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
09.11.05 18:54
조회
3,760

작가명 : 현민

작품명 : 타타스틸링

출판사 :

타타스틸링을 한마디로 얘기 하면 이렇다.

-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라는 형이상학적 이야기를 장르라는 특성을 빌어 알기 쉽게 만든 이야기 -

인간이 살아가면서 만나는 객체의 삶이 담겨 있는 영혼과, 그리고 그러한 영혼을 어떻게 하면 강하게(올바르게)할 수 있는 가를 얘기 하는 것이다. 이에 관해서 전작들과 비교하여 어떻게 용두사미를 벗어나고 무엇을 얘기 하는지 말해 볼까 한다.

현민이라는 작가는 말하기는 그렇지만 용두사미로 유명한 작가다.아마도 많은 독자들은 타타 스틸링에 대해서도 그리 얘기하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타타 스틸링에 대해서는 용두사미란 말은 통용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여전히 용두사미로 보일 수 있는 구석은 남아 있다고 생각되나 그 이전에 결말로서 일관된 주제를 가지고 글을 잘 풀어냈다고 보인다. 작가의 이전 작들과 비슷한 얘기를 하고 있지만 이제야 비로소 그것을 제대로 풀어낼 역량을 가지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현민작가의 글들을 읽다 보면 항상 의구심이 든 것이 있었다. 작가는 인간을 매우 이기적으로, 혹은 악하게,

또는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었다. 소천전기는 기억이 나지 않으나 타메라 곤 부터는 확연하게 그렇게 보였다. 그리고 여기서 부터 그의 글은 시작한다. 인간을 비관적으로 보는 인식아래에서 시작한 글은 인간이 어떻게 '옳은 방향으로' 살아 갈 것인가를 얘기한다.

작가의 글은 주인공을 둘러싼 제반의 환경은 인간의 추악함을 드러내면서 부터 시작한다. 주인공을 둘러싼 환경은 인간이 추악함을 추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강력한 힘에 의해서 파괴되며, 주인공 역시 끊임없이 그에 시험을 받는다. 그러나 주인공은 사악함과 그 힘에 유혹을 받으면서도, 마침내는 그를 극복하고 '선함'으로써

강한 힘을 얻고, 이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가를 말하게 된다. 타메라곤에서 와이번 라이더와 그에 관련된 힘, 흑태자에서의 흡혈, 타타스틸링에서의 불사, 이 모두가 그러한 인간이 가지는 추악함을 통해서 얻는 힘의 상징이며, 각 글에서 주인공은 주인공 주변인물과 달리 선함으로써 그 힘들을 능가 하게 된다.

타타스틸링이 이전의 작가의 글들과 다른 것들은, 이러한 주제를 나타나는데 글이 휘둘려서 결국에 용두사미가 된다는 것이다. 기존 작가의 글들은 종장이 될 수록 주인공 - 선함을 획득한 영웅 - 은 강해지며, 결국 글은 허무하게 끝나곤 한다. 타타 스틸링 역시 어느 정도는 그런 경향이 보이나, 한결 나아진 것을 발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장의 반전의 반전의 반전 같은 것은 아직도 이야기에 휘둘려서 어쩔 수 없이 나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그러한 반전의 정점에 있는 그웬바크에 대하여 충분히 의미와 복선을 깔아 두고 있다. 타타스틸링에서 말하는 인간의 삶이란 인간의 영혼을 올바르게 하면서 살아 가는 삶이다. 그리고 그를 통해서 인간으로서 강해질 수 있는 것이지만, 그웬바크라는 최강의 마도사는 영혼이 조각났으면 이는 다른 악역 - 인간으로서 삶을 포기하고 자신의 영혼을 조각내면서 불사를 탐하는 -과 같은것이다.

작가가 타타를 통해서 인간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말한다. 작가는 인간으로서 강해지는 것은 결국 영혼이 영웅적 패러독스를 통해 풍부해지는 것이라 말하는 것이다. 주인공인 타타는 고아로서 영웅적 패러독스의 대변인이며 패러독스를 완성하여 영혼을 강화하게 된다. 타타스틸링에서의 영혼은 인간이 살아가며 만나는 객체와의 경험, 기억을 담은 총합체로 삶을 통해 많은 경험을 하고 단련을 함으로써 영혼은 강화가 되는 것이다.(어찌 보면 드래곤 라자의 '나는 단수가 아니다'와 비슷하다 할 수 있으나 타타의 영혼은 객체로서 영혼이 실존한다는 데 있어 조금 더 '나'에 치중해 있다).영혼을 조각내고서도 이전의 경험들과 자신의 삶을 통해서 불사를 능가하고 마침내 하이스트 울티무스가 되는 타타는 영혼을 조각내어 불사를 원하는 많은 악역들(대표적으로 그웬바크), 그리고 불사를 원하지 않더라도 혈통을 타고나 영혼을 단련하지 않은 악역(대표적으로 바벨)들과 대비되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삶을 말한다.

