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개연성과 설정에 관한,

작성자
Lv.8 박촌
작성
08.02.13 10:17
조회
402

편의상 공대를 하지 않습니다.

개연성:

①꼭 단정(斷定)할 수는 없으나 대개 그러리라고

   생각되는 성질(性質)

②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

설정:  [設定, set]

회로가 여러 개의 상태를 취할 때 그중 지정하는 하나의 상태로 하는 것. 능동적인 상태와 비능동적인 상태를 동시에 취할 때에는 보통 능동적인 상태로 한다.

소설에 있어서 너무 개연성에만 치중한다면 그것은 소설의

창의력과 마찰을 일으킨다. 소설에서 일을 진행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너무 당연하고 뻔한 설정으로 이어진다면

그것은 매널리즘에 빠지는 지름길이 된다는 뜻이다.

뻔한 이야기를 뻔하게 전개해나간다면 그 소설이 어찌 재미가

있겠는가? 지나가는 사람의 따귀를 갑자기 때리는..

알고보니 그 사람이 오래전에 돈을 떼어먹고 사라진 사람이라는

소설은 현실에서 만나기 힘든 여러가지 상황을 설정하게 만들고

진행시켜 나갈 수 밖에 없다. 그러다보면 설정을 무리하게 잡기도

하고 개연성이 떨어진다는 말을 듣기도 한다.

무협이란 동양적 판타지이다. 풀위를 달리고 물위를 걷고 심지어는

허공을 평지처럼 걷고 이삼백장의 거리를 순식간에 다가가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그런 허구를 사실적으로 보여지게 하기

위해서는 더욱 개연성이 필요한 것이다.

설정이나 개연성에서 물고 늘어지기 시작한다면

온전히 남이있을 소설은 없다고 감히 단언한다.

다만 단점보다는 장점이 많고 쟝르소설 특유의 재미가 있다면

다른 것들, 소소한 오류나 허술한 개연성은 용서가 된다고 본다.

때때로 많은 분들이 내게 쪽지를 보내어 이부분은 허술하다

이부분은 말이 안된다라고 한적이 있다. 그래서 연재하던

소설을 막을 내린적까지 있다. 하지만 그분의 지적은 옳았다.

다만 내 편협한 마음이 심하게 동요를 해서 댓글을 지우고

글을 내려버린 것이다. 물론 나는 틀렸다. 아마츄어이긴 하지만

작가라는 타이틀(순수한 의미의 정규연재)에 걸맞는 아량을

보여주지 못한 것이다.

완벽한 소설이란 존재할 수 없다고 본다.

그렇다고 모든 소설이 다 허술하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공과 허물중에서 공이 크다면 허물도 덮어지는 것이다.

정말 눈뜨고 보기 힘들정도의 설정이거나 정말 지나쳐서

못읽어주겠다는 설정이 아니고 그럴만도 하다.는 약간의

개연성과 설정이라면 눈감아 주는 아량도 필요할 것이다.

개연성과 설정이 엉망진창인 소설을 연재하며

또 올리러 가는..

설태희 올림..


Comment ' 9

  • 작성자
    IMPRIMATUR
    작성일
    08.02.13 10:32
    No. 1

    글쎄요 설정에 대해 대부분 딴지를 거는 경우는 애초에 설정된 주인공의 성격이 갑자기 돌변했을때. 그런 성격변화를 독자에게 유추시킬만한 연결고리가 있어야 되는게 그런 사건이나 설명이 없을때 독자들은 개연성이 떨어진다 애초의 설정을 지키지못한다고 합니다.
    단순히 상상력을 토대로 한 기괴한 소재나 사건이 일어났다고 개연성이 떨어지거나 설정의 오류라고 하는게 아니라요.
    예를들면 생명의 소중함 운운하며 부하나 친구등의 조연들이 적을 살해하는걸 뜯어말리던 주인공이 갑자기 수십명을 처참하게 살해한다던가. 이럴경우는 왜 주인공의 성격이 그렇게 갑자기 변했는지에 대한 단서정도는 달아주는게 독자에 대한 예의죠. 정신병자가 아닌이상에야 저런 행동을 할리가 없으니까요. 개연성의 측면에서도 초면인 사람이 주인공에게 거금을 담보도 없이 빌려준다던가. 이런경우에도 개연성이 없다고 할 수 밖에 없죠. 사실 주인공에 대해 예전부터 지켜보고 있던 사람이 주인공의 장래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초면을 가장해 접근 돈을 빌려주었더라라는 단서가 달렸다면 또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독자가 개연성 운운 설정 운운하는건 대부분 그런 이유에서 비롯된 거라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8 박촌
    작성일
    08.02.13 10:36
    No. 2

    잘 읽었습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그런 부분의 오류라면 글쓴이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작가가 보는 시각과 독자가 보는 시각이
    다를 수도 있고 무언가 복선을 심하게 깔아놓은 부작용일수도 있습니다.
    나중에 드러나게 되겠지만 대부분 복선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님의글 잘 읽었고 충분히 받아들였습니다. 참고하고 기억하겠습니다
    댓글 주신점 감사드립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IMPRIMATUR
    작성일
    08.02.13 10:40
    No. 3

