凌空攝物)

☞ 내공을 이용해 손을 안대고 물건을 취하는 걸 말함.

격공섭물(隔空攝物), 허공섭물(虛空攝物)이라고도 한다.

운기조식(運氣調息)

☞ 기운을 운행하고 호흡을 가다듬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부좌를 튼 자세에서 오심(정수리와 양 손바닥, 양 발바닥)을 하늘로 향한 채 눈은 코끝을 보고 코는 마음을 보는 식으로 단전의 진기를 전신의 혈도를 따라 운행시킨다.

이렇게 하여 자신의 내공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 내상의 치유나 피로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운기토납법(運氣吐納法)이라고도 불린다.

유가내력(踰跏內力)

☞ 인도의 유가술에 의하여 쌓인 내공을 말한다. 유가술이란 오늘날의 요가를 말한다.

일갑자(一甲子)

☞ 일갑자란 60년을 말한다. 일갑자의 내공이란 육십년을 수련한 내공을 말한다.

입공(立功)

☞ 서서 하는 운기행공술의 한 가지.

좌공(坐功)

☞ 앉아서 하는 운기행공법의 한 가지.

주화입마(走火入魔)

☞ 내공을 응용하는 무예인이 잡념(이를 심마라 한다)이나 그 밖의 이유로 공력의 운행(주천)을 잘못 돌려서 혈도가 막히거나 폐인이 되고 심하면 죽기까지 하는 현상을 일컬음.

진기(眞氣)

☞ 내가심법의 수련을 통해 쌓인 힘. 내력이라고도 한다.

허공섭물(虛空攝物)

☞ 내공을 이용해 손을 안대고 물건을 취하는 걸 말함.

능공섭물(綾空攝物), 격공섭물(隔空攝物)이라고도 한다.

호신강기

☞ 내공의 힘으로 자신을 보호하는 무형의 막을 자신의 몸 주위에 형성하는 수법.

비슷한 말로 반탄강기가 있다.


Comment ' 1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협백과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 무공일반 장안법(障眼法) 도둑▩ 03.02.05 1,366
47 무공일반 술법(術法) 및 방중술(房中術) 도둑▩ 03.02.05 2,780
46 무공일반 독술(毒術) +1 도둑▩ 03.02.05 2,228
» 무공일반 내공(內功) +1 도둑▩ 03.02.05 4,045
44 무공일반 귀식대법(龜息大法) 도둑▩ 03.02.05 2,525
43 무공일반 검법(劍法)의 종류와 경지 도둑▩ 03.02.05 5,804
42 무공일반 [무공] 무예도보통지중 검법부분 +1 Lv.83 냉면철담 03.02.01 1,596
41 무공일반 [무공] 태극권 혈전보 +1 Lv.83 냉면철담 03.02.01 1,914
40 무공일반 여러가지 한국검법(韓國劍法) +6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7,194
39 무공일반 소림 역근경(易筋經), 태극기공십팔식(太極氣功十...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964
38 무공일반 12로 담퇴 +1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953
37 무공일반 삼절법(三節法)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762
36 무공일반 기본 수형. +1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131
35 무공일반 기본 보형. +1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825
34 무공일반 [권법6] 당랑권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297
33 무공일반 [권법5] 벽괘권, 홍가권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804
32 무공일반 [권법4] 통배권, 팔괘장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113
31 무공일반 [권법3] 영춘권, 심의육합권 +1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010
30 무공일반 [권법2] 응조권, 번자권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806
29 무공일반 [권법1] 사권, 사왕포추권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1,644
28 무공일반 팔단금(八段錦)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738
27 무공일반 육자결(六字訣) Personacon 검우(劒友) 03.01.20 2,249
26 무공일반 [무공] 무예도보통지의 이해 Lv.83 냉면철담 03.01.11 1,597
25 무공일반 참춘수련법 Lv.1 최윤호 03.01.09 1,741
24 무공일반 장법 +7 Lv.1 최윤호 03.01.07 3,286
23 무공일반 ▶ 차를 마시려면 잔을 비워라 Lv.1 최윤호 03.01.07 2,030
22 무공일반 독,암기 +1 Lv.1 최윤호 03.01.07 3,086
21 무공일반 무공 초식 일람. +6 Lv.1 최윤호 03.01.07 6,465
20 무공일반 미야모토 무사시의 \'오륜지서\' +2 류민 03.01.07 1,932
19 무공일반 검도 용어 +1 류민 03.01.07 2,311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