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대왕 인종을 읽고서

작성자
Lv.4 바람의할배
작성
10.11.22 17:34
조회
3,428

작가명 : 최성일

작품명 : 대왕인종

출판사 : 뿔미디어

솔직히 최근 나오는 대체역사물을 여럿 봤지만, 다 거기서 거기인 내용인지라 대왕인종을 볼 때도 상당한 용기를 내야했습니다. 그러나 지인의 추천으로 결국 봤는데, 솔직히 기존의 대체역사물(조선의 여러 왕이나 과거로의 회귀물)과 크게 다르지 않는 내용이었습니다.

정치를 개혁하고, 경제를 부흥시키고, 무기 개발하고, 외국으로 원정 다니고...

하지만 대왕인종에는 특이한 요소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국정보고대회라고 하는 양반 대회합입니다. 일종의 전당대회와 비슷한 건데, 기존의 대체역사소설에서 볼 수 없었던 것입니다.

대부분은 정치 개혁은 피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기성세력인 외척이나 구 대신들을 반란이나 혁명의 방법으로 처형하죠. 그리고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조선의 상업을 부흥하는 자금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대왕인종은 그런 요소는 거의 없고, 조선의 양반들을 말 그대로 설득합니다. 그 당시의 정치적 요소가 조선 후기와 많이 달라 그럴 수 있을 거라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해외 진출도 전쟁을 통한 진출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습니다. 대부분 교역이나 평화적 목적의 진출을 하더군요. 주인공인 인종이나 대신들의 생각도 정복이나 제국주의 식의 진출은 기피하더군요.

그것이 상당히 마음에 들었습니다.


Comment ' 18

  • 작성자
    Lv.1 고추장국
    작성일
    10.11.22 18:09
    No. 1

    문제는 그것을 뒷받침하는 왕의 경제력인데 말만하면, 드워프 강철봉 뽑아내듯 물건을 만들어 버리니 조선시대 장영실의 후예들을 너무 후하게 생각하는듯... 저도 다른분과 같이 자전거 만드는 대목 나온 순간 손에서 자연스럽게 책이 떨어져 나가더군요.
    그리고 이건 다른 환생물이나 이계진입물과 같이 생각해 봐야 하는건데, 저승이나 귀신을 등장 시키면 다른 다른나라 캐릭도 나와야 정상 아닌가요. 왜 우리의 주인공만 하늘님 땅님 귀신님 염라대왕님이 보호 하시는지.. 떼놈이나 왜나라도 억울하게 뒈진 놈들 무척 많을텐데...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가막비
    작성일
    10.11.22 18:21
    No. 2

    공돌이를 갈면 다 된다는 사상이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에도...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76 헐헐헐헐
    작성일
    10.11.22 18:31
    No. 3

    갈구면 된다 ㅋㅋㅋㅋ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2 포필
    작성일
    10.11.22 18:41
    No. 4

    디씨에서 저 xx인증함.. 것처럼..




    대왕 인증... ㅈㅅ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희겸
    작성일
    10.11.22 19:45
    No. 5

    그 구절을 봤을 때 자전거는 구조적으로는 간단하지만 기계적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닌데, 라는 생각을 떠올렸습니다.
    크랭크의 마모며, 바퀴의 내구 문제는 어쩔 건가, 거기다 수작업으로 도대체 몇 대나 생산할 수 있는가와 같은 문제하며...
    솔직히, 조선의 경우 바퀴에 한해서는 그 기술적 수준과 보급 및 정비여건이 취약한 도로교통망과 맞물려 가히 최악을 달린다고 봐도 무리가 없죠. 포가가 아닌 동차 같은 괴악한 물건이 튀어나온 것도 다 이유가 있는걸요.

    그렇지만 스토리는 비교적 좋은 편이었습니다. 일본 전국시대에 대한 이해도 2권까지로 봤을 때는 상당히 충실한 편으로 보이고 특별히 심각하게 무리한 전개는 없더군요. 비록 국정보고대회 같은 명칭의 센스는 최악이었지만 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6 파천
    작성일
    10.11.22 21:21
    No. 6

    솔직히 과거 왕정시대에 회귀물을 쓰시는 분들은 엄청난 필력을 요구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만큼의 좋다고 생각하는 작품도 아주 극소수구요. 과연 대왕인종은 어떨지 더 많은 권수가 나오면 봐야겠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곰곰곰
    작성일
    10.11.22 23:30
    No. 7

    동남아 지역을 미개지역으로 만든거부터가..
    무슨 고대문명시대도 아니고 조선중기에 동남아지역이
    미개척지라는게 말이됩니까

    뭔가 국가성장의 발판은 있어야 해서 원래 그지역에 있던
    엄한나라 없애고 미개지라고 설정잡아넣은거부터가 에럽니다

    완전 빤톼지도 아니고 주인공빼고 배경설정은 고증은 맞아야 하는
    역사대체물인데 자기 스토리진행 하기 편하자고 원래 사람살던지역
    미개척지 만들면 골룸..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9 별작
    작성일
    10.11.22 23:39
    No. 8

    동남아가 미개지역 아니였던거 같은데... 흠, 기억이 잘 안나는군요
    어쨌든 볼만합니다.
    조기종결만 안되길 바랄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희겸
    작성일
    10.11.22 23:39
    No. 9

