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고증에의 집착

작성자
Lv.18 시우(時雨)
작성
15.02.17 11:57
조회
1,110


고증에 관한 논란은 문피아에서 잊을 만하면 한 번씩 재점화되는 단골 소재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이 고증이라는 단어가 문피아에서는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아주 많은 것 같습니다.


고증

 예전에 있던 사물의 시대가치내용 따위를  문헌이나 물건에 기초하여 증거를 세워이론적으로 밝힘.




사전을 그대로 긁어왔습니다.

다른 뜻은 없는 단어입니다.


실제 역사적인 사실에 바탕을 둔 소설(박경리의 ‘토지’ 등), 역사소설(‘초한지’ 등), 팩션(‘왕의 남자’ 등)에 들이댈 잣대이지 판타지나 SF에 쓸 말이 전혀 아닙니다.


중세풍 판타지의 세계관에 실제 중세시대를 고증하여 문제를 제기하는 건 말이 안 된다는 거죠.


고증 문제로 골치를 썩이시는 분들 중 상당수는 사실 자기 소설의 ‘논리적인 정합성’을 신경 쓰고 계시는 거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다른 쉬운 말도 있을 텐데 굳이 ‘논리적인 정합성’이라고 말했느냐하면, 장르문학에서 고민해야 할 것은 ‘팩트’의 문제가 아니라 순수하게 ‘논리적인’ 문제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물리법칙을 무시해도 괜찮습니다.

단, 일관적으로 무시해야 합니다.

이건 작가가 새로운 물리법칙을 창조하는 것이나 다름없는데, 그러기 위해서 실험을 통한 검증같은 건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문제는 특히 SF 소설에서 자주 불거지는데요, 하드 SF일수록 과학적인 지식과 이론이 더 엄밀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건 대단한 착각입니다.

하드 SF 걸작 중의 걸작인 그렉 이건의 ‘쿼런틴’도 양자역학을 엄밀하게 해석한 결과물은 아닙니다. 

오히려 미시 세계의 법칙을 거시 세계로 무리하게 확장하면서 빈틈이 어마어마하게 많은 소설입니다.

테드 창 소설 중에서도 과학적인 오류를 하나도 찾아낼 수 없는 소설이 오히려 한 편도 없을 정도입니다.

하드 SF라는 건,  과학을 소재로 하되 ‘그런데 만일 이 세상이 (알려진 사실과 달리) 이러이러하다면?’이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고 봐도 큰 무리는 없을 겁니다.

그런 상상을 통해서 우리의 사고를 확장하고 우리의 현주소, 특히 우리의 사고 자체에 대해서 고민하게 만드는 철학소설이나 다름없습니다.


소프트 SF니, 스페이스오페라니 하는 용어를 구분해가면서, 이미 정립된 과학 이론을 어디까지 엄밀하게 적용하고 설명해야 하는가 고민하는 것도 무의미합니다.


걸작 ‘은하영웅전설’의 주인공들은 우주공간에서도 중력의 혜택을 누립니다.

초광속 통신이라는 것도 사용하는데, 이건 어떤 것도 빛보다 빠른 속도로 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는 일반 상대성 이론에 위배됩니다.

같은 이유로 초광속 비행도 말이 안 됩니다.

그래서 웜홀이라는 걸 도입하는 소설이 많은데, 웜홀은 초광속 비행만큼이나 치명적인 오류들을 뒤집어 써야만 소설에 도입이 가능합니다.


스타워즈의 광선검은 처음 등장했을 때 분명히 순수한 레이저 광선이라는 설정이었습니다.

빛이라는 얘기입니다.

빛이 무한히 뻗어나가지 않고 무언가에 잡혀 있습니다.

빛을 붙잡아 둘 수 있는 건 블랙홀 뿐이죠.

제다이들은 허리에 블랙홀을 차고 다니는 겁니다.

다른 건 빨아들이지 않고 딱 레이저 광선을 그 정도 형태로만 잡아두는 블랙홀을요.



우주 공간에서는 원심력을 이용해서 중력을 만듭니다.

은하영웅전설에는 그런 설정이 없죠.

하지만, 원심력을 이용해서 중력을 만드는 건 현재 인류의 과학수준입니다.

양 웬리의 시대에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지 말라는 법도 없겠죠.

다른 기술이 발전한 속도와 중력 관련 기술이 발전한 속도가 균형이 좀 안 맞아 보이지만, 그게 ‘논리적인 정합성’을 해칠 정도는 아닙니다.

논리적으로 불가능한 건 아니라는 얘기죠.



스타워즈의 광선검도 처음 등장한 이후로 그게 실제로 어떻게 가능한지 설명하려는 시도가 엄청나게 많았습니다.

레이저가 아니라 어떤 에너지 덩어리다, 알고봤더니 레이저로도 가능하더라 등등.

지금은 어떤 결론이 났는지 모르겠습니디만, 어쨌거나 (문피아 용어로) 철저한 ‘고증’을 거쳐 창조된 이야기는 아니었습니다.


