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서울생활과 사투리..

작성자
Lv.68 장과장02
작성
17.11.14 04:36
조회
668


전에 했던 얘기 같긴 한데, 스무살에 서울와서 충격받았던 것들.


아저씨 - 우리동네는 학생, 총각이라고 부릅니다. 나이가 한 사십줄은 돼야 아재지요. 서울 오니 아무나 아저씨라고 막 부르던데 고등학교 졸업한지 두세달 된 핏덩이한테 아저씨라니요.


시골 - 서울경기 말고는 다 시골이라 부릅디다. 시골은 농사짓는 게 시골인데 전국에 몇 개 안되는 광역시보고 시골이라니. 듣기 영 안 좋습니다. 중학생 과외하는데 대구가 과수원 밭인 줄 알고 있고.


서울 사투리 - 서울 사람들 손닦고 발닦습니다. 아니 손을 씻어야지 왜 닦는대요. 내가 말해주기 전에는 사투린 줄 아는 사람이 한 명도 없더라...


처음 일이년은 자격지심에 서울말을 따라해보려 했으나...


미팅가서 '서울말'로 열심히 떠들고 있던 저와 동향친구에게


'왜 같은동네라면서 사투리가 달라?'


라는 질문을 듣고 좌절.


귀납적으로,


여성은 두세 달이면 상당히 자언스럽게 서울말을 쓰다가, 또 고향사람 만나거나 하면 서울말과 고향말을 자유자재로 바꿔가며 씁니다.


남성은 대체로 두 부류인데


저처럼 일찌감치 포기한 부류가 있고,


어중간하게 섞어 쓰다가 종래는 도무지 연원을 구분할 수 없는 요상한 말투로 안착하는 부류가 있습니다. 보통, 본인은 '나 서울말 안 쓰는데?' 라고 하며, 안타깝게도 자기가 쓰는 외계어에 대한 자각증상이 없습니다.


뭐, 저도 억양 자체는 상당히 얌전해져서 서울가면 저보고 사투리 쓴다 하고 집에 가면 서울말 쓴다 하는데, 이건 어쩔 수 없는게 대구경북 말투는 무슨 말을 해도 서울사람 듣기에 '저 사람 화났나보다' 가 되기에 의사소통을 위해 순화를 많이 했습니다.


보통 방송에서 듣는 경상도 사투리는 영화 '친구' 에서 나온 부산경남말인데 사실 경북 사투리와 억양이 꽤 다르고, 부산말이 훨씬 찰지고 듣기 좋습니다.


그리하야...


십수 년이 지난 지금은 그냥 뭐, 초탈해있죠.

그동안 알게된 사실이


일단 이십대 중반까진 수도권 사람 절반 이상이 서울촌놈입니다. 여기서 촌놈이란 자기 지역을 제대로 벗어나본 적이 없어, 대화해보면 다른 지역 물정을 전혀 모른다는 뜻입니다. 뭐 수도권 내에서 웬만하면 다 해결되니 이해는 갑니다만. 고로 지방에서 상경했다고 쫄 이유가 전혀 없어요.


그리고, 어차피 서울 사는 이십대부터 사십대 초반까지는 지방 사람이 더 많습니다. 인서울 대학을 오기도 하고 직장때문에 오기도 하고 아무튼 지방 출신 젊은이들 태반이 수도권에 살아요. (웟세대가 아직 정정하셔서 아직은 괜찮지맛 일할 사람이 다 빠져나가니 한 이십년 지나면 심각한 문제가 될 겁니다)

한 사무실에서 전라도말 경상도말 충청도말 다 들리는데 굳이 서울말 쓸 이유가 어디 있답니까.


사투리 쓴다고 타박하는 사람이나 쪽팔려하는 사람이나 물정 모르는 사람들입니다.




Comment ' 20

  • 작성자
    Lv.71 타타르
    작성일
    17.11.14 05:18
    No. 1

    ?? 요새도 사투리 쓴다고 타박하는 사람 있나요? 표준어야 공석에서만 쪼매 쓰면 되죠. 희한한 분들@@

    찬성: 5 | 반대: 1

  • 작성자
    Lv.99 [탈퇴계정]
    작성일
    17.11.14 07:02
    No. 2

    사투리에 베인 억양은 어쩔수 없어요.
    그 발음 교정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립니다.
    그리고 누구도 방언쓴다고 나무라는 경우는 드물죠.---가끔 무개념 초딩같은것들이 방언쓴다고 갑질하기는 합니다.

