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비평 좋아하세요?

작성자
Lv.43 패스트
작성
15.04.03 10:50
조회
1,424

안녕하세요, 데스레이지 입니다.


저는 작년부터 하고 있긴 합니다만, 최근 연담에서 ‘감상해드릴게요’ 같은 제목으로 비평인지 아니면 정말 감상인지 모를(어쨌든 리뷰)를 해드린다는 게시물이 나오기 시작했어요. 그와 관련해 우려를 표하는 분도 계시긴 하지만, 제 생각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봅니다.


우선 제가 비평을 시작한 것은 아마 03년 쯤부터 였을 거에요. 당시 판타지 시장에 붐이 일면서 책방(대여점)이 여기저기 생겨나던 시절이었죠. 그때는 카페나 이런 대형 사이트보다 개인이 만든 카페 같은 수준의 여러 창작 사이트들이 있었어요. 대형 사이트에 있던 사람들이 모여서 만든 작은 사이트였는데 그쪽 주인장과 친해지다보니 개인연재란 심사(말이 좋아서 심사지...) 같은 걸 맡게 됐죠.


이후로 대학에서도 꽤 비평에 열을 올렸었고, 08년 쯤은 또 다른 사이트에서 어줍잖게 비평하면서 놀았습니다. 그러면서 개인 창작 사이트 같은 소규모 커뮤니티는 카페로 이동하거나, 없어지기 시작했죠. 그런데 재밌는 건, 그 시절에도 누가 비평을 해주겠다 얘기했고, 사람들은 신청했어요. 어디나 그렇겠지만 비슷한 일들은 꽤 있죠.


비평에 납득하지 못하고 비평해준 사람을 물어뜯거나, 글을 접거나 하는 일들은 언제 어디서든 비일비재 해요. 그런데 재밌는 것은, 요상하게도 어떤 한 사람에게만 일어나는 일이라는 겁니다. 사실 왜 그런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어떤 사이트에 몇 명이 비평을 하더라도 유독 한 사람만 그런 일을 겪습니다. 물론 비평한 작품이 연중하거나 글을 내리는 경우는 누구에게나 일어나요. 저도 처음에는 그게 신경 쓰이곤 했습니만, 지금은 그냥 그러려니 하고 있죠.


13년 초에는 네이버 웹소설 공모전이 있었죠. 블로그 파고 정식으로 리뷰 타이틀 달아가며 감상평 늘어놓는 것은 그 때 처음 시작했습니다. 제 리뷰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좀 독하게 했어요. 무반응은 있었어도, 되려 물어뜯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 때 리뷰 운동(?)이 한창 일어났어요. 너도 나도 비평해주겠다 이야기 하기 시작했죠. 저도 동참한 케이스이고요.


그런데 위에서 말씀 드렸지만, 유독 한 사람이 욕을 먹더라고요. 제가 볼 때는 크게 문제 없는 비평들이었는데, 누군가가 그 사람을 욕하기 시작하니 주변에서 덩달아 같이 물어뜯더군요. 지금 그분 비평글은 어디 갔는지 찾을 수도 없어요.


말이 길어졌지만, 밑에 우려를 표하는 분은 아마도 그런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시 하고 싶지 않고, 누군가 자기와 비슷한 경험을 하는 것이 우려되는 것일 수도 있어요. 그런데 저는 좋은 움직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비평 혹은 감상으로 인해 유입되는 독자층도 있습니다. 홍보가 100% 아니라고는 말 못해요. 작가 본인은 정말로 홍보가 목적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런데 노출이 되는 순간 홍보가 안 될 수 없어요. 결국 어떻게 되든 홍보 효과는 나오게 됩니다. 그걸 너무 아니꼽게 보는 시선이 있긴 합니다만, 그건 정말 어쩔 수 없어요.


작가 본인의 발전을 위해 다른 사람의 평을 읽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혹은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걸 얼마나 골라내서 받아들일 수 있는가가 중요한 거죠. 전혀 도움이 안 된다 싶으면 무시하면 됩니다. 도움이 될 것 같으면 받아들이고 고치면 되죠. 그걸 본인이 판단하기 어려우니 비평이나 감상을 통해 요청하는 것이고요.


다만 커뮤니티에 분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일 수 밖에 없지만, 적어도 제 입장에서는 그정도 분란쯤 감수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비평 하나로 작가가, 혹은 작품이 발전하지는 않아요. 그렇지만 생각할 여지는 남겨줍니다. 전 그게 순기능이라고 생각해요. 굳이 막을 필요는 없지만, 부추길 필요도 없지 않을까요?


글이 길어지면서 두서없이 말만 많이 한 것 같습니다만, 어쨌든... 제가 하고 싶은 말은...


“비평을 너무 대단한 것 처럼 생각하지 말자”


라는 겁니다. 비평에는 권위가 있을 수 없어요. 여기서 권위있는 비평가가 있나요? 비평을 하는 사람도 자신을 돌아봐야 하는 법입니다. 남의 글을 까내리거나 혹은 칭찬하면서 자신을 돌아보지 않는다는 것 역시 말이 안 되는 겁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 ' 9

  • 작성자
    Lv.55 짱구반바지
    작성일
    15.04.03 10:53
    No. 1

    서효원 선수가 기억나요. 저는 솔직히 그 사람이 대단한 파이터라는 생각을 한번도 한적이 없는데 어느날 갑자기 감독? 심사관? 이런걸로 나오더군요.

