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작성자
Lv.99 온달곰
작성
08.05.17 01:20
조회
2,184

어떻게 이계환생영지물에서는 최강자&황제가 되는걸까요?

보통..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강자나 깨달음을 얻었던 자들을 보면,

정치적으로 높은 자리에 올라갔던 사람이 없더라구요.

공구(공자)도 정치적으로는 그다지 활약하지 못한 '사상가'고, 싯다르타(부처)는 태자였지만 도리어 깨달음을 얻기 위해 그 자리를 박차고 고행을 했죠.

아. 무함마드(마호메트)는 정치적으로 성공하기는 했군요. 하지만 이쪽도 '사상가'지 개인의 무력이 출중한게 아니니 패스.

삼국지에서도 무력 최강자는 '여포'지만 정치적으로는 실패. 그나마 조조가 이계환생영지물에 나오는 사람들과 비슷한 성향이지만, 역시나 최강자는 아니죠. 여러번 죽을뻔하니까요. 관우한테도 구걸하고, 마초한테 놀라서 도망치는 등등.. 실제 1:1 전투에서는 그다지 위력적이지 않았죠.

상식적으로 생각해보면, 밥먹고 그것에만 몰두해야 겨우 깨달음을 얻을까 말까 한게 세상살이이니, 권력과 동시에 강해진다는 것도 말이 안되고...

게다가 일정수준 이상의 깨달음을 얻으면 어지간한 트라우마는 해소되면서, 권력, 재력, 명예에 대한 욕망에서도 자유로워지는게 좀 더 상식적이지 않나요?

당장 깨달음을 묘사하는 문구들은 '도가'나 '불가'의 것들이 많은데, 또 그런쪽에서는 철저히 권력, 재력, 명예에 대해서 거리를 두고 있단 말이죠.

또한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련 자체도 극한의 인내와 자기절제를 필요로 하는데, 이와 반대로 권력과 재력과 명예는 자기 한 몸 편하자고 추구하는 게 보통 아닙니까?

대그룹 회장들이 숨겨진 여자가 많다는 이야기는 들었어도, 욕구를 절제한다는 이야기는 못들어봤고, 강대국 대통령이라고 해서 열심히 자기절제하면서 훈련한다는 이야기는 못들어봤습니다. 그랬으면 클린턴 스캔들이나, 한국의 여러 호색 대통령 이야기는 안나오겠죠.

그런데, 어떻게 이계환생영지물에서는 최강자&황제가 되는걸까요?

마법은 배워본적 없지만, 사회생활해보면서 무술이나 여러가지 것들 배워보고 궁리해보니, 그런쪽의 강함을 추구하려면 정말 사생활 포기하고 열심히 노력해야 겠던데요. -_-;

결론은 흔히 말하는 '주인공 보정'? 아니면 환타지니까?

그저 대리만족을 위해서인걸까요?


Comment ' 11

  • 작성자
    Lv.81 하바별시
    작성일
    08.05.17 01:28
    No. 1

    ㅎㅎ 그래서 소설아닌가싶네요.

    성취는 고생과 같이온다는것..

    어느날 용이 절대전능의 능력을줘서 강력해진 주인공님에게는 정말 할게 전지전능밖에 없는것이죠.

    자기가 고생해보면 쉽지않죠.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6 사막물고기
    작성일
    08.05.17 01:43
    No. 2

    어쩌면 판타지세계도. 중국의 5대10국시대처럼 한미한 가문의 뛰어난(강한) 무장이 나타나면 그 나라의 귀족들이 그 한미한 가문의 무장을 정치적으로 뒷받침해주고, 자신들의 권력(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특히 강하고 괜찮은 귀족들이 주인공에게 많이 빌붙던데...

    그냥 귀족들이 뒷받침해줘서 그게 가능할듯, 결국 판타지세계에서 관료제에 편입되어 국가의 녹을 먹으며 사는 귀족들을 못봤으니..(제가 본 소설에서는 거의 다들 자기의 영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또 어쩌면 가장 강한자=황제는 명분상 그렇듯 하니, 봉제도가 사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도 그럴듯한 사람을 황제를 시켜주는 것일지도 몰라요..