    물론 단순히 특이한 소재라던가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독특한 설정을 썻다고 개연성 운운한다면 그건 그분이 판타지나 장르문학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딴지를 거는 거겠지만 말이죠. (ex. 중세배경에 레일건을 쓰는 집단등장, 마법국가vs과학국가, 총에서 총알이 아니라 마법이 나감 등등)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08.02.13 11:43
    No. 4

    개인적으로 개연성 이라는것은 독자가 소설이 허구라고 인식하지 못하도록 그럴싸하게 인과관계를 만드는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소설에서 개연성은 더도 덜도 말고 이것이 허구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 정도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그런데 개개인마다 허구가 맞다 아니다를 판단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모두를 충족시킬수 있는 개연성을 만들기가 힘듭니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작품의 분위기로 독자를 감화(?)시켜야 합니다.
    가령 만화책을 볼때, 역학적으로 불가능한 장면을 보더라도 독자는 이것을 걸고 넘어지지 않습니다. 왜냐면 만화의 코믹한 분위기에서, 그런 리얼리티는 별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죠.

    이런것 처럼 작품의 분위기로 독자를 끌어들여 독자가 보통 이상으로 개연성을 찾는것을 미연에 방지 해야지, 독자가 분위기에 감화되지 못하고 개연성을 찾는것을 자제해 달라고 하는것은 잘못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ps. 설태희님 작품을 읽던 도중에 개연성이 없다고 생각한 적은 없었던 걸로 봐서.. 기준이상으로 과도하게 개연성을 찾는 사람들에게 여유를 가져달라는 의미로 파악하고 글을썻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박촌
    작성일
    08.02.13 11:56
    No. 5

    미완의인간님 말씀이 맞습니다.
    사실 그 작품에 몰입되지 못할때 그 작품의 단점이 보이는
    것이지요. 독자를 그만큼 몰두하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들
    산만함과 리얼리티의 부족. 즉 필력이 약해서 생기는
    많은 부작용들 때문일것입니다.
    인기있는 많은 작가님들은 이거 말도 안된다 하면서도 재미있게
    읽고있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그걸로 충분하지요.
    최소량의 법칙에 의하면 가장 밑바닥에 깨어진 구멍으로
    물이 다 새어나간다고 합니다.
    자신의 단점을 가다듬고 보완하면서 장점을 개발한다면
    좋은 글을 쓸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독자를 흡입하지 못하는 작가도 반성의 여지가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IMPRIMATUR
    작성일
    08.02.13 14:14
    No. 6

    그러고보니 월하기객을 쓰신 분이시군요. 이름이 왠지 낯익은 분이다 했었는데. 선작찍어두고 틈틈이 잘보고 있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문라이더
    작성일
    08.02.13 14:46
    No. 7

    본문과 댓글을 읽어 보았지만, 제가 생각했을때의 결론은 !

    문학에 대한 이론의 부족입니다. !!
    소설의 원칙과 문법 -- 여기서 말하는 문법은 말그대로의 문법도 있지만, 구어체가 아닌 문어체로 쓰는 법을 말합니다. -- 을 제대로 지키면 되는 일입니다.
    아마추어 작가들이나 뭔가 부족하다 싶은 소설을 보면 문어체로 표현해야 될 부분을 구어체로 쓰거나 문맥의 앞뒤가 맞지 않는 등 기본적인 국문학에 대한 소양이 부족한 글들이 많습니다.

    부족하면 채우면 될 일이지만, 뭐가 부족한지 모르면 안될 것 같습니다.
    독자들 역시 마찬가지 그냥 재미로 읽는 것도 좋지만, 독자들의 소양도 분명히 있습니다. 내용은 생략...

    ^^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4 쉬엔
    작성일
    08.02.13 18:34
    No. 8

    개연성이 소설의 창의력과 마찰이 된다는 부분이 좀 묘하다고 생각되는군요.
    제가 재미있게 읽었던 SF단편을 예로 들자면..
    그 소설은 어느 날 사람들마다 각기 다른 시간에서 살게되는 상황을 그린 글인데..
    가, 나, 다 의 인물이 있다면...
    현실에서는 가, 나, 다 세 사람 전부 똑같은 1분, 1초를 살고 있지만..
    그 소설상에서는 '가'의 1초가 '나'의 1분, '다'는 1시간 이런 식으로 어느 날 갑자기 바뀌죠. 상당히 참신한 상상력이라고 생각되더군요.
    '나'를 정상이라고 가정한다면... '가'의 시간은 '나'보다 60배나 느리게 흐르고, '다'의 시간은 '나'의 시간보다 60배나 빠르게 흐르죠.
    '나'가 볼 때 '가'는 너무 빠르게 움직이고, '다'는 너무 느리게 움직이게 되는 상황이죠.
    이런 상황에서 지금까지 처럼 살고 있다고 이야기가 진행된다면 그것은 개연성이 없어지지만..
    그 변화를 타당성있게 그려내면 개연성이 있는 글이 되는 거라고 생각됩니다만...

