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출판과 유료연재, 허와 실.

작성자
Lv.30 서은결
작성
14.09.04 13:21
조회
6,383

1. 출판을 하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대부분의 경우 그렇지 않습니다. 출판사가 정말 신경을 써서 도와주는 경우는 기껏해야 1, 2권 초반권입니다. 왜냐하면 시장의 반응이 이 1, 2권에서 90% 정해지기 때문이지요. 이후부터는 어지간해서는 터치를 하지 않으며, 오타 교정조차 해주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작검 파일 보내오고, 재수정하고 그러면 그대로 인쇄에요. 해서는 안 될 짓이지만 일부러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 오타를 몇 개 넣어봤는데 그대로 나왔더군요.


2. 인세 규모. 어느 정도인가?


- 계약에 따라 다릅니다만 신인이 권당 50만이라도 받는 것은 쉽지 않은 게 대부분입니다. 1, 2권을 230~300 가량 받고 다음 3권부터는 20~70 가량 받지요. “나는 1원 한 푼 못버는데, 출간이라도 하면 용돈 벌이라도 되겠다!” 싶으신 분들 분명 계실 겁니다. 하지만 그 마음으로는 절대 출간하지 마십시오. 출간을 하게 되면 좋든 싫든 그 글에 종속됩니다. 반드시 결말을 맺어야 합니다. 때로는 조기 종결이라는, 최악의 방향으로 맺고 싶지 않은 결말을 맺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할 경우 작가의 이름엔 똥칠을 하게 되는 거죠.

용돈 벌이라도 해야겠다 = 다시 말하지만 출판하지 마십시오.


3. 출판계의 이북 시장은?


- 상위 1% 분들의 경우(이름만 대면 설령 그 소설을 읽지 않았더라도 대충 아시는 분들) 솔직히 말해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아래로 가면? 강제로 정산받는 분기를 제외하면 최소 정산 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절대다수 입니다.


4. 유료연재, 정액제와 편당 과금. 어느 쪽이?


- 흔히들 잘못 알고 계시는 게, 순위권에 들면 편당 과금, 순위권 밖이면 정액제가 유리하다고 생각하십니다. 아니고요. 거의 99.9%의 경우 작가에게는 편당 과금이 유리합니다.


5. 수입 구조를 볼 때 출판과 유료연재, 어느 쪽이 더 유리한가?


- 유료연재입니다.


6. 그렇다면 출판이 주는 메리트는?


- 자기 이름으로 된 종이책을 낼 수 있다는 것. 지금으로서는 그거 하나 입니다. 대형 신인이라는 개념도 이젠 거의 없어졌고, 앞으로 더 심해질 겁니다. 이름 값으로 이북 팔아 돈 벌 수 있는 ‘신인’은 장담컨대 백에 한 명 나올까 말까 할 겁니다.




Comment ' 27

  • 작성자
    Lv.50 백린(白麟)
    작성일
    14.09.04 13:23
    No. 1

    대부분 맞는 말인데, '자기 이름으로 된 종이책 출간' 이 주는 메리트는 꽤 큽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탄탄비
    작성일
    14.09.04 13:25
    No. 2

    전 제이름으로 책을 내봐서... 그럼 이제 유료 연재작을 도전해봐야겠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명마
    작성일
    14.09.04 13:26
    No. 3

    출간하셨구나... 책 제목이 뭐죠? 혹시 읽어본 책 중에 있을지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동네천재형
    작성일
    14.09.04 13:25
    No. 4

    가장 좋은게 유료연재 면서 편당과금 이 가장 좋은거군요?
    그에 대한 단점도 없을리는 없을거고 단점도 좀 써주시지...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0 서은결
    작성일
    14.09.04 13:27
    No. 5

    출판에 비하면 단점이랄게 딱히 없습니다.
    굳이 말하자면, 마케팅도 혼자해야 한다는 점?
    실제 글만 좋으면 어느 정도 인지도와 인기를 얻을 수 있는 종이책과는 달리, 유료연재의 편당과금은 마케팅과 약간의 운이 따라줘야 한다는 점에서 성패가 갈립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4.09.04 13:27
    No. 6