    그냥 제 짧은 지식으로는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더라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5 백두루미
    작성일
    08.05.17 01:50
    No. 3

    여러 호색대통령이 아니라 고조선~조선시대 사이에 있던 왕들이 아닌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온달곰
    작성일
    08.05.17 01:57
    No. 4

    파트너님.
    호색 대통령.. 이야기 많아요. 김대중, 노무현 빼고는 다들 권력 이용해서 여자 끌어들였다는 소문이 다 있었죠.

    박정희는 암살당하는 술자리에서도 유명 여자 연예인을 끼고 있었죠.

    아페티투스님.
    무력이 강하면, 보통 부하로 부려먹죠. 전위,관우,장비 처럼.

    반면 유비나 조조나 주원장 보면 정치력이 좋은거죠. 확실히 두가지는 구별이 되는듯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0 해사인
    작성일
    08.05.17 02:11
    No. 5

    그건 이계환생영지물이기 때문입니다~ 영지의 최대 목표는 왕이나 황제니깐요!!! 이계환생영웅물이었다면 최강자&마왕을이긴 용사! 마룡을무찌른 마법사 등등이 되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달마도사
    작성일
    08.05.17 06:45
    No. 6

    그건 님이 그런 소설만 봐왔기 때문임 이계에갔다가 망한 수많은 영웅들도 있을수 있지만 그런 소설은 첨부터 작가한테 외면당하죠 결국 작가는 영웅이 성공하는 소설만 쓰게되고 님은 그런소설만 볼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영웅은 다 황제하는거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大愚
    작성일
    08.05.17 09:20
    No. 7

    강한 힘과 어느정도 세력을 이루고 있으면 천자의 자리에 아주 근접하지 않을까요? 조선 이태조만 하더라도 자신도 국내에서 손꼽히는 무장이었고 가문은 북방에 자리를 잡은 군벌이었죠. 고려태조 왕건은 뭐 드라마를 보셔서 아시겠지만 왕건도 알아주는 무장이었잖습니까? 이웃나라 일본의 전국시대에 보면 강한 세력을 이끈 사람들 중에 강한 무장이었던 사람도 있고 가장 유명한 초한지의 항우는 역발산기개세의 무장아이었습니까?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99 악멸
    작성일
    08.05.17 09:50
    No. 8

    현실에서야 개인이 아무리 강해봤자 물량공세엔 못버티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 앙마지니
    작성일
    08.05.17 13:39
    No. 9

    배경이 다르잔아요..삼국지나 이런거 아무리 여포가 인중여포라지만 장수들 20명씩 덤비면 이길까요?사람인 이상..하지마 환타지나 무협이런쪽은 아니잔아욤.ㅎㅎ 힘의 갭이 다른거에요.한사람이 몇천 몇만을 이길수 있다면 전술이 무의미해지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8 kalris
    작성일
    08.06.26 21:56
    No. 10

    재미있어야 하니까요..... 간단한 건데 어렵게 생각하시네.

    독자는 위대한 영웅보다, 자신을 대입할수있는 현실적이고

    세속적인 영웅을 원하니까요.

    장르소설은 곧 어려운 지겨운 현실에서 잠깐 벗어나기 위해

    보통 읽는, 환상 소설이니까요. 환상속에서 현실의 골치 아픈 문제나

    부조리를 가지고 와서 다룬다면, 그런것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독자는

    짜증나겠죠. 이점이 장르 소설이 가지는 이점인 동시에 말이죠.

    아직도 결코 문학으로 인정못받고, 만화책과 동급으로 책방에만

    굴러다니는 이유이겠죠. 진정한 문학은 한 인간이 몇십년간 고뇌를

    거듭해서 필생의 노력을 거듭해서 써내려가겠지만,

    장르소설은 일일 연재로 한달에 한권씩 쑥쑥 뽑아 내야 살아남으니까요.

