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88 Finger8
작성
17.09.20 15:05
조회
643
대학면접에 대하여 팁좀주세요.

찾아보니까 웃으면서 자신있는태도를 취하라는 말 말고는 나오는게 없어요..

예상질문이나 유의할 점 같은거나 다른 팁 있나요?


Comment ' 15

  • 작성자
    Lv.22 마타리
    작성일
    17.09.20 15:15
    No. 1

    핵심은 '도대체 왜 거기인가'입니다.
    즉, 본인이 왜 그 대학, 그 과에서 공부하고 싶은가 그걸 미리 고민해 두셔야 합니다. 소설을 짓더라도 말이죠.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58 deekei15
    작성일
    17.09.20 15:48
    No. 2

    망설이지 말 것. 더듬는건 심하지않으면 통과
    이유와 목표가 확실할 것.
    자신감이 넘치는 태도를 보일 것.
    여기까지가 교과서 급 팁이고

    제 팁은 집중입니다. 딴짓하거나 시선피하는게 보이면
    감점을 먹는 대학,회사가 많은 것 같습니다.

    찬성: 1 | 반대: 0

  • 작성자
    Lv.34 바람의책
    작성일
    17.09.20 15:59
    No. 3

    1. 면접 질문의 반 이상은 자기 소개서에서 나옵니다.

    자기 소개서에 눈에 띄는 사항이 있으면 그걸 물어보죠. 자격증이 있으면 왜 땄는가. 그게 여기 지원한 것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나. 봉사활동이나 특기할 활동이 있다면 왜 했고, 그게 지원한 곳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 대답해야 합니다.

    2. 지원한 곳을 왜 지원했고, 자기 이력과 소개에 맞춰서 자신을 뽑아야 하는 이유(꾸준히 관심있게 보던 곳이라 이러한 것을 준비했다)를 말할 줄 알아야 합니다.

    3. 전공 관련 질문이나 직무 관련 내용.

    한 20-30%정도는 꼭 나옵니다. 대학이니까 지원한 학과 관련 배경 지식이 얼마나 있나 물어보겠죠. 학과 관련해서 기본적인 상식은 공부하시길. 또 대학 홈페이지와 대학 신문 등을 찾아서 정리하시고, 대답할 땐 평소 관심이 있어서 이런 걸 알고 있었다. 라고 대답하시면 됩니다.

    4. 나머지 질문은 시사 관련 질문입니다. 주요한 시사 이슈나 마이너해도 지원한 곳과 관련있는 시사는 알아두시길.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4 바람의책
    작성일
    17.09.20 16:03
    No. 4

    기본적인 예절이나 면접 시 태도, 주의할 점
    같은 건 면접 특강이라도 들으시길. 인터넷 강의도 찾아보면 나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zacks
    작성일
    17.09.20 16:01
    No. 5

    예상질문은 인터넷과 서점에서 교재를 찾아보시면되고여... 직접 말해보는게 중요합니다. 막상 열심히 외우고 공부해도 면접관 앞에가면 머리가 멍해지고 입이 얼어붙는 사람들 많거든요. 가족이나 같이 준비하는 친구들이랑 예상문제를 가지고 말하는 연습을 미리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평상시 남앞에서 토론, 발표잘하고 논리정연하게 자신의 생각을 쉽게 말할 줄 안다면 크게 걱정안하셔도 되고요.

    제 때는 질문이 지하철역 앞에 흔히 있는 장애를 가진 거지를 봤을 때 도와주어야 하는냐 마느냐 였습니다. 무심코 도와주어야한다라고 대답했다가 장애인코스프레하는 사람이 굉장히 많고 직장인 월급보다 구걸로 더 많이 벌어가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도와야 하느냐라고 되질문해.....

    예상밖에 문제라 멍해졌던 아픈 기억이 있네요.

    의외의 질문을 받더라도 긴장하지 말고 바로 대답하지 않아도 되니깐 잠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또박또박 자신있게 말하는게 중요하죠. 그럴러면 많이 말해보는게 중요합니다. 생각하는것을 입 밖으로 내는 것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엄청 크게나거든요.

    찬성: 0 | 반대: 1

  • 답글
    작성자
    Lv.36 글객
    작성일
    17.09.22 18:11
    No. 6

    장애를 가진 이들은 돕는건 정부가 장애를 가진 사람의 수를 파악해서 지원할 일이고, 거지를 돕는건 동정심이 발하면 도우면 되고 미심쩍으면 돕지 않으면 되지 않을까요.