현민작가는 마침내 타타를 통해서 그동안 말하고자 했던 주제를 글 마지막 까지 훌륭하게 펼쳐 내었다. 타타를 통해서 인간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말하는 그는 과연 다음에는 무엇을 말할까? 이전 글처럼 주제를 무리하게 펼치려다 허무하게 끝나지도 않았고 주제는 오히려 강화되었다. 타타를 통해서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을 얘기 하면서도 장르적인 특성을 잃지 않은 작가에게 박수를 보낸다. 그리고 적어도 앞으로 용두사미의 대가라는 얘기는 받지 않아도 될 듯 하다.


Comment ' 1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09.11.05 18:55
    No. 1

    ㅜ.ㅜ 중간에 엔터가 하나 잘 못 들어 갔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만월(滿月)
    작성일
    09.11.05 19:03
    No. 2

    제가 간발의 차로 빨랐군요. 그래도 저보다 더 정성 들여 쓰신 것 같네요. 흑막이라든가 다르 내용은 내용 누설할까봐 뺐긴 했지만 어차피 다 아실테니...
    아무튼 감상 잘 봤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카이혼
    작성일
    09.11.05 21:48
    No. 3

    타타에서 결정적인 설정 오류가 생긴거 같은데
    뭔가 이번에도 마지막 원래 끝내려고 해서 생긴거 같다는..
    7권 막읽엇을떄는 기억이 났는데;;
    몇일 지나니까 정확히 기억이 안납니다만
    그 설정 오류가 그웬바그 (맞나; 헷갈리네요) 가 인격을 나눈 3가지 시점의 시간이 모르돈 래서피를 갖게된 리하텐의 시점이랑 맞지 않았던거 같은데.. 가물가물 하네요.. 그리고 모르돈 래서피로 불사의 방법을 뿌린건 그 연인의 엘프를 살리려고 했던 남자 엘프 아니였나요?? 읽은 텀이 꽤 오래 되서 기억이 잘 나지 않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3 히키코모리
    작성일
    09.11.05 22:44
    No. 4

    저같은 경우 읽으면 읽을수록 지쳐가더군요. 결국 중도포기하고 완결편만 살짝 훝어봤네요. 패트리샤 미모 하나로 배신과 갈등을 너무 울궈먹은듯. 많이 지겨웠었죠 쩝.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Draka
    작성일
    09.11.06 00:33
    No. 5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는데 cain1k님께서도 비슷한 생각을 하신거 같네요. 타메라곤을 기점으로 현민님의 소설이 한층 발전된거 같은데 그게 저랑 참 잘맞는것 같습니다.

    이젠 정말 용두사미란 꼬리표는 띄어도 될꺼같아요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6 살인코알라
    작성일
    09.11.06 01:18
    No. 6

    현민님 소설이 타메라곤-흑태자-타타 에서 가장 많은 변화가 보이는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0 코끼리손
    작성일
    09.11.07 09:26
    No. 7

    끝까지 읽지 않고 4권에서 빡쳐서 접었는 데요.
    평가할 자격이 되진 않는다고 보지만
    그 위대한 결론을 내기 위한 과정자체에 납득할
    독자들이 얼마나 있을지 많이 의문스럽습니다.
    동화면 동화답게 갈 것이지 이도 저도 아니었으니까요.
    현민님 글을 과거부터 지나치게 심각하고 무거운 주제를
    상정하고 그에 휘둘려가는 면이 짙습니다.
    이 글도 거기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드네요.
    아마 감상글 보시고 혹해서 접하시는 분들은 실망하실 거라
    생각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1 에때
    작성일
    09.11.07 10:15
    No. 8

    가벼우면 가볍다 머라하고 무거우면 무겁다머라하고...작가님들 고생하시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5 바꿔볼까
    작성일
    09.11.07 15:51
    No. 9

