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필력의 한계.....?

작성자
Lv.9 12월32일
작성
11.02.17 01:07
조회
822

처음 글을 쓰기 시작한 건 중학교 1학년때인가...

모 게임의 커뮤니티 게시판이었습니다.

가끔 추억에 잠기고 싶을 때면 찾아가 제 닉네임을 찾아 검색해보고...

그 손발이 오그라드는 글들을 보며, 가끔 아쉬움을 느낍니다.

왜 지금은 그때만큼 풍부한 감수성이 느껴지지 않는 걸까.

문장은 엉망이지만... 오타도 썩어 넘치지만... 적어도 열정이라는 게 묻어 있는 글.

그렇다고 지금 쓰고 있는 글이 열정이 없는, 기계적으로 쓰고 있는 글은 아닙니다.

문피아에서 활동을 시작한 건 아직 일주일도 안 됐지만... 초심으로 돌아가 한 분 한 분 제 글을 읽어주는 것에 만족감을 느끼며... 그래도 꾸준히 댓글을 달아주시는 분들과... 추천을 눌러주시는 분들... 그리고 조금씩 늘어나는 선작수를 보며 나름 즐겁게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예전의 창의적인 사고들은 어디로 가고... 양판이라고 무시하고 있는 글을 닮아가고 있는 게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이번에 skt2 나온 걸 주문한걸 오늘 받아서 봤습니다. 라이트노벨로 나온 거더군요. 어째서 아이히만 대공이 살아있는데 시작한 걸까는 둘째치고.. 끝까지 읽고 아.. 이건가.. 그리고 두번째 권이 오늘 나와(어제군요) 지르러 컴퓨터를 다시 키고...

그 짧은 부팅 시간 동안 담배를 피러 나가 많은 생각에 잠겨봤습니다.

3분도 채 안 되는 시간 동안...

"내 필력은 어디까지? 여기가 한계?"

마음속 깊은 곳에 아직도 남아 있는 작품들.. 카르세아린, 더로그, 데로드앤데블랑, 하얀늑대들, skt.

당장 생각나는대로 적으라면 저것들입니다.

카르세아린은 국내 판타지의 시작이라고 해도 좋을 드래곤라자에서 다뤄졌던 드래곤을 아주 시시껄렁한 잡배(...!!)로 만들며 한 획을 그었다고 생각 되고, 더 로그는 개인적으로 판타지라면 이정도 구성은 되지 않아야겠느냐고 제 주관적인 평가로 최고라고 봅니다.

데로드앤데블랑은 라디오 방송으로도 나왔었죠. 가끔 라디오를 청취하던 제게 라디오에서 (아쉽게도 허접하게 느껴졌지만) 성우분들이 라디오만이라지만 연기를 하고 있던 건 제게 신선한 충격이었는데...

솔직히 주인공의 마지막 모습에서는... 뭐랄까요... 경건함? 을 느끼게 된 유일한 소설이었습니다. 가끔 아마추어 작품에서 주인공이 죽는 경우 많이 봤습니다. 출간작에서도 기억에 있는듯 없는듯하지만 죽은 경우가 있는 것도 본듯하구요. 그것을 떠나, D&D는 문체를 본다면 훌륭한 작품은 아니었지만 정말 무언가 가슴 깊이 떨림이 느껴지는 그런 작품이었습니다. (그만큼 D&D는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린 작품이기도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더로그 보기 전에 본 작품입니다.)

하얀늑대들을 접한 건 이고깽이라고 하는 퓨전이 한창 극을 치고 있을 때 우연히 표지가, 제목이 맘에 들어 보게 된 작품이었습니다. 주인공이 한없이 무기력하기만 하죠. 뭐랄까요. 첫경험인가요. 그만큼 충격이었습니다. 쥐뿔도 없는 주인공으로 이렇게 매력적인 이야기를 풀어쓸 수 있단 말인가?!

그리고 SKT 는 따지고보면 드래곤 레이디라는 1권의 극악 재미도 없고, 이해도 안 가는 험난한 재앙을 물리치고 완독한 후, 그 작가님만의 매력에 끌려 보게 된 작품이었지만... 너무나도 다른 모습에 홀린듯이 보게 됐죠. 기사라는 게 많이 풍자화 되고는 있었지만 무려 '제비족'으로 묘사되는 충격 역시... 적지 않았습니다. 아직도 수많은 판타지에서 기사란 오리지널 OR 풍자의 대상이라는 것을 볼때... 어떻게보면 단순히 풍자의 한 모습일뿐이지만... 그렇게 하기엔 너무나도 신선했습니다.

