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가들의 귀농 편견

작성자
Lv.77 우와와왕
작성
24.03.30 00:14
조회
233
요새 귀농 컨셉글보면 도시에서 낙오되거나 실패하거나적응못하거나 등등의 핑계로 외서 도시보다 살기좋고편한 시골 생활을 즐기는 걸로 나오는데

시골생활 안해봤으면 유튜브나 자료조사라도 해볼것이지.무슨 밭에 씨 뿌리면 다 자라고 개빡센 수확도 혼자서 하루만에 편히 다하질 않나 그리고 주변사람들과 한가한 일상을 지내지않나 진짜 귀농은 돈없어도 노력을 안해도 편하게 자연속에서 여유롭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건지 귀농 컨셉이면 좀 시골 생활 자료조사좀 하고 했으면..


Comment ' 7

  • 작성자
    Lv.24 별랑(別狼)
    작성일
    24.03.30 01:04
    No. 1

    내. 말. 이.

    찬성: 3 | 반대: 3

  • 작성자
    Lv.42 흙색
    작성일
    24.03.30 13:07
    No. 2

    전 본가가 소위 말하는 시골 깡촌인 사람입니다. 출가하기 전까지 쭉 시골에서 살았으니 농사일, 시골 생활이 얼마나 고된줄도 알고 있죠. 해서 귀농이랑 게 말씀마따나 결코 녹록지 않다는 데도 공감합니다.

    하지만 이른바 귀농물, 즉 힐링 소재의 글을 읽는 까닭은 편안함을 얻기 위함이 아닌지요.

    주인공이 호기롭게 귀농했는데 마을 텃세 심해서 걸핏하면 마을 이장, 부녀회장이 찾아와서 무임금 일손 거들기 해라, 마을 발전세 내라, 젊은 총각이니 힘쓰는 일좀 해라,

    농사 지엇는데 흉작이고, 기껏 농사 지었는데 사과값 똥값이라 이거 일하면 할수록 손해고, 농사철에 일은 쌓여 넘치는데 일손 후달리고, 인력으로 외노자들 데리고 왔더니 점심 먹다 말고 도망치고...

    씨 뿌리면 뭐 다 자라고... 라고 하셨는데
    그럼 제가 사과밭 아들이라 사과로 예를 들면
    겨울에 전지(가지치기)하고, 전지한 거 치우고, 필름 깔아놓은 거 거두고, 낙과한 거 치우고, 봄에 꽃가루 바르고, 필름 깔고, 벽돌 들여와서 필름 누르고, 테이프 붙이고, 잎소지하고, 가지 대 세우고, 비료 뿌리고, 약치고, 수확철 돼서 사과 따고, 낙과한 거 줍고, 사과 창고에 쌓고, 꽁지 따고, 선별하고, 수확 끝나면 다시 전지하고.... 이 1년의 가정을 소설에 다 담습니까...

    그리고 일 끝날 때마다 시바 세상 조끄튼거 일은 힘들어 뒈지겠는데 이놈의 시골 노친네들은 나를 가만두지 않고... 괜히 귀농했네 하며 소주 까는.... 거 쓰면 누가 볼까요.

    그냥 정령이든 AI든 시스템이든 갑자기 뿅 튀어나와서 남들 1년간 뺑이치는 거 손짓만으로 해낸다는 게 차라리 볼맛도 나죠.

    그냥 장르적 허용이라고 생각하시는 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막말로 헌터물이든 중세 판타지든 아니면 재벌물이든 다 편의적인 편 아닙니까.

    찬성: 30 | 반대: 2

  • 답글
    작성자
    Lv.97 네발개발
    작성일
    24.04.01 12:22
    No. 3

    맞는 말씀입니다. 그러니 쉽게들 쓰시고 그러니 읽는 사람도 대강대강 읽어보는거고요.
    다만,, 말씀하신 현실중에서 또 삶의 즐거움 보람 유쾌함 등을 찾는게 사실 상상력이 필요한 거고 작가의 역량 이 나닙니까? 현실에 가깝게 구성할수록 독자도 현실감 있게 읽고 깊게 몰입하게 되는 거구요.
    본인을 어디에 위치할 지는 작가 본인들 결정이고
    다만 독자 입장에서 더 높은 수준의 글을 보고싶어하는 투정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8 念願客
    작성일
    24.03.30 19:28
    No. 4

    애초에 귀농을 힐링물이랍시고 내놓는게 열받음
    차라리 인간들 사이에서 치이는게 싫어서 귀농했다는 식이면 몰라도..