    제가 만약 비평을 한다면 제가 싫어하는 그런 선수처럼 될 것 같아서 엄두도 못내고 있지만...언젠가 한번은 도전해보고 싶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3 패스트
    작성일
    15.04.03 10:57
    No. 2

    비평은 심사 혹은 감독과도 거리가 좀 멀어요. 왜냐하면 객관성을 무기로 주관적인 의견을 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권위가 없는 거고요. 이 작품을 읽는데 시간을 투자할 수 있느냐를 논하는 것에서 비평이 시작되는 겁니다. 간단해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55 짱구반바지
    작성일
    15.04.03 11:13
    No. 3

    정말 간단하긴 한데... ㅋㅋ 떨립니다. 그리고 읽다보면 재밌잖아요. 그럼 두려워져요. 이정도 글을 쓰시는 분에게 잘 비평해드려야 하는데...하고..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5.04.03 10:55
    No. 4

    신청받은 작품들을 읽는 중인데,
    정말로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첫 비평에 과할 정도로 괜찮은 작품들을 신청해주셨네요.

    오히려 '이건 읽을만한 소설 추천해주세요. 라고 제목이 읽혔나.'로 생각될 정도에요 `-`
    그만큼 부담감은 늘었구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3 패스트
    작성일
    15.04.03 10:58
    No. 5

    제가 이곳에서 처음 리뷰 하며 느낀 감정이 바로 이런 감정이었어요. 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5 매일글쓰기
    작성일
    15.04.03 10:56
    No. 6

    아 그런데 요새는 편당 7000~8000자가 기본인건가요;
    편당 글자수가 너무 많으니 읽기가 불편;;;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3 패스트
    작성일
    15.04.03 11:01
    No. 7

    편당 글자수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데, 총 글자수가 100만자 넘어가면 너무 힘들더라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9 수수림
    작성일
    15.04.03 12:10
    No. 8

    무반응...
    이거 참 여러모로 무서운 말입니다.
    비평을 한 번도 받아보지 못한 저로서는 무반응이란 말이 두려울 정도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43 패스트
    작성일
    15.04.03 13:04
    No. 9

    비평글에 무반응은 뭐랄까... 좀 그래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1011 아이핀 앱 탈퇴 방법 아시나요? T_T +1 Personacon 유은선 15.04.04 1,452
221010 4-5월에 반드시 먹어야 하는 음식. +7 Lv.45 매일글쓰기 15.04.04 1,435
221009 진정한 분란을 보여드리겠습니다. +7 Personacon 엔띠 15.04.04 1,746
221008 분쟁 각오하고 올려봅니다. +9 Lv.19 ForDest 15.04.04 2,224
221007 참고 버틴다는게.... +6 Lv.25 시우(始友) 15.04.03 1,267
221006 세상은 좁군요. +1 Personacon 엔띠 15.04.03 1,373
221005 멋지다 mint +3 Lv.72 雲漢 15.04.03 1,463
221004 인터넷이 잘 안되네요. +3 Personacon 적안왕 15.04.03 1,358
221003 진짜 강추하시는 작품 없나요! +12 Lv.71 보뇨보노 15.04.03 1,825
221002 흐음 다시 감상,비평의 시기가 왔나보네요 +3 Personacon J군 15.04.03 1,541
221001 공지가 올라올지 모르겠네요. +11 Personacon 적안왕 15.04.03 1,614
221000 스피치 데이터 모집 프로젝트라는데... +5 Lv.92 지나가는2 15.04.03 1,485
220999 와. 2006년의 강호정담을 봤어요 +6 Lv.78 대추토마토 15.04.03 1,544
220998 문득 든 생각. 그리고 반성 +4 Lv.78 대추토마토 15.04.03 1,421
220997 MBC는 무한도전 보는 채널 아닌가요? +10 Lv.24 약관준수 15.04.03 1,792
220996 눈도 나쁘면 돈드는 세상! 분노조절장애가 절반이라던데 +4 Lv.55 짱구반바지 15.04.03 1,545
220995 연참이 필요한 부분 +11 Lv.87 먹는물 15.04.03 1,357
» 비평 좋아하세요? +9 Lv.43 패스트 15.04.03 1,425
220993 아래 검고양이님과 귀여운흑표님 동일인물로 의심되는데요. +9 Lv.45 매일글쓰기 15.04.03 1,936
220992 훈훈한 소설을 읽고있습니다. +2 Lv.67 bujoker 15.04.03 1,583
220991 사랑하옵니다*^^* +3 Lv.28 검고양이 15.04.03 1,558
220990 게시물 관련 하여 일부 분들께는 사과드립니다. Lv.59 미르한 15.04.03 1,443
220989 우승 못한 '사이보그'... 남자들의 로망이었던 남자 +11 Personacon 윈드윙 15.04.03 1,339
220988 키우던 앵무새가 죽었습니다. +5 Lv.28 호뿌2호 15.04.03 1,397
220987 결국 직장을 관뒀습니다 ㅋ +18 Lv.53 나범 15.04.03 1,839
220986 정담에서 배설하고 댓글 막아버리는 행동에 대해. +9 Lv.14 바스레이 15.04.03 1,703
220985 일방적인 배설에 관해서. +9 Lv.68 인생사랑4 15.04.03 1,342
220984 소설책 보고 싶다. 아 그냥 사버릴까. +5 Lv.33 junara 15.04.03 1,477
220983 이제는 말려야 할 이유도 찾지 못하고 +15 Personacon 엔띠 15.04.03 1,398
220982 드디어 연중에 대한 문피아의 방침이 발표되었네요^^ +18 Lv.82 필로스 15.04.02 1,764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