SKT 를 읽고 전 군대를 갔고... 당연한거겠지만 그동안 판타지고 뭐고 읽을 시간이 없었습니다. 군부대 있던, 제 성엔 안 차는 작들만 읽었을 뿐이죠(....)

그리고 시간이 더 지나 다시 글을 써볼까 했을때...

저 작품들이 다시 떠오르네요.

제 글을 돌아보게 만드네요.

당장이라도 손발이 오그라들어 삭제해버리고 싶습니다.

전 결국 어디서 본듯한 플롯과 어디서 본듯한 연출을 이용한 무난한 글을 쓰고 있는 것뿐인거 같아요.

나름대로 세계관도 짜고... 나름대로의 철학도 넣어볼까 하고 있고... 나름대로 캐릭터들도 개성있게 잡았지만... 제 스스로의 판단에 의하면 어디서 본듯한, 어디서 나온듯한 이야기들일 뿐인 거 같습니다.

쓰다보면 좋은 글이 나온다.

맞는 말이죠. 적어도 전 제 스스로 나아지고 있다고 장담하고 있었습니다. 오늘까진.

하지만 쓰다보면, 읽다보면, 좋은 글이 나온다고 해서 그게 어떤 한 획을 그을 수 있을만한 글이 되는 건 아니겠죠.

그건 재능일까요......?

저 위에 작가분들이, 제가 생각할 때는 다 한가지씩 획을 그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작품들을 더 찾아보면 저것 외에도 적지 않은 획들을 그었죠.

출판이니 뭐니 그딴 건 아무래도 좋습니다. 단순히 내가 즐겁자고 쓰는 글이라도 좋고, 중2병 환자마냥 관심이 필요한 거라도 좋겠죠.

다만 아쉽네요.

내가 즐거워도, 중2병 환자처럼 관심이 필요한거더라도.. 그리고 출판을 한다고 하더라도...

온전히 나만이 만든, 나만의 세상.

이건 내가 원조다. 이렇게 할 수 있는 글을 쓰고 싶습니다.

그리고 제가 지금 선택할 수 있는 건 하나밖에 없는 거겠죠.

미야모토 무사시, 단련.

천일동안의 연습을 단鍛이라고 하고,

만일동안의 연습을 련鍊이라고 한다.

천일동안 글을 쓰고..

다시 만일동안 글을 써봐야겠죠.

현실이 가로막지 않는다면.


Comment ' 5

  • 작성자
    Lv.1 갑각나비
    작성일
    11.02.17 01:30
    No. 1

    힘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skt2는 라노벨이 아닙니다 삽화가들어있다고 라노벨이 아니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12월32일
    작성일
    11.02.17 01:43
    No. 2

    삽화가 들어갔기 때문에 그렇게 판단한건 아닙니다만...
    뭐, 굳이 신경 쓸 필요는 없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8 거거익선
    작성일
    11.02.17 01:49
    No. 3

    저는 필력에는 한계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이 특정한 것을 잘 하는 것처럼 자신의 필체는 특정한 상황을 극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그것을 찾지 못했을 뿐이지요.

    물론 쓰다 보면은 필력이 늘어나는 것을 느끼 실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것은 보다 더욱 끌어내기 위한 것과 비슷한 장르를 끌어당기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자면 그림그리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그림을 더욱 잘그리거나, 만화도 잘 그릴 수 있다는 것이랄까요?
    정확히 뭐라고 설명드리긴 뭐하지만... 십인십색 이라는 말이 있듯이 필체에도 그에 맞는 상황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필력과는 별게의 문제입니다.

    필력은 독자를 얼마나 끌어당길 수 있냐는 것이고, 그 끌어당길 수 있는 능력은 작품(소설)속에 자신의 생각을 얼마나 담아 낼 수 있느냐 하는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니까요. 그리고 어떤날은 글이 잘 써지기도 하고, 어떤날은 글이 안써지기도 합니다. 이것가지고 필력이라 하기에는 약간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억지로 써내려가면 필력이 낫다고 할테고, 잘 써질때만 쓰면 필력이 높게 평가할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잡설이 길었지만! 결론을 말하자면

    한계는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3 산중기인
    작성일
    11.02.17 10:13
    No. 4

    필력의 한계...
    지금 논할 때는 아니라는 생각이듭니다.
    가다보면 언젠가 알 수 있는 날이 오겠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02.17 15:50
    No. 5

    말하자면 눈은 높아 졌는데, 몸 / 머리가 못 따라간다,
    라고 생각되네요.