    5번에 대해서 먼저 물어볼게요.
    밑에 댓글에도 적었습니다만...
    문피아 독점연재의 경우, 1편당 작가에게 70원의 수익이 돌아가죠. 1편이 4만원의 수익을 거두려면 조회수 500~600 선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것이 20편이 모이면 1권분량 정도입니다.
    즉, 유료연재에서 편당 500~600의 조회수를 20여편 넘도록 유지를 해야 출판인세보다 더 번다는 계산이 나와요.
    편당 500~600정도면... 문피아에서 보자면 오히려 높은 편이 드는걸로 보여요.
    유료 연재가 시작하고도 조회수 2000~4000정도를 이끌어낼 자신, 필력, 소재가 된다면 유료연재가 좋죠. 하지만 저 경우는 최 상위급....이라 보여요.
    500~600의 조회수를 이끌어내는것도 상위급이라 보일정도구요.
    이 경우에 비춰서 5번의 재 설명을 부탁드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7 담화공
    작성일
    14.09.04 13:27
    No. 7

    편당 70원 아닙니다(소곤소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4.09.04 13:31
    No. 8

    흠칫, 60원에요? 독점은 7:3/ 비독점은 6:4라고 들었었어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7 담화공
    작성일
    14.09.04 13:33
    No. 9

    결제사 수수료를 빼먹으셨습니다. 세금이야 본래 내는 것이니 논외로 치더라도, 결제사 수수료를 제외하면 얼마더라....(먼산...) 아무튼 70원보다는 적어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0 서은결
    작성일
    14.09.04 13:33
    No. 10

    25편당 1권이고요. 작가에게 63원이 돌아갑니다.
    출판인세가 신인의 경우 본문에 적었듯이 230~300 + @
    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신인들은 10권 넘기는 것도 힘들고 7~9권 선에서 끝나죠. 8권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12권 250만원 선인세 받고 3권부터 평균 50을 받았다고 칠 때, 550만원이 총 인세가 됩니다(이것도 솔직히 높게 잡은 겁니다).

    유료연재로 8권이면, 190화이고, 편당 평균 27500원의 수익을 기록해야 합니다. 그렇면 평균 436명이 구매를 해야 하는 거고요. 이게 높아보이실지 모르지만, 현재 유료연재 성적을 보면 상당히 낮은 순위권 분들도 기록하고 있다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유료 연재가 갖는 리스크에 비해 출판이 갖는 리스크가 크다는 점(조기 종결이나 원하지 않는 스토리 전개 등등)을 고려하면 유료연재가 출판보다는 양호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4.09.04 13:37
    No. 11

    평균 436이면... 흠; 저한테는 높아보여요; 유료연재 기록을 봤는데 25위권 이상에 들어야 하더라구요.
    .... 무료연재 베스트 25위권에도 들지 못하고있는데;;;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1 김창용
    작성일
    14.09.04 13:40
    No. 12

    그냥 여기다가 한마디만 더 보태자면 저는 아무것도 경험도 없고 모릅니다만, 다른 현업 작가분들에게 들은바에 의하면 유료연재 조회수가 10몇이 나오는게 아니면 무조건 출판보다 유리하다네요.
    그냥 들은겁니다 어디까지나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1 산호초
    작성일
    14.09.04 13:38
    No. 13

    문피아 유료 연재 월간 베스트를 가서 보시면, 약 30위까지 구매지수 17만 정도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독점은 약 63원, 비독점은 약 54원이니 비독점이어도 1달에 90만원입니다. 독점이면 107만원이고요. 비독점이어서 옆집에 올리고 있으면 거기서도 버는 게 있을 거고요. 여기 해당하는 작품들 조회수를 한 번 살펴보세요. 정말 조회수가 500씩 나오고 있는지.
    보장부수 1천부, 인세 10% 계약하셨다고 하셨으니 1권에 80만원이네요. 그런데 1달에 1권씩 내는 거, 쉽지가 않습니다. 하루에 4천자씩 써도 1달에 초고 1권이고, 수정하고 어쩌고 하면 기간이 엄청나게 늘어나요.
    기본적으로 유료연재는 24시간 조회수로 계산할 때 그 두 배 정도는 수익이 된다고 보면 됩니다. 왜냐면 신규 독자들이 유입되는 게 있거든요.(무료 부분이 적당히 풀려 있을 때 이야기)
    그나마 예마카엘님께서 계약을 잘 하신 편이지만, 일반적인 신인들은 계약 조건이 정말 박합니다. 3,4권 정도 가면 예마카엘님이 받으실 금액의 1/4 정도 받는다고 보면 되요. 그러니 출판보다 유료연재가 낫다고 그렇게 말리는 겁니다. 이렇게 보장부수가 있으면 출판도 메리트가 있어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4.09.04 13:42
    No. 14