    뒤로갈수록 기대를 하며봤지만..
    제가 현민님 소설보면서 저에겐 가장 실망스러운 작품으로 남을거같더군요.. 한권한권 넘어갈수록 흥미를 끌기보다 지친다는 표현이 맞더군요
    감상평쓰신분처럼 보신분도 많지만 저같은 생각을 가지고 본분도 많을거같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1 Asaris
    작성일
    09.11.10 13:02
    No. 10

    감상이 많아서 읽어 봤는데 저랑은 않맞는듯 주인공을 죽이고픈 소설중 하나랄까...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1797 무협 절대군림 7권(장영훈이란 작가에 대한 개인... +27 Lv.1 우놔군 09.11.07 6,299 2
21796 판타지 멘탈리스트... 소재는 좋지만 내용이 문제이다 +3 Lv.1 載學재학 09.11.07 2,321 0
21795 판타지 아주 오래전에 읽었던 책인데. +8 Lv.3 하봉(夏鳳) 09.11.06 3,200 1
21794 판타지 도망 못 쳐 +19 Lv.1 첫날밤침대 09.11.06 3,101 1
21793 판타지 월광의 알바트로스 7권 진짜 김형준의 판타... +3 Lv.3 백화어충 09.11.06 3,782 2
21792 판타지 영마악-1권(먼가 과하다)(네타) +3 Lv.11 샤브샤브 09.11.06 2,351 2
21791 판타지 강철마법사 3권을 읽고 Lv.4 바람의할배 09.11.06 1,827 1
21790 판타지 레드 데스티니 1-4권을 읽고.. +2 Lv.4 바람의할배 09.11.06 3,266 0
21789 게임 스페셜리스트 +6 Lv.1 야뉴스진 09.11.06 2,443 1
21788 게임 신전을 털어라 +3 Lv.1 야뉴스진 09.11.06 2,279 0
21787 판타지 엘수난기 +2 Lv.1 야뉴스진 09.11.06 2,246 0
21786 판타지 강철의 열제를 읽고 +9 Lv.50 흘러간다 09.11.05 2,327 1
21785 판타지 [브레이브소울]얼마만에 보는 영웅성장물 +2 Lv.1 세글자 09.11.05 3,488 0
21784 기타장르 열왕대전기 추천 +14 Lv.96 나로다케 09.11.05 3,478 3
21783 게임 암흑사제 강추 Lv.96 나로다케 09.11.05 2,209 0
» 판타지 타타스틸링 7권 - 용두사미를 벗어나다. 인... +10 Lv.1 [탈퇴계정] 09.11.05 3,761 3
21781 판타지 타타스틸링7(완) - 영웅적 패러독스 +5 Lv.43 만월(滿月) 09.11.05 2,537 3
21780 판타지 김정률 작가의 작품 5탄 트루베니아연대기 +29 Lv.1 야뉴스진 09.11.05 3,715 0
21779 무협 김정률 작가의 작품 4탄 데이몬 +7 Lv.1 야뉴스진 09.11.05 1,964 0
21778 판타지 김정률 작가의 작품 3탄 하프블러드 +2 Lv.1 야뉴스진 09.11.05 1,556 0
21777 무협 요마전기(강추) +2 Lv.65 우사(愚士) 09.11.05 2,013 0
21776 판타지 김정률 작가의 작품 2탄 다크메이지 +1 Lv.1 야뉴스진 09.11.05 1,685 0
21775 기타장르 김정률 작가의 작품 1탄 소드엠페러 +5 Lv.1 야뉴스진 09.11.05 2,347 0
21774 무협 지옥마인- +3 Lv.1 야뉴스진 09.11.05 2,633 0
21773 무협 낙향무사 +3 Lv.1 야뉴스진 09.11.05 2,084 0
21772 게임 아처 +6 Lv.1 야뉴스진 09.11.05 2,075 0
21771 판타지 남작 군터 +5 Lv.1 야뉴스진 09.11.05 2,350 0
21770 판타지 리라이트 +1 Lv.1 야뉴스진 09.11.05 1,745 0
21769 무협 혼자 보기 아까운 중걸님의 [활선도] +5 Lv.57 엔시쿨 09.11.05 3,373 7
21768 무협 요마전기 1,2권 +6 Lv.39 둔저 09.11.05 2,627 3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