    그런데 예상질문을 서점과 교재를 이용해서 공부한다는건, 실제 필요한 국영수 성적을 위한 시간도 빼앗기고 비용도 들며, 정말 자기 생각을 말할 때의 유연성도 잃는다는 점에서 좋지 않은 것 같아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6 글객
    작성일
    17.09.22 18:11
    No. 7

    EBS 정도는 좋은 것 같습니다. 논술이나 면접 같은것들 EBS가 괜찮았던걸로 기억해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99 zacks
    작성일
    17.09.22 23:22
    No. 8

    아..정확한 질문은어떻게 할거냐라는(도울거냐 안도울거냐)라는 거였고... 전 답변은 도와야한다고 하고 그 후 되질문에는 물론 그런사람(가짜장애인)도 있겟지만 그 때문에 피한다면 정말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돕지 못할 수도 있다는 식으로 대답했던 기억이 있습니다.(실제로는 적선 잘 안합니다 ^^;) 물론 엄청버벅였지만..
    그리고 면접은 수능마치고 난 뒤에 공부하는거라...딱히 국영수 성적을 위한 시간을 뺏기지는 않죠. 또 인터넷이나 책에 나와 있는 질문,주제를 가지고 실제로 말하는 연습을 하면 좋다는거죠. 답을 외우라는게 아니라..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6 글객
    작성일
    17.09.23 01:33
    No. 9

    멋진 대답이네요.
    그런데 수시 면접 시기는 아마 수능 전이었던걸로 알아요.
    안해봐서 잘 모르겠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묘한(妙瀚)
    작성일
    17.09.20 19:33
    No. 10

    십년도 더 된 기억을 되살려보자면
    문제 풀고 설명하고 한 후에 인성면접 받은게
    왜 이 학과를 택하였는가
    이루고자 하는 꿈이 무엇인가
    우리 학교 홈페이지에 들어와봤는가
    학교의 이념을 아는가(홈피에 걸려있는 그 한줄짜리 문구)
    기억나는 교수님 있는가(어느 교수님이 무슨연구를 하는걸 보았고 이에 깊은 흥미를 느꼈다)
    그 외에는 뭐 상활 설정에 따른 대답.

    자신감이 중요합니다
    밝고 당당한 모습으로 임하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二月
    작성일
    17.09.20 20:21
    No. 11

    학교에 대해 공부하시고, 학과에 대해 공부하시고, 꿈에 대해 얘기하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9 ruvstar2
    작성일
    17.09.20 21:50
    No. 12

    전형에 따라 달라요~ 중요한건 외모,말 재간, 자신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피리휘리
    작성일
    17.09.20 22:37
    No. 13

    아는 형 앞에두고 예습하고 가세요 그럼 됩니다.

    찬성: 0 | 반대: 1

  • 작성자
    Lv.36 글객
    작성일
    17.09.22 17:53
    No. 14

    저는 대학 면접을 안 봐서 모르겠는데, 아는 놈이 면접한걸 들어보니
    자기 성적보다 좀 아래의 대학에 가서 면접을 봤는데
    '그럭저럭' 대답했더니 합격했더라는 느낌이었습니다.
    질문도 그리 까다롭지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대학 입결에 있어서는 입학하는 학생의 성적이 학교의 성적이니까요.
    실제 등록을 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으니 너무 높은 성적의 학생은 좀 꺼려지겠죠.
    평소 입결의 0.5등급 정도 높으면 면접에서는 상당히 유리하다고 봅니다.
    1등급 정도 높으면 부담스럽다고 여겨집니다.
    그만큼 낮은 경우들도 비슷합니다.

    하지만 낮은 경우에도 면접은 원석을 가려내려고 하는 일이니 뽑겠지요?
    그렇다면 면접관의 관점은 이 학생이 우리 학교에 들어와서 얼마나 잘할 수 있을까 입니다.
    학생의 졸업시기에 취업 성적따위도 중요하지만, 일단은 수업을 잘 들을 수 있느냐가 중요하겠죠.

    저는 공대생이니 공대생의 경우로 말하자면 전공의 바탁이 될 기초 수학 과학의 실력은 어느 정도 되며, 전공하려는 학문에 대해서 얼마나 관심이 있고 어느 정도 지식이 있어서 수업을 잘 들을 수 있을지, 말을 조리있게 잘하고 논리적인 것을 보니 학습도 잘할 것 같을 것인지. 그런걸로 조금 낮은 등급을 커버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은 교육으로 먹고 사는 곳이라는 점을 헤아려서 면접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잘 생각해보세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6 글객
    작성일
    17.09.22 18:06
    No. 15