    이, 인기작가 떴

    음, 저는 아직 유료연재로 갈 실력이 안되서 출판이 더 좋게보였어요.
    유료연재에서 성공을 할 실력이 된다면, 유료연재가 좋죠.
    아직 그 실력이 되지 않으니, 당장은 전문가의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출판이 더 좋다고 생각했어요.
    지금 당장 무료에서 조회수 500 기록하기도 힘들어서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9 취룡
    작성일
    14.09.04 14:00
    No. 15

    유료연재의 경우 플레티넘 베스트에 노출되느냐 마느냐가 또 명암을 가르죠.
    무료 분량이 적절히 풀려있느냐보다는 '플레티넘 베스트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가능하냐'가 중요한 것 같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4.09.04 13:31
    No. 16

    답변을 기다리는 동안 2번에 대해서도 물어볼게요.
    종이책의 경우, 그 책에 종속되기때문에 억지로라도 결말을 맺어야 한다... 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인터넷 연재의 경우는 어떤가요.
    정말 아무리 잘나가도, 결말까지 맺지않고 작가의 마음대로 끊어버리는 경우도 있어요. 단지 작가 개인의 사정이라는 이름으로요.
    이야기는 결말을 맺어야 그 다음에야 최악이던 최선이던 결과를 붙일 수 있다고 봅니다.
    완결된 이야기중에, 제대로 호응을 받으며 한권을 읽었다고 느껴지는 인터넷 연재는... 많이 보지 못했습니다. 종이책도 마찬가지지만, 그래도 종이책은 [완결은 지어진다]라는 기대를 얻을 수 있어요. 인터넷 연재는 [언제 끊길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있구요.
    저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종속되는 걸 바랬습니다. 반드시 이야기를 완결까지 내고 싶었거든요. 그것이 최악의 조기결말로 끝맺더라구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0 서은결
    작성일
    14.09.04 13:35
    No. 17

    그건 어디까지나 개인 능력이고 개인 사정입니다.
    작가들 중 대부분은 이게 이렇게 끝날 글이 아닌데, 출판사에서 이제 그만 쓰라고 한다- 라며 술 한잔 기울이시는 분들이 엄청 많습니다. 저 역시 조기 종결 경험 있고요. 풀어놓은 썰과 떡밥이 한가득인데 그런 거 없어ㅋ 라고 하는 듯 순식간에 몰아쳐서 끝내고 나면, 내가 글을 쓰는 사람인지 그냥 똥을 싸지르는 건지 이해할 수 없게 됩니다.

    유료 연재가 어리벙벙하게 결말 나는 것은 결국 그 작가의 능력부족입니다.
    하지만 출판은 아무리 출충한 실력과 높은 꿈을 가져도, 현실과 맞지 않으면 강제로 접게 되는 거예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9 민영모
    작성일
    14.09.04 13:35
    No. 18

    확실히 작가 입장에선 편당 과금이 좋은 것 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8 글도둑
    작성일
    14.09.04 13:36
    No. 19

    한방에 정리해 드릴께요.

    고정 독자 2000명 정도 유지 하면 어떤 시스템으로도 전업작가 할만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0 서은결
    작성일
    14.09.04 13:36
    No. 20

    이건 맞네요 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우울삽화
    작성일
    14.09.04 13:46
    No. 21

    요즘 책 보는 사람이 없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9 사열(思悅)
    작성일
    14.09.04 13:48
    No. 22

    유료연재가 종이책 출판보다 좋은 건 최상위 작가들을 제외하고 수익면에서 압도적인 부분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자유도가 높아서 좋단 것이 되겠지요.

    출판사의 경우 대여점에서 안 먹히겠다 싶으면 사전에 커트 시키거나 수정을 요구하는 반면, 유료연재는 고정 독자층만 확보 하면 자기가 쓰고 싶은 것 어느 것을 써도 먹고 살 수 있는 수익이 나오니 심적인 면에서는 유료 연재가 훨씬 좋더군요.

    출판사 플랜 따라서 움직이는 게 아니라 개인적으로 플랜을 준비하고, 정확히 꾸릴 수 있단 점에서도 더 좋구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0 서은결
    작성일
    14.09.04 13:52
    No. 23

    맞습니다. 출간 하지 않게 된지 이제 5개월인데 이렇게나 마음 편히 작품에 몰입해서 써본 게 언제인지 기억도 안나요 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0 성진(成珍)
    작성일
    14.09.04 14:29
    No. 24

    이미 장르소설 업계의 흐름은 출판시장에서 유료연재 시장으로 거의 다 넘어와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출판은 기본적으로 장르소설 작가의 고향과 같은 존재이기에 함부로 무시할 수는 없지만 확실히 요즘은 대부분의 작가분들이 출판보단 유료연재를 더 신경쓰고 있는 실정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0 북한강에서
    작성일
    14.09.04 18:53
    No. 25