    ...뭐, 다 그렇죠. 애초에 자신이 원하는 이상과 현재의 자신에
    대한 괴리는 모두 있습니다.

    그것을 어떻게 극복해 어떻게 헤쳐 나가느냐,
    그게 관건이 아닐까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0864 한담 주인공이 바보같은 행동을 하면? +38 大宗師 11.02.21 2,075 0
70863 한담 프롤로그의 비중 +17 Lv.10 수습작 11.02.21 1,720 0
70862 한담 과거 연재한 글을 다시 읽어보니 +5 홍운탁월 11.02.21 541 0
70861 한담 혼잣말, 왜 쓰는거죠? +34 Lv.78 늘보별 11.02.21 2,131 0
70860 한담 저도 초식 외치기에 대해서 조금... +7 Lv.6 異色奇家 11.02.21 1,800 0
70859 한담 판타지 소설에서 마법이름 외치는 것... +21 Lv.7 루드밀라 11.02.20 1,872 0
70858 한담 난 왜이럴까...? +11 Lv.38 거거익선 11.02.20 2,057 0
70857 한담 흐미, 글 쓰는게 무서워요. +14 Lv.21 샆. 11.02.20 959 0
70856 한담 소설속 인터넷 짤방용어들.. +9 Lv.86 작약 11.02.20 1,096 0
70855 한담 창쓰는 주인공 없나요?? +13 Lv.1 두억시니 11.02.20 1,167 0
70854 한담 현대물에서의 고교생 +10 Lv.1 갑각나비 11.02.20 2,163 0
70853 한담 어제 히에룬님에 이어서 무협 초식 외치기 +11 Lv.88 유천형 11.02.20 787 0
70852 한담 요즘 게임판타지..... +30 Lv.6 로디안 11.02.20 1,116 0
70851 한담 스토리 탄탄한 방대한 무협 소설 어디 없을까요? +10 검은수첩 11.02.20 1,203 0
70850 한담 요즘 기신님이 안보시네요. +5 Lv.64 Greed한 11.02.20 1,177 0
70849 한담 ...연참이라는 거, 쉽지 않네요. +9 Lv.21 샆. 11.02.20 610 0
70848 한담 무협 전투 장면중 초식외치기. +28 히에룬 11.02.19 1,191 0
70847 한담 리메이크가 끝났습니다! 부악! 부악을 울려라! +13 Lv.10 동넷사람 11.02.19 1,906 0
70846 한담 마음이 약해서 악역을 악엽답게 못하겠어요.흑. +14 Lv.36 한결(瀚結) 11.02.18 1,111 0
70845 한담 신경 안 쓰일 줄 알았어요. +21 Lv.9 12월32일 11.02.18 3,829 0
70844 한담 드디어 선작을 받았습니다! +20 Lv.7 비밀소녀 11.02.18 1,349 0
70843 한담 악당이라는 거 말입니다. +49 Lv.1 [탈퇴계정] 11.02.18 1,597 0
70842 한담 Spectator가 골베에서 내려갔네요.. 이유가 뭐죠?.. +13 Lv.40 별빛세공사 11.02.18 1,537 0
70841 한담 축구소설을 쓸려고 한다면 +11 Lv.5 으헛헛 11.02.17 906 0
70840 한담 문득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9 Lv.9 12월32일 11.02.17 2,851 0
70839 한담 참 이상한 슬럼프란 말이죠. +22 Lv.38 거거익선 11.02.17 593 0
70838 한담 리메이크는 참 무서운 놈인 듯 싶습니다. +19 Lv.21 샆. 11.02.17 3,293 0
70837 한담 글의 디테일과 생략. +3 Lv.99 천백랑 11.02.17 557 0
70836 한담 개연성 지적할때 가질 네가지 태도. +11 Personacon 헤로도토스 11.02.17 1,035 0
70835 한담 문득 궁금함이 드네요. +9 Lv.69 小山 11.02.17 492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