    솔직히 대학 입장에서 정시란 참 편할 수도 있습니다. 정시로 들어온 학생들의 실력은 거의 확실히 검증되어 있으니까요. 실제로 정시 성적이 높은 친구들이 수학 과학(전 정시 아닙니다 자화자찬 아니라 이겁니다.)같은걸 훨씬 더 잘하더군요. 하지만 그런 친구들이 너무 공부만 해서 성적이 좋은 경우가 많다보니 막상 대학에 입학시켜놓고 보니 공부만 알고 자기를 몰라서 방황하는 녀석들이 많더라는 겁니다. 정부에서 수시를 확대하는 취지는 사교육비 완화라는 표를 얻기 위한 적당한 구실이지만 대학에서 입장은 '방황하지 않고 전공에 열심히 몰두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정도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가 자꾸 수시를 확대하라고 하면 대학입장에서는 실력을 검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성적 좋은 친구는 종합 전형의 자소서를 살펴보니 전공 관련 활동이 아주 짱짱하고 대회 성적도 좋고, 말도 조리있게 잘 적었고 참 좋더라 이걸로 그냥 뽑자라고 해서 뽑아버리는데

    이런 경우 과고 외고같은 대회 활동하기 좋고 학교에서 여러 전형을 지원하기 좋은 학교가 더 유리해지고 또 이런 학생부 종합 전형을 위한 사교육이 확대될 수 있어서 사교육비 완화라는 겉만 좋은 구실이 실현될지는 저어스럽습니다.

    정말 대학에서 좋은 인재를 뽑고 양성해서 나라를 위한 인적 자원을 양성하고자 한다면 입시 전형 비율이 적당히 균형을 잡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정시 비율이 너무 축소된거 같네요. 그리고 교육제도가 좀 개편되었으면 좋겠네요. 저는 고등학교 때 체력이 많이 나빴는데 강제 자율학습 때문에 더 악화되서 대학에 와서도 체력 때문에 많이 힘드네요.

    뭐 넋두리였습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6310 랩 소설..제목이? +2 Lv.75 인외 17.09.23 498
236309 돌아온 락홀드, 확연히 드러난 약점은? +4 Personacon 윈드윙 17.09.23 508
236308 불현듯 떠오른 한가지 깨달음 +9 Lv.96 강림주의 17.09.22 745
236307 파리 바게트 제빵사 사태와 언론의 대응에 대해... +9 Lv.45 야웅이 17.09.22 832
236306 책제목을찾습니다. 도와주세요. +6 Lv.83 승천하라 17.09.22 601
236305 도움요청, 변기에서 물이 샙니다. +9 Lv.60 카힌 17.09.22 740
236304 소설제목을 찾아요 20강인가 19강 무기 들고있는 주인공! +5 Lv.54 0x*** 17.09.22 678
236303 면도 +5 Lv.55 짱구반바지 17.09.21 617
236302 전공,기사시험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11 Personacon NaNunDa 17.09.21 636
236301 이런내용의 현대소설이 있을까요? +11 Lv.78 벤팁 17.09.21 752
236300 기회가 세번은 온다던데.(우울해서 주저리주저리) +11 Lv.52 사마택 17.09.21 907
236299 갑을 +2 Lv.52 사마택 17.09.21 617
236298 존댓말 +9 Lv.25 가토스 17.09.21 607
236297 중간에서 임금 떼어먹는 작자들이 얼마나 해먹는건지... +7 Lv.25 시우(始友) 17.09.21 935
236296 저두 소설을 찾습니다. +2 Lv.78 열씸히살자 17.09.21 531
» 대학면접에 대하여 팁좀주세요.. +15 Lv.88 Finger8 17.09.20 644
236294 우각 십전제 처럼 화끈한 소설 추천좀요 +5 Lv.59 카카로우우 17.09.20 790
236293 이름짓는게 어려운가요? +1 Lv.48 도바민 17.09.20 594
236292 모바일에 후원하기가 생겼던데.. +11 Lv.88 Finger8 17.09.20 748
236291 사이다에 중독되는 독자들 +7 Lv.48 적요寂寥 17.09.20 1,043
236290 마요나라 페르미온 입자 증명 +6 Lv.34 바람의책 17.09.19 662
236289 갑자기 폭우가! +13 Personacon 적안왕 17.09.19 681
236288 스티븐 킹 천재 맞네. +4 Lv.52 사마택 17.09.19 887
236287 소설을 찾습니다 +2 Lv.70 검은방 17.09.19 500
236286 판소 제목을 찾습니다. 주인공 프레이 +2 Lv.8 kk**** 17.09.19 622
236285 어제겪은 무서운 이야기 +13 Personacon 피리휘리 17.09.19 774
236284 3회 공모전 대체 어떻게 결론났나요? +3 Lv.72 풍지박살 17.09.19 926
236283 공인인증 하소연 +7 Lv.60 카힌 17.09.19 569
236282 삼겹살 먹을때 꼭 상추와 마늘 야채 많이 드세요 (from k... +3 Lv.5 Jeffbaek 17.09.19 722
236281 본인이 댓글을 단 작품의 회차를 알 수 있었으면 하네요. +4 Personacon 플라나니아 17.09.19 628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