    찬성: 3 | 반대: 3

  • 작성자
    Personacon 유주
    작성일
    24.03.31 05:08
    No. 5

    그게 재밌나요?

    찬성: 2 | 반대: 0

  • 작성자
    Lv.80 크라카차차
    작성일
    24.03.31 18:52
    No. 6

    말도안되는 판타지 요소를 넣어서 정령이든 아님 외계인이든 이세계인이든 그런게 나오면서 그냥 평범한 귀농하고는 다르지...모든거 다 버리고시골가서 정착하는게 힘들다는거 모르는사람있나? 아무리 고향이라해도 시골에서 생활은 정말 힘듬 쿠팡도 안오고 편의점도 없고...그래도 판타지 요소넣고 힐링물이니 동물들이나 정령처럼 귀여운것들도 좀 나오고 뭐든 쉽게쉽게 하는거보면서 잔잔한거 좋아하는사람들은 재밌게보겠죠 실제 귀농해서 실패하고 시골에서 ㅈ뺑이친 기억있는사람들에겐 뭐 말도안된다하면서 손도안되겠지만...

    찬성: 2 | 반대: 0

  • 작성자
    Lv.22 치맥세잔
    작성일
    24.04.03 11:10
    No. 7

    농사만큼 힘든 것도 없어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4401 소설 재탕하기..의사물.. +2 Lv.51 끙냥 24.04.03 106
254400 1명만 더오면 나의 즐거움이 커질텐데 +1 Lv.46 류하므 24.04.02 101
254399 올해 출산율 0.72에서 0.66까지 내려가겠는데요 +4 Lv.30 積雪沙果 24.04.01 159
254398 한국산 귀농힐링이 싫은 이유는여.. +2 Lv.69 고지라가 24.04.01 169
254397 요즘 소설이 안 읽혀요 +7 Lv.56 바른말 24.04.01 174
254396 볼게없다.. +1 Lv.99 소설필독중 24.03.31 120
254395 선호작 내서재 Lv.71 윗층삼촌 24.03.31 112
254394 아이템드랍률 경험치몇배 이런소설 없나요?? +3 Lv.55 소설바라 24.03.31 98
» 작가들의 귀농 편견 +7 Lv.77 우와와왕 24.03.30 234
254392 갑자기 든 생각. 아포칼립스 +3 Lv.72 천극V 24.03.29 109
254391 최근 좀 많이 보이는 소설 전개 +11 Lv.67 ja******.. 24.03.28 315
254390 늘어나는 이혼, 저출산 Lv.99 만리독행 24.03.28 96
254389 아 진짜 손이 근질근질 거리는데 참아야겠네. +6 Lv.24 별랑(別狼) 24.03.27 303
254388 주인공은 자기의 앞날을 모른다. +4 Lv.37 트수 24.03.27 138
254387 소설 정보가 없습니다. 증상이 계속된다면... Lv.59 파워드 24.03.27 78
254386 소설제목이 기억 안 나네요 +1 Lv.72 상제 24.03.27 61
254385 다 비슷비슷 +5 Lv.72 천극V 24.03.25 256
254384 공지쓰는게 그렇게 어렵냐!!!! +2 Lv.64 바야커펴 24.03.24 249
254383 가상현실물 볼 때 마다 생각하는 점 +3 Lv.37 트수 24.03.24 130
254382 회빙환 말고 f 시작말고 +4 Lv.50 줄담배커피 24.03.24 151
254381 와웅 여긴 글리젠이 참... +1 Lv.24 별랑(別狼) 24.03.23 174
254380 유료연재는안하고 새연재만하는.. +1 Lv.77 우와와왕 24.03.22 251
254379 3번째..소설 1화적어봤습니다 Lv.18 머슬링 24.03.22 103
254378 ㅋㅋㅋ문피아 진짜 볼거없다.. +9 Lv.37 트수 24.03.20 424
254377 글 제목 좀 알려주세요. Lv.70 사수자리 24.03.18 74
254376 드디어 프로그래밍하는 인공지능이 만들어졌다네요.. +2 Lv.99 만리독행 24.03.18 143
254375 제목을 찾습니다 ! Lv.31 혈사암 24.03.18 66
254374 조회수에 대해 이상한 부분에 관해서 +4 Lv.83 레몬꼬까 24.03.17 227
254373 서재가는거 빨리좀 원상 복귀좀 +2 Lv.78 ArcherS 24.03.17 165
254372 요즘 무협은 끝물인가? +5 Lv.22 풍선 24.03.17 229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