    서울말씨도 (바닷가 방언에 비하면)은근히 느리고, 어조가 낮은편입니다.

    찬성: 2 | 반대: 2

  • 작성자
    Personacon 빨간몸빼
    작성일
    17.11.14 08:58
    No. 3

    제 경험으론 여성이 남성보다, 호남이 영남보다 빨리 서울말을 쓰더라구요.
    그래서 왜 그럴까 생각해보니 더 절실한 쪽이 서울말을 빨리 쓴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동의 안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여성(특히 젊은)분들은 사투리 쓰는거에 엄청 스트레스 받고 , 호남쪽도 불이익이 있다고 느끼는 듯 합니다.
    남녀, 지역의 구분없이 자신들의 고향말을 맘껏 해도 불이익이 없다고 느끼는 사회가 빨리 되기를......

    찬성: 8 | 반대: 2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水流花開
    작성일
    17.11.15 01:37
    No. 4

    호남 방언의 억양은 경상도 방언과 달리 억양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곧 서울방언의 억양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경상도분들은 아무리 애써도 원래의 억양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더군요.

    절실함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언어의 차이 때문입니다.

    찬성: 1 | 반대: 1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빨간몸빼
    작성일
    17.11.15 13:49
    No. 5

    경상도 아가씨들 서울와서 3년도 안되서 완벽하게 서울말 구사합니다. 남자들은 안그렇죠.
    언어의 차이도 있겠지만 절실함이 더 크다고 봅니다. 예전 손예진씨 예능에 나와서 서울 생활 1년 만에 서울말 했다고 하더군요. 강호동씨는 수십년 지났지만 여전히 경상도 억양 남아있구요.
    강호동씨는 경상도 억양을 쓰는게 방송생활에 불이익이 거의 없는 겁니다. 불이익이 있어도 충분히 감당할 수준이거나......
    만약 강호동씨의 억양때문에 MC섭외가 어렵고 방송출현이 안된다면 2년도 안되서 완벽한 서울말 구사할거라 봅니다.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24 강난독
    작성일
    17.11.14 09:34
    No. 6

    E의 2승과 2의 E승도 구분 못하는 서울말...
    촌놈이라 행복합니다 -_-;;

    찬성: 1 | 반대: 3

  • 작성자
    Lv.5 부지화
    작성일
    17.11.14 10:03
    No. 7

    저는 서울 촌놈인데도 부모님 두 분 다 경남 출신이시라 그런지... 다들 부산이나 경남에서 상경한 줄 알더라고요, 음음.
    사투리 좀 쓰면 어때요. 그게 우리 언어 생활을 풍성하게 만드는 요소가 되는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7 나린가람
    작성일
    17.11.14 11:16
    No. 8

    서울도 어려 보이면 다 학생이라 하고 손발도 물수건이나 물티슈 쓸 때 아니면 다 씻으라고 합니다.
    영남 남성들이 사투리가 안고쳐지는건 맞는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느낌으론 대구, 부산 남성분들은 사투리에 자부심 같은 게 있더라고요. 대구, 부산 사투리 가지고도 서로 싸우던데. 사실 살면서 제일 이해 안되던 자부심 중 하나죠.

    찬성: 3 | 반대: 3

  • 작성자
    Lv.8 하켄
    작성일
    17.11.14 16:42
    No. 9

    닦다-
    1.
    때, 먼지 녹 따위의 더러운 것을 없애거나 윤기를 내려고 거죽을 문지르다.
    이를 닦다
    구두를 닦다
    방바닥을 걸레로 닦다.
    2 .
    거죽의 물기를 훔치다.
    눈물을 닦다
    땀을 닦다
    수건으로 얼굴을 닦다

    표준어에도 사람의 신체에 묻은 때 등을 닦을 때 쓰는 단어라고 쓰여있는데 이게 사투리라구요?
    정말 많은 분들에게 사람 손은 닦는다란 표현 쓰면 안 된다고 말해주고 다니셨나요?;

    찬성: 4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8 장과장02
    작성일
    17.11.14 20:14
    No. 10

    수돗물 틀고 손 씻는 거랑 물수건으로 손 닦는 거랑 같지는 않습니다.