로렌스 M. 크라우스의 “스타트렉의 물리학”을 보면 예전 스타트렉 TV 시리즈가 방영되던 당시 방송 다음 날에는 물리학자들이 모여서 그게 어떻게 가능한지, 가능하기는 한지 토론하는 게 일이었다고 합니다.

방송을 까대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걸 실제로 구현하는 방법이 있는지 등을 이야기하는 지적 유희였죠.

실제로 그래서 발전한 기술이 대단히 많다고 합니다.

저자 크라우스는 수업 시간에도 스타트렉으로 강의했는데요, 어떤 학생은 ‘빛은 모든 방향으로 확산하므로 레이저 광선이 그런 식으로 눈에 보일 수가 없다’는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답니다.


그러나 그런 수많은 오류에도 불구하고 스타트렉은 물리학자들이, 물리학도들이 가장 사랑하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과학용어에 대해서 한 말씀만 덧붙이겠습니다.

과학에서는 용어의 의미조차도 시대에 따라 변해갑니다.

라부아지에가 산소를 발견하기 전까지만 해도 ‘연소’란 물체에서 플로지스톤이라는 성분이 빠져나가는 현상이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지금은 A라는 용어가 B라는 현상을 지칭하더라도, 우리가 흔히 접하게 되는 SF의 시대배경에서도 그 용어가 그 현상을 지칭하리라고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만일 수백 수천 년이 흘렀는데도 그런 세부적인 부분이 그다지 변하지 않았다면 그건 인류의 지성이 한계에 부딪혔다는 뜻일지도 모릅니다.

비극인 거죠.



결론은 이미 말씀드렸듯이 우리가 주로 이야기하는 장르소설에서 중요한 것은 팩트가 아니라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느냐 뿐이라는 얘기입니다.

사소한 지식에 집착할수록 아는 게 적은 사람이라는 인상을 주기 쉬울 뿐입니다.


소설을 쓸 때나 읽을 때나 좀 더 큰 틀에서 넓은 마음을 가지자는 이야기였는데 지금 좀 바쁜 상황이라서 얘기가 잘 전달됐는지 모르겠네요.

소설은 뭐니뭐니해도 “등장인물들이 만들어가는 이야기”라는 걸 잊어서는 안 되겠습니다. 

 














Comment ' 11

  • 작성자
    Personacon 霧梟
    작성일
    15.02.17 12:01
    No. 1

    일단 스타워즈에서는 결국 포스로 광선검을 잡아둔다는 설정으로 결정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렌즈 조율자체 역시 포스를 가진 사람만이 가능하기도 하고... 어쨌든 각설하고...

    원래대로라면 고증은 실제 역사에 기초했을 때만 쓰는 것이 맞죠. 여기서는 그런데 편의상 실제 역사 뿐 아니라 차용해서 쓰는 개념이나 주제가 있을 경우 근거를 제시하는 것에 쓰이고 있고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5 orMyo
    작성일
    15.02.17 14:13
    No. 2

    어? 그랬나요? 칼 자체는 그냥 사용 가능한 걸로 알고있었는데... 사상 최약의 제다이 루크가 아무렇지 않게 쓰는 걸 보면 말이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霧梟
    작성일
    15.02.17 20:14
    No. 3

    루크는 나중에 상당히 강해져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8 휘동揮動
    작성일
    15.02.17 12:30
    No. 4

    와, 문피아에서 쿼런틴을 볼 줄이야. ^^ 완전 공감해서 잘 안누르는 추천도 눌렀습니다. ㅎㅎㅎㅎ 갑자기 책꽂이에 꽂힌 SF들이 급땡기는군요. 다시 꺼내 읽어야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패스트
    작성일
    15.02.17 12:43
    No. 5

    저는 '과학적 접근'이 얼마나 가능한가, 그리고 '과학적 이해'가 얼마나 반영 되어있는가를 가지고 하드와 소프트를 나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관계나 물리적 오류가지고 물고 늘어지면 본문에서 말씀하신 것과 같이 끝이 없죠. 고증이니 어쩌니 하는 건 솔직히 저도 굉장히 싫어하고 또 말 해줘도 잘 알아먹지도 못하고요.

