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비평과 즐기기

작성자
Lv.10 CatReadi..
작성
11.10.28 21:25
조회
671

소설 같은 문학은 물론이고, 영화나 드라마에도 비평가는 있습니다. 곧, 비난과는 달리 적합한 논리와 합리성에 의거하여 작품을 평가하는 것이지요.

개인적으로 문학 비평에 대한 글을 조금 쓴적도 있고, 다른 비평가들의 글도 자주 읽는 편입니다. 그러면서 공감도 하고 반대도 하고 토론을 하기도 하지요.

그런데 그러다보면 조금 흥미로운 것이 있습니다. 영화 비평에서 자주 보는 현상인데, 비평가와 관객들의 의견이 전혀 다른 경우입니다.

예를들어 어느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는, 비평가들에게선 점수가 한없이 낮았습니다. 그리고 비평가들의 의견은 타당했습니다. 스토리는 우연적인 전개가 너무 많고, 어디서 본듯한 내용에, 그저 CG에만 돈을 쏟았을 뿐 내용은 형편없다는 의견이었죠. 개인적으로 다 맞는 말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어느 비평가가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비록 이 영화는 비평하기에는 형편없지만, 머리를 비우고 그냥 아무 생각없이 즐기기에는 좋은 영화다, 라고.

그래서 그런지 어쩐지 영화 자체는 꽤나 흥행을 했습니다. 그리고 저도 그 영화를 몇번이나 보면서 위 말에 공감할 수 밖에 없었죠.

즉, 처음부터 비평할 목적으로 작품을 접하면 아무래도 단점이 눈에 띌 수 밖에 없습니다. 심지어 셰익스피어의 작품이라 할지라도 오류는 있기 마련이고, 이런 점을 예로 들어 비평하자면 꽤나 엄격한 평가를 내릴 수 있죠.

좋은 예로 만화 '드래곤볼'이 있습니다. 드래곤볼의 스토리는 사실 앞뒤가 잘 안맞거나 혹은 중간에 설정이 마음대로 바뀌기로 유명하지요. 심지어 작가 토리야마 아키라가 스스로 인정한 오류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드래곤볼은 재밌죠.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팔린 만화책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즉, 드래곤볼을 비평하고자 스토리의 헛점을 찌른다면 상당히 많이 집어낼 수 있지만, 그것은 드래곤볼을 즐길때와는 조금 다른 시야가 됩니다.

위에서 예로든 헐리우드 영화도, 역시 비평할 목적이 아니라 그냥 때리고 부수는 장면을 즐기며, 그냥 어이없는 장면에 웃으며 보면 그럭저럭 볼만합니다. 그렇기에 흥행에 성공했을거라 생각합니다.

결국 이러한 점에서, 비평하는 자세와 즐기는 자세는 조금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비평가와 일반 관객의 반응이 다른 경우가 많다는 게 그 반증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두 자세를 적당히 섞거나 혹은 작품을 여러번 고찰하면서 각기 시선을 달리하여 작품을 평가하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바쁜 현대에서 이러기도 사실 쉽지 않지요.

그렇지만, 세상만사가 언제나 그렇듯 어느 한쪽에 너무 치우치는 것은 확실히 작품 평가에 있어서 편협한 결과를 낳는 경우가 많아 지양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러고보니 최근에는 영화를 별로 못봤군요. 시간 날때 한번 극장에라도 가봐야겠습니다.


Comment ' 6

  • 작성자
    Lv.21 견마지로
    작성일
    11.10.28 21:53
    No. 1

    비평가는 차갑게 식은 고깃국의 맛을 감별할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글의 비평은 물론이고, 나쁜 글에서도 건더기의 맛을 볼 수 있어야 하는 게 진짜 비평가 아닐까 생각하곤 합니다.

    제가 받아본 비평중 최고(?)는
    "이런 글은 인터넷 가면 숱합니다"라는 말 한마디로 끝냈던 경우입니다. 아마 당시 비평가가 집에 사단이 났거나 애인하고 싸웠거나 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나름대로 객관적이고 격떨어지는 작품에도 성의껏 평을 해 주는 사이트였는데 거기서 이런 비평 한번 당하니까 그냥 입맛이 싹 가셔버리더군요. 그래서 그 사이트에 썼던 글을 싸그리 지워버렸던 기억도 있고요.

    쓴 말을 약같이 받아들일 수 있게 쓰는 것도 비평가의 소양이라고 생각이 들곤 합니다. 그래서 제가 다른 작품에 비평을 못하는 것이기도 합니다만.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CatReadi..
    작성일
    11.10.28 22:17
    No. 2

    그것이 설령 사람들의 공감을 많이 얻는다 하더라도, 단지 "이런 글은 인터넷 가면 숱합니다."라고 끝낸다면 그것은 비평이라고 보기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본문 서두에서 밝혔듯, 비평은 비난과는 달리 적합한 논리와 합리성에 기반해야합니다. 단순히 "이건 이렇다."라고 끝난다면, 그건 자기 주장은 될 수 있어도 근거나 이유를 제대로 설명치 못한 것이 되겠지요.

    고로, 견마지로님이 기분 나빠하셨던 그 반응은 비평이라고 생각하지 않으심이 좋을듯합니다. 그저 자기 주장일 뿐이지요. 자기 주장은 얼마든지 자유로울 수 있지만, 그것이 합리적이냐, 혹은 공감을 얻는냐, 혹은 적합한 것이냐...하는 것과는 각각 다르지 않을까 합니다.