    찬성: 0 | 반대: 3

  • 답글
    작성자
    Lv.8 하켄
    작성일
    17.11.15 10:18
    No. 11

    그럼 위에서 수돗물 틀고 씻는 거라고 말을 하셔야죠. 그리고 닦는다란 표현은 수돗물 틀어서 닦는데에도 쓰입니다. 국어사전을 갖고 와도 부정을 하시니 이건 뭐 얘기가 될 수 있나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하켄
    작성일
    17.11.14 16:43
    No. 12

    그리고 사투리 심한 사람들은 정말 서울 사람이랑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경우 있습니다.
    서울 생활을 할거면, 적어도 서울 사람과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는 수준까지 서울 사람들의 말을 배워야 하는게 당연하지 않나요?;;
    미국가서 생활하면서, 어차피 외국인들도 많다! 굳이 영어 배울 필요가 뭐가 있나! 하시나요...?;
    게다가 우리나라의 표준어가 곧 서울말 아닌가요....;

    찬성: 3 | 반대: 4

  • 답글
    작성자
    Lv.68 장과장02
    작성일
    17.11.14 21:11
    No. 13

    겪어본 바 조금씩만 신경쓰면 됩니다. 서울서 반년 정도만 순화하면 제주도말 빼고는 서로 다 알아먹어요. 차라리 중국어 일본어 새로 배우는 게 더 쉬울 정도인데, 서울 왔으니 서울말 배워라! 라는 건 좀 자닌함

    찬성: 1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8 하켄
    작성일
    17.11.15 10:20
    No. 14

    그게 바로 서울말을 배운 겁니다.
    그리고 중국어 일본어 배우는게 더 쉽다니.. 할 말 자체가 없네요. 이 말은 안 하려고 했는데, 자신이 생활하는 지역의 언어를 배우려는 것 자체가 자격지심이라고 하시는 그 마인드 자체가 자격지심입니다..
    자신이 생활하는 지역의 언어를 배우는 건 당연한 겁니다.

    찬성: 1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68 장과장02
    작성일
    17.11.15 20:01
    No. 15

    글을 제대로 안 읽으신 듯하네요. 사투리 진짜 심한 사람 아니면 억양 약간 줄이고 모르는 단어만 좀 가려 쓰면 의사소통 잘 됩니다. 저 있던 곳에선 각자 자기 말 쓰고, 그대로 서로 잘 알아들으며, 아무도 그걸 서울말이라고 안 합니다.
    그리고 사투리와 외국어는 다릅니다. 전라도 살면 전라도
    사투리 배워 쓰고 제주도 살면 제주도 사투리 배워 쓰실 셈인지요. 이효리는 왜 제주도 사투리를 안 쓸까요. 영국사람이 미국가면 미국식 영어 써야 하는 걸까요.
    거주지역 언어를 배우는 건 분명 바람직한 일이지만 당연한 일이 아니라 지난한 일이고, 그걸 강요하다시피하는 건 폭력적인 사고방식입니다.
    미국가면 미국 사람은 영어 못한다고 적어도 겉으로는 뭐라고 하지 않습니다. 건너 들은 말이 이거였죠. '나는 미국사람이니 당연히 영어를 하고, 당신은 한국사람이니 영어를 잘 못 하는 건 당연하다. 오히려 나는 영어밖에 못 하는데 당신은 한국말도 하고 영어도 쫌 하니 당신이 더 대단하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68 장과장02
    작성일
    17.11.15 20:10
    No. 16

    그리고 위에 쓴 자격지심은, 지방에 사는 사람이 서울말 쓰는 사람에게 위축되는 건 흔한 일이고 당시엔 저도 예외가 아니었을 뿐입니다. 표준어의 위세(?)랄까요.
    상경한 사람들 대부분 바꾸려 노력하지만 십중팔구 실패하며 나도 실패한 사람이다- 라고 분명히 써 놨는데 제가
    쓸데없는 부심 부리는 마냥 이상한 사람을 만들고 싶으신 거 같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 하켄
    작성일
    17.11.14 16:50
    No. 17

    닦는다와 씻는다의 차이를 엄격하게 한다면, 둘 다 무언가를 깨끗하게 만드는 행위에서 동일하지만 우리가 평소 사용하는 어감상, 씻는다는 물을 많이 이용해서 세정을 할 때에 주로 사용되고. 닦는다는 물을 사용하느냐 안 하느냐를 떠나서 범용적으로 쓰이는 정도.
    그 정도의 차이입니다.