    '개연성'과 '창의성'의 충돌하지는 않는 것이 아닐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 고중일보
    작성일
    08.02.13 21:35
    No. 9

    개연성과 설정에 매달리면 창의성이 떨어져서 글이 빤해진다... 흠..
    아무리 생각해도 그건 아닌것 같군요^^;; 개연성과 설정을 갖추는 과정역시 창의성이 필요한데 말이죠. 그리고 재미만 있다면 사소한 오류는 그냥 넘어간다...과연 옳은 것일까요? 장르소설이라는 분야의 특성상 일단 재미가 받쳐주면 독자들은 무척이나 관대해 지긴합니다만, 틀린줄 알면서 그것을 그냥 넘어간다면 그것은 도리어 장르소설을 망치는 길이 아닐까 합니다. 뭐 하지만 충분한 재미만 있다면 앞서 말한바와 같이 소소한 오류는 독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습니다.
    그래도 글을 쓰는 사람은 최소한 자기가 보이는 것에 대한 오류는 고쳐주는게 예의 아닐까요? 그것조차 하지 않는다면 자격미달이라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8930 홍보 천상천하 더 레퀴엠 1편올립니다, +2 Lv.6 토르가왔다 08.02.13 189 0
78929 요청 JiiiiiiiiiiiiiLMun(응?) +4 Lv.99 파랗게 08.02.13 398 0
78928 추천 같이 달리실 분만 보십시오! +1 Lv.1 도시남아 08.02.13 783 0
78927 추천 숭인문 추천합니다. +11 Lv.1 슬플때웃는 08.02.13 750 0
78926 요청 요즘 대세는 환생물 인가요? +8 Lv.1 [탈퇴계정] 08.02.13 1,501 0
78925 홍보 남자는 주먹!! +4 Lv.72 김갑주 08.02.13 618 0
» 한담 개연성과 설정에 관한, +9 Lv.8 박촌 08.02.13 402 0
78923 추천 그냥,,, 완결작 두개 추천입니다 +5 Lv.31 설원순례자 08.02.13 1,692 0
78922 홍보 드디어 카테고리 신청했습니다 ^^~ +2 Lv.1 Apollyon 08.02.13 220 0
78921 한담 2월 12일 연참대전 집계! [수정] +15 Lv.9 림랑 08.02.13 497 0
78920 추천 견고하고 굳건한 정신력을 가진 사람만 보세요. +20 Lv.1 [탈퇴계정] 08.02.13 1,524 0
78919 추천 우리 어여쁜 박사 너무 가여워요(관심 끌어라 얍!) +13 Lv.27 디노스 08.02.13 1,342 0
78918 추천 그래.....냉정하고 비정한 니가 최고다. +3 Personacon 네임즈 08.02.13 1,019 0
78917 요청 선무 보다가 갑자기 떠올린건데요. 선우란이 모용... +4 Lv.38 하늘여행 08.02.13 949 0
78916 요청 ......그 날이 오고 있다... +9 Lv.1 [탈퇴계정] 08.02.13 320 0
78915 홍보 환생물 입니다+_+! +29 Lv.38 퀘이사T 08.02.12 2,256 0
78914 추천 묵직한 분량, 몰입하여 정신없이 읽을 글을 원하십... +3 Lv.27 마진룡 08.02.12 1,561 0
78913 한담 제 무협 선호작을 알립니다 +3 Lv.1 사이티크 08.02.12 536 0
78912 추천 느낌 있는 무협 하나만 추천합니다! +1 Lv.1 사이티크 08.02.12 674 0
78911 요청 여성이 주인공인 무협소설 없을까요? +15 Lv.1 modified 08.02.12 790 0
78910 추천 환생,리셋,이계이동 한줄추천 12개 +23 Personacon 태풍탁신 08.02.12 2,994 0
78909 한담 독자들이 잡담 좋아하는 글쟁이를 괴롭히는 방법. +24 Lv.1 유후(有逅) 08.02.12 647 0
78908 요청 연참대전 시작한 건가요? +1 Lv.1 로드아멜 08.02.12 253 0
78907 요청 ...추천을 바랍니다 ......!! +3 Lv.2 개벽의별 08.02.12 318 0
78906 홍보 영지발전 전쟁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3 Lv.43 푸른고구마 08.02.12 1,203 0
78905 알림 신난다, 강호유정 앤이 떳구나. 어서 보러 가야지 +6 성구 08.02.12 668 0
78904 요청 음모와 불신이 난무하는 소설없나요? +5 Personacon 태풍탁신 08.02.12 281 0
78903 요청 더소드나 귀족 클럽 같은 잔잔한 소설 추천원해요 +2 Lv.33 세월 08.02.12 373 0
78902 요청 여러분들의 지식을 요청해요! +3 Lv.99 파랗게 08.02.12 367 0
78901 홍보 모두, 자신의 미래를 위해 검을 뽑고 싸워라. +4 Lv.99 Elphid 08.02.12 304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