    작성자 분의 말씀에 적극 공감합니다. 소설은 등장인물이 만들어가는 이야기에요. 그런데 자꾸 사람들이 이상한데 집착을 하니 SF가 어렵다는 인식이 생기고, 이래서 까고, 저래서 까니 나중에는 무서워서 쓰지도, 읽지도 않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3 클라우드스
    작성일
    15.02.17 13:03
    No. 6

    과연 한담까지 진출한 이 사안을 보고 문제의 당사자는 무엇을 깨달았을까요?
    부디 소설이란것을 이해했기를 바랍니다.
    단어 하나하나에 집착해서 물고늘어지는 비생산적 행동이 얼마나 부질없는 짓인지 이제는 깨달아야 할 때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2 풍뢰신권
    작성일
    15.02.17 12:51
    No. 7

    우와!!제마음속의생각을완벽하게써주셨네요!!!!
    특히 등장인물들이만들어가는이야기 라는부분이
    무척공감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3 도선선자
    작성일
    15.02.17 13:18
    No. 8

    판타지에 고증은 필요 없죠. 작가의 상상력이 그대로 나타나는 공간이니까요. 단, 역사물이나 현대물은 이야기가 다르겠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5 신승욱
    작성일
    15.02.17 15:27
    No. 9

    추천눌렀습니다.
    주장에 동조 여부를 떠나 엄청난 내공이 담긴 글이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IlIIIIIl..
    작성일
    15.02.17 15:39
    No. 10

    현대물은 다르죠... 주식이 얼마 뛰어서 한달만에 100만원으로 몇백억 벌었다... 이건 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6 흉갑기병
    작성일
    15.02.17 21:44
    No. 11

    자고 일어나서 생각하니 쓸데없이 논란을 부풀린 것 같아 좀 민망합니다ㅎㅎ댓글을 달았던 원글과 밀덥한 관련도 없었는데 말이죠. 그냥 그렇게 생각하는구나 하고 넘어가면 편한 것을..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41947 한담 선호작정리 했습니다. +3 Lv.77 우울한날 15.02.17 728 1
141946 한담 연재와 관련된 개인적인 생각과 팁 +10 Lv.31 달빛물든 15.02.17 2,127 4
141945 홍보 [일연/게임] 38만자 분량의 소설, 어빌리티 제로를... +1 Lv.51 [플래터] 15.02.17 684 0
141944 요청 작품소개 글쓴이가 하실 수는 없나요 +7 Lv.77 회겤 15.02.17 998 0
141943 요청 라이프 하울링 작가 고렘님의 다른 작품 추천좀 +6 Lv.61 두형 15.02.17 1,044 0
141942 홍보 [게임/판타지] 던전앤드래곤, Lv.1 [탈퇴계정] 15.02.17 738 0
141941 한담 처음으로 후원이란 것을 받았네요. +5 Personacon 통통배함장 15.02.17 896 2
141940 한담 위에 파란띠에 로맨스.. +4 Lv.19 뭐죠 15.02.17 705 0
141939 한담 회귀만 하면 현대판타지인가요? +9 Lv.2 들곰 15.02.17 937 0
141938 알림 스포어 완결 알림입니다! +5 Lv.41 by아말하 15.02.17 860 2
141937 한담 어렵네요. +5 Personacon 적안왕 15.02.17 835 1
141936 요청 제가 말하는 소설 제목 아시는 분? +1 Lv.67 심심한샘물 15.02.17 700 0
141935 한담 공모전 아무리 여기서 왈가왈부 해봐야 별 수 없지... +8 Lv.47 김상준. 15.02.17 884 7
141934 공지 공모전 관련 게시물에 대하여 Personacon 연담지기 15.02.17 957 5
141933 한담 공모전에 대해 종합해보자면 +55 Lv.14 바스레이 15.02.17 1,018 3
141932 홍보 [일연/판타지] 판타지 삼국지 '대륙의 길' Lv.61 글공대장 15.02.17 506 0
141931 한담 으음. 공모전에 문제가 있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11 Lv.34 노경찬 15.02.17 1,144 9
141930 한담 꾸준히 조회수가 적다가 갑자기 폭발하는 경우가 ... +11 Lv.31 달빛물든 15.02.17 676 0
141929 한담 공모전 관련 한담글 보다가 글 남깁니다. +3 Lv.41 거믄밤 15.02.17 1,226 1
141928 홍보 [일연/판타지] 최후의기사(여명과 황혼) +1 Lv.99 전투망치 15.02.17 961 1
141927 한담 공모전의 빅 픽쳐 +9 Lv.58 휘동揮動 15.02.17 937 8
» 한담 고증에의 집착 +11 Lv.18 시우(時雨) 15.02.17 1,111 9
141925 한담 공모전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요? +1 Personacon 적안왕 15.02.17 963 1
141924 한담 공모전으로 시끄럽네요 +12 Lv.21 불가불계 15.02.17 816 3
141923 홍보 [일연/SF, 현판] 로맨트 홍보합니다. Lv.47 김상준. 15.02.17 737 1
141922 한담 익명 +5 Lv.85 담적산 15.02.17 1,167 2
141921 한담 문피아 공모전은 전제부터가 잘못됐습니다 +19 Personacon 가디록™ 15.02.17 1,864 10
141920 홍보 [일연/판타] 천공의 탑, 좋은 연독률의 판타지! +4 Lv.40 지하™ 15.02.17 716 1
141919 한담 공모전에 대해서 +19 Lv.7 닷컴 15.02.17 859 4
141918 한담 보통 소설을 완결낼때 +5 Lv.7 ALARM 15.02.16 899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