    하여간 무쟈게 길게 썼는데, 한마디로 독자가 대리만족을 원하니

    소설이 대부분 그렇케 된거구요. 장르 소설 자체가 문학에 대해 깊이 있

    게 공부한 전문 문학도가 쓴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단순하고

    천편일륜 적으로 되있다고 봐도 되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8 니벨룽겐
    작성일
    08.07.01 19:53
    No. 11

    이계물이니까요.^^
    삼국지를 보더라도 서서 나오는 시기부터 군진이 나오기 시작합니다
    이전까지는 몇몇무장의 힘에따라서 전쟁의 승패가 결정되는 싸움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주인공은 현대에 살고 있는 사람이 넘어갔으니 그거부터가 먼치킨이조 일단 역사책 몇권(삼국지,로마인이야기,열국지,초한지...)
    끝이니.
    그리고 실재적인 이유는 독자들이 대리만족을 바라기때문이겠조.
    주인공이 매일 빌빌대면서 죽으려 한다 잘 안보져 일단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것이 문제입니다.
    만약 님이 말하는 그런 류의 소설이 대세다 그럼 그런 소설이 많이 나오겠조..ㅎㅎ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82530 홍보 골든베스트 28위, 괴이한 마을로 당신을 초대합니다. +6 Lv.30 광별 08.05.17 1,042 0
82529 요청 제발 추천좀 먼산 +4 Lv.48 死門 08.05.17 846 0
82528 요청 소설 제목 찾습니다 고수님들 부탁이요... +4 Lv.99 惡烏 08.05.17 514 0
82527 홍보 마선 홍보! +1 Lv.38 보리콜더 08.05.17 536 0
82526 추천 힐러 2부 추천합니다! 부제-동방인턴기 +2 Lv.48 yhk 08.05.17 863 0
» 요청 요즘.. 이계환생영지물에서 말이죠.. +11 Lv.99 온달곰 08.05.17 2,185 0
82524 한담 막장고에 투드좀 편입 시켜주세요. +6 Lv.9 캄파넬라 08.05.17 940 0
82523 한담 본의 아니게 낚아서 죄송합니다. +12 Lv.19 카레왕 08.05.17 976 0
82522 한담 대체 이분들은 정체는 무엇입니까? +12 Lv.6 AirAir 08.05.17 1,426 0
82521 한담 판타지 소설들 마법 쓸 때... +22 Lv.1 二성규 08.05.16 788 0
82520 한담 연참대전 탈락할 뻔 했군요 +7 Lv.1 [탈퇴계정] 08.05.16 550 0
82519 요청 가슴 조릴 소설좀 추천해주세요! +1 Lv.52 태극무검 08.05.16 417 0
82518 홍보 3장 들어 가면서 뻔뻔하게 제 글 홍보합니다. +2 Lv.9 암천 08.05.16 422 0
82517 홍보 Hero in 삼국지, 다시 시작합니다. +2 Lv.1 in*** 08.05.16 622 0
82516 추천 아아.. 가족삼인지 노다지 인지.. +6 Lv.1 혈우사신 08.05.16 862 0
82515 요청 아 안녕하세요 일단은..... +2 Lv.14 에델바린 08.05.16 397 0
82514 한담 새 고까 옷에 담배빵이.. +7 Lv.5 裸烏(나오) 08.05.16 695 0
82513 요청 선작수가 엄청 많이 떨어 졌습니다.. +13 Lv.90 키리샤 08.05.16 1,040 0
82512 추천 소설 추천합니다.. +2 Lv.50 해사인 08.05.16 939 0
82511 요청 화끈한 먼치킨이 나오는 소설~~~~ +19 Lv.1 작가온달 08.05.16 1,441 0
82510 알림 카레왕님의 망상공자 오늘자 연재는... +12 Lv.36 겨울바른 08.05.16 564 0
82509 추천 요즘 문피아에 읽을 소설들이 많아 흐뭇합니다. +5 Lv.34 고샅 08.05.16 1,563 0
82508 요청 게임속에서 딴곳으로? +7 Lv.1 메이지검객 08.05.16 544 0
82507 요청 소설추천부탁합니다. +1 Lv.1 미소년전기 08.05.16 263 0
82506 요청 추천좀해주세요 ㅁㄴㅇㄹ +3 Lv.72 Nematomo.. 08.05.16 345 0
82505 요청 글을 좀 찾아주십시오. Lv.1 [탈퇴계정] 08.05.16 191 0
82504 요청 학원물 추천바랍니다. +4 Lv.4 Allegret.. 08.05.16 786 0
82503 한담 소설의 무게와 떨어져나가는 선작수 +7 Lv.12 숲속얘기 08.05.16 670 0
82502 한담 아, 시간이여 제발 멈추어 다오! +3 Lv.65 추락기사 08.05.16 487 1
82501 한담 역시 안되겠습니다! +9 Lv.39 남철우 08.05.16 287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