    그런 생각에 저는 개인적으로, 적어도 비평을 할때는 구체적인 장면이나 타작품을 예시로 들어가며, 이유나 근거를 확실히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못하면 설득력의 문제가 아니라 기본적인 자기 주장에 지나지 않느냐 아니냐의 문제가 되니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CatReadi..
    작성일
    11.10.28 22:19
    No. 3

    간단히 말해, "이런 글은 인터넷 가면 숱합니다."라고 끝낸 비평가가 누군지는 몰라도, 제 생각에는 기본조차 되지 않은 비평가라 생각합니다.

    혹평을 내릴때 내리더라도, 적합한 근거나 이유를 들어가며 혹평을 내려야 타당하지요. 아마추어든 프로든 적어도 비평가라고 자처할 정도면 그정도 성의는 보여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1.10.29 02:11
    No. 4

    곁가지지만 개인적으로 드래곤볼 정말 재미없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작은네모
    작성일
    11.10.29 02:41
    No. 5

    어렸을때는 정말 재밌게 봤는데 지금 보니까 영 별로더군요 드래곤볼 ㅋ 그래도 전투력이라는 개념이나 초사이어인~ 등등의 각성? 변신? 등의 흥미로운, 그리고 당시에는 참신했던 소재들이 나왔던 작품이란 점에서 +점수를 줄 수 있죠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작은네모
    작성일
    11.10.29 02:46
    No. 6

    근데 드래곤볼 얘기에 정신이 팔려서 본문이랑 내용이 산으로 갔네 ㅠㅠ..

    저도 비평과 비난은 구분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문피아 비평란 제도에는 불만이 상당히 많은편.. 부정적 감상이 비평은 아니잖아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1999 한담 저의 선호작품 1위가...이럴수가... +18 Lv.66 쿠쿠링 11.11.02 2,514 0
71998 한담 작연연재란은 엄청 빨리 생성 되네요? +12 창조적변화 11.11.02 811 0
71997 한담 고소관련 글을 읽다보니 어이가 없는댓글들도 있네요. +15 Lv.40 프다 11.11.02 2,402 0
71996 한담 축하해주세요^^ +13 Lv.1 [탈퇴계정] 11.11.02 1,689 0
71995 한담 이걸 건의에 적어야 하나 모르겠는데, 글 추천에 ... +11 Lv.16 [탈퇴계정] 11.11.01 725 0
71994 한담 현대 판타지 추천받습니다. +10 Lv.1 [탈퇴계정] 11.11.01 1,805 0
71993 한담 필명 약간 변경합니다. +2 Lv.5 허무s 11.11.01 978 0
71992 한담 선호작 목록에 줄그어질때의 느낌? +2 Lv.77 우울한날 11.11.01 2,272 0
71991 한담 글을 쓰면서 생기는 심마, 심마의 극복 +6 Personacon 약선(若善) 11.11.01 508 0
71990 한담 주사위... 자알 되고 계신가요? +45 Personacon 금강 11.11.01 1,770 0
71989 한담 오랜만(?)에 권왕전생을 재탕하다보니 문득 이런 ... +6 Lv.50 묵현사 11.11.01 1,405 0
71988 한담 홍보글을 쓰고 싶은데........ +2 Lv.1 [탈퇴계정] 11.11.01 1,273 0
71987 한담 작신 잡혔나요? 작신들 아닌가요? +13 Lv.66 고뇌의별 11.11.01 4,745 0
71986 한담 몇 년 전에 연재하던 바바리안 이라는 글을 기억하... +5 Lv.19 카레왕 11.11.01 2,115 0
71985 한담 문피아 선호작 공개.... Lv.65 lu***** 11.10.31 2,483 0
71984 한담 백도 게시판이 사라졌네요.. +8 Lv.25 [도비] 11.10.31 1,220 0
71983 한담 열심히 쓰면 작가가 되나요? +10 Lv.6 운상일학 11.10.30 1,981 0
71982 한담 복합 서술 시점에 대해서 +17 Lv.7 에니시엔 11.10.29 916 0
71981 한담 왜 현대물에서 주인공이 재력등 힘을 얻으면 +32 Lv.93 무득 11.10.29 2,487 0
71980 한담 문피아 생활5년만에 제게도 이런 행운이.. +2 Lv.54 양신 11.10.29 1,994 0
71979 한담 직장인들 또는 사회생활에 많이 아시는분 답변부탁... +21 Lv.64 견글 11.10.28 1,235 0
71978 한담 주저리 주저리 고민저리... +6 Lv.1 [탈퇴계정] 11.10.28 895 0
» 한담 비평과 즐기기 +6 Lv.10 CatReadi.. 11.10.28 672 0
71976 한담 마이너 글쟁이는 외롭습니다. +12 Lv.11 니고데모 11.10.28 1,616 0
71975 한담 이야 컨택 왔다 캬캬캬!! 그러나....! +13 Personacon 구라백작 11.10.28 2,552 0
71974 한담 문피아 연재에서 잔인한 표현의 한계가 어느정도인... +16 Lv.9 수달맨 11.10.28 1,023 0
71973 한담 저와 같은 분들이 계실지... +12 Lv.18 형관애비 11.10.28 1,021 0
71972 한담 비축분이 있으니까 더 게을러지는 것 같네요. +2 Lv.1 방수 11.10.28 677 0
71971 한담 좋은 글이란 어떤글일까요? +23 Lv.46 ruerepme.. 11.10.27 1,166 0
71970 한담 문득, 간만에 연재 하던 글 보면서 느끼는 겁니다만. +1 Lv.1 [탈퇴계정] 11.10.27 1,277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