    먼 세금을 글케 많이띠는지 원!!! x같은 xx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난감
    작성일
    14.09.04 21:06
    No. 26

    다른것보다 이렇게 많은 (유명)작가님들의 댓글을 보는건 또 첨이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神殺
    작성일
    14.09.04 22:36
    No. 27

    뭐야 댓글 목록에 아는 필명들이 왜 이렇게 많지!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38574 홍보 [일연/무협]젊은영웅, 홍보합니다. Lv.99 역전승 14.09.04 1,635 1
138573 한담 E북 시장에 대해서 +19 Lv.45 매일글쓰기 14.09.04 1,579 5
138572 한담 킬링타임용 글, 적당히 잼있게 세편씩, 용돈벌이 ... +14 Lv.55 글자판기 14.09.04 2,711 1
» 한담 출판과 유료연재, 허와 실. +27 Lv.30 서은결 14.09.04 6,384 21
138570 홍보 [홍보/일연] 불굴의 농사꾼 홍보합니다! +10 Lv.27 담화공 14.09.04 1,337 4
138569 한담 잠깐 하시던 일을 멈추시고 하늘을 올려다 보세요 +10 Personacon 네모리노 14.09.04 1,545 2
138568 한담 시장이 많이 망가지긴 한 모양이네요 +13 Lv.50 백린(白麟) 14.09.04 1,904 1
138567 홍보 [유료/게임] 네임드 플레이어 홍보합니다! +2 Lv.29 민영모 14.09.04 2,236 1
138566 추천 견마지로님의 추구만리행 추천합니다. +10 Lv.55 호랑나비 14.09.04 3,346 9
138565 한담 저는 홍보에 대해서 회의적입니다 +12 Lv.5 국문학생 14.09.04 1,414 1
138564 홍보 [일연/무협] 연옥도행(煉獄徒行)—연옥을 걷는 자. ... +4 Lv.16 우울삽화 14.09.04 1,565 1
138563 한담 독자와 작가 +2 Lv.99 역전승 14.09.04 1,357 1
138562 한담 쓰고 싶은 글과 써야 하는 글 +17 Lv.22 환등 14.09.03 1,448 0
138561 홍보 [자연/퓨전판타지] THE LINKER 를 소개합니다. +4 Lv.82 란베르크 14.09.03 1,720 1
138560 한담 어제 밤 꿈에서 정말 재밌는 소재를 찾았는데... +7 Lv.45 매일글쓰기 14.09.03 1,319 1
138559 한담 문단과 가독성...? +32 Lv.41 거믄밤 14.09.03 1,524 0
138558 한담 문단 나눔에 대해서 +10 Lv.3 RestorLi.. 14.09.03 1,662 0
138557 홍보 [일연/현판] 연예계의 제왕(Wizard Entertainer) +12 Lv.24 오준환 14.09.03 1,600 4
138556 추천 3작품 추천 합니다. +1 Lv.96 리호 14.09.03 2,186 1
138555 추천 고급진 현판, 개연성 있는 환생물.. 뉴라이프! +5 Personacon 동방존자 14.09.03 2,587 12
138554 추천 호루스의 반지 추천합니다. +12 Lv.72 꼬마마법사 14.09.03 1,892 11
138553 홍보 [일연/판타지] 군대리아 땡보직 홍보합니다. +12 Lv.70 고주진 14.09.03 1,287 4
138552 한담 캐릭터의 매력에 대하여. +1 Lv.16 우울삽화 14.09.03 1,378 3
138551 한담 다음 홍보하시는 분을 위해서 글써봅니다. Lv.6 ZENRA 14.09.03 1,173 2
138550 한담 잊혀지지 않는 캐릭터에 대해서 +10 Lv.5 꿈꾸는사탕 14.09.03 1,437 1
138549 홍보 <작연/무협> 천하마도 홍보합니다. +1 Lv.39 서준백 14.09.03 1,257 2
138548 한담 와 이곳은 전쟁터... +7 Lv.78 호랑이눈물 14.09.03 2,359 22
138547 요청 전쟁 소설을 찾습니다 +5 Lv.68 로또6 14.09.03 1,679 0
138546 한담 현대 판타지에서 사채 및 개인파산에 관해.. +22 Lv.75 아르케 14.09.03 1,942 1
138545 홍보 [작연/퓨전] 악마의 숲을 홍보합니다. +2 Lv.23 허풍선e 14.09.03 1,415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