    찬성: 3 | 반대: 1

  • 작성자
    Lv.8 하켄
    작성일
    17.11.14 16:55
    No. 18

    아 물론!
    서울 사람과 원활히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하에서 사투리 쓰며 서울 생활을 하는건, 언어의 다양성 측면에서도 그렇고 개인적으로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2019
    작성일
    17.11.15 02:48
    No. 19

    다른 것보다 학생보다 아저씨 소리를 많이 듣는다는 건 진짜 액면가 탓인 것 같은데요... 저는 처음에만 학생 소리 좀 많이 들었더랬죠.(시비 아님)

    찬성: 3 | 반대: 0

  • 작성자
    Lv.55 흰색코트
    작성일
    17.11.15 21:20
    No. 20

    성별이 어투 고치는데 영향을 주나요? 그냥 개인차일거 같은데...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6957 만약에 이런 사람이 있다면? +13 Lv.96 강림주의 17.11.25 680
236956 막무가내 삭제신공 문피아 +8 Personacon 위드잇 17.11.24 733
236955 모든 과정을 전부 생략.. +23 Lv.50 궤도폭격 17.11.24 843
236954 주인공의 비극성을 높이는 유형 +7 Lv.52 과몰입주의 17.11.24 715
236953 기계가공쪽에서 일하시는 분? +4 Lv.67 bujoker 17.11.24 482
236952 블프 세일 +5 Lv.60 카힌 17.11.24 519
236951 글쓰시는 분들은 헌터물 혹은 레벨 룰이 들어가는 소설을... +5 Lv.51 페어럭키 17.11.24 711
236950 워... 한국 농구 쩌네요.ㄷㄷㄷ +1 Lv.25 시우(始友) 17.11.23 726
236949 곧 블랙프라이데이네요. +7 Personacon 윈드데빌改 17.11.23 703
236948 [악마전기]를 읽고서 생각한 건데 Lv.55 흰색코트 17.11.23 549
236947 머리가 어질어질 하네요. +4 Personacon 윈드데빌改 17.11.23 605
236946 눈이 내립니다. +10 Personacon 적안왕 17.11.23 526
236945 호구는 무엇인가, 발암은 무엇인가. +13 Lv.99 고철아주큰 17.11.23 836
236944 남김없이 불태웠네요. +8 Lv.74 김주광 17.11.23 674
236943 소설 추천해주세요. +3 Lv.88 Finger8 17.11.22 598
236942 실존인물에 실제 역사에 무협물 +28 Lv.5 부지화 17.11.22 776
236941 와 이국종 교수 욕하는 인간들 +25 Lv.59 세마포 17.11.22 930
236940 역시 꽁돈이 최고~!!! +8 Lv.60 카힌 17.11.22 617
236939 아침 저녁 건강식 소개 +9 Lv.60 카힌 17.11.22 477
236938 동천 보신분 계신가요? +10 Lv.1 은마룬 17.11.22 616
236937 구매했지만 잘 사용 안하는 것들 +8 Personacon 적안왕 17.11.22 847
236936 진짜 요즘 볼게 없네요 +10 Lv.1 [탈퇴계정] 17.11.22 773
236935 작품 제목을 잊어버려서 못찾고있어요 +1 Lv.5 n2******.. 17.11.21 630
236934 네x버 웹툰에 신암행어사 떴어요. +11 Lv.88 Finger8 17.11.21 796
236933 방금 지진나서.. +8 Lv.88 Finger8 17.11.21 668
236932 문피아의 로맨스는 볼 수가 없다!!! +26 Lv.99 심해관광 17.11.21 802
236931 자기전에 하는 일 +2 Lv.17 김프레인 17.11.21 598
236930 선배님라는 단어 그느낌 +8 Lv.86 작약 17.11.20 617
236929 부메랑 +4 Personacon 적안왕 17.11.20 482
236928 독점과 비독점의 차이를 체감했습니다 +8 Lv.48 노란괴물 17.11.20 931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