    곰곰곰님//

    필리핀은 확실하게 부족국가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그래서 손쉽게 에스파냐에 정복당했습니다. 그보다 더 아래의 아체나 말레이 등의 왕국과는 또 다르죠.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7 黑月舞
    작성일
    10.11.23 02:28
    No. 10

    저번에도 자전거 이야기가 나오긴 한 것 같은데 빈폴로고같은 자전거는 동네 대장장이한테 의뢰해도 만들 수 있겠죠. 다만 체인에 기어 등까지 갖춘 자전거라면 좀 힘들겠지만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2 멜피스
    작성일
    10.11.23 02:37
    No. 11

    곰곰곰님 // 동남아 역사에 대해선 잘 모르겠습니다만 곰곰곰님도 그 동네 역사를 따져서 이야기하시는 건 아닌 거같고. 단순히 16~17세기 씩이나 되는데 국가를 건설하지 못했을 리가 없다는 이야기라면 현재도 국가를 못 이루고 부족단위로 생활하는 지역이 있는데요. 영토의 개념으로 본다면 국가가 있지만, 그 부족이 국가에 대한 소속감은 가지고 있진 않은 그런 부족들 다큐멘터리에 종종 나오지 않던가요. 거기까지 갈 필요도 없이 아메리카 원주민들만 봐도 그들이 이루고 있던 부족연맹체가 크다고 해도 그걸 국가라고 보긴 어려울 텐데요.. 개척지냐 미개척지냐도 사실 보는 시각에 따라 달라지는 거구요. 원주민 좀 살고 있다고 조선 정도의 문명국이 개척지로 봐주길 바라는 건 사실상 무리 아닐까요-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2 멜피스
    작성일
    10.11.23 02:41
    No. 12

    그리고 자전거를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수준의 물건을 생각하시는듯 한데. 상식적으로 저 시절 조선에 고무조차 없을텐데 지금 수준의 자전거 일리가 없죠. 전 어린애들이 타는 세발 자전거 같은 구조의 확대형을 상상했는데요. 체인이 언급이 됐던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5 다운타운
    작성일
    10.11.23 04:50
    No. 13

    초창기 자전거가 나왔을 당시 그림을 보면 지금과 아주많이 다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3 반반무마니
    작성일
    10.11.23 05:46
    No. 14

    고추님 말씀이 분명 맞는 말이지만, 사실 그 정도 기적이 없고서는 대체역사라는 장르 자체가 성립이 안될 듯 하네요. 만약이라는 전제를 깔고 들어가는 대체역사물이니 저마다 가진 지식이나 관점에 따라 헛점이라고 지적할 수 있는 부분이 상당 있을 수 밖에 없을 듯 합니다. 전 개인적으로 환생군주 이후로 가장 재미있게 읽은 대체역사물입니다. 일단 스토리 진행이 빨라서 좋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고추장국
    작성일
    10.11.23 10:37
    No. 15

    에헤헤^0^ 저도 어느정도의 오버 테크놀러지는 참고 보는 편 입니다.

    하지만 그게 나오기 위해 중간과정이 생략되는건 못 견디겠더라구요. 왕이 중간중간 대장장이 김씨 불러서
    동그란 톱니를 만드는게 잘되냐? ........잘 됩니다만, 좀더 다듬겠습니다.
    이걸 연쇄(체인) 이라 하자. 그리 하겠습니다만 아직 힘이 모자라서.

    다른 장인 이씨 불러서
    쇠로 쇠를 깎을수 있는지 알아 보거라.. 예, 전하
    깎이더냐?..... 무릇 단단한 쇠가 약한 쇠를 깎을수 있는것은 옛부터 알려져 있습니다 등등..
    말이식 총강을 만드는 것 보다 깎이식 총강을 만들어 보거라.. 예...
    총강안에 홈을 일정하게 팔수 있겠느냐?... 해보겠습니다.

    잠깐만이라도 이런 멘트 중간에 넣어주면 일이 이리이리 진행 되는구나 라고 알수 있을겁니다. 위에서도 언급 했지만 판타지 드워프 물건 만들듯 하는건 독자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그리고 이계진입물이나 환생물에 자꾸 언급 되는 총구안에 강선 새기기 어렵다고 나오는데 옆에 계신분 말씀으로는 의외로 쉽다고 하는군요. 문제는 그걸 맞추기 위해서는 도량형이 우선 해결 되어야 한다는 군요. 이놈 기준, 저놈 기준이 다 다르기 때문에 척도도 모르고 무조건 팔수는 없기 때문이래요. 그 다음에 가장 위대한 인류발명품중의 하나인 나사 만들기... 등등
    조금만 신경 쓰면 독자도 만족할 것 같습니다.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0 잔월루
    작성일
    10.11.23 21:13
    No. 16

    전 3권 보면서 도대체 신료들은 다 어디 간 건가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1.2권에 비해 3권은 조금 실망스러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1 디어
    작성일
    10.11.24 01:00
    No. 17

    전 보면서 무슨 도감이니 제도니 하는 역사에 있던 명칭들이 상당히 거슬리더군요
    국사전공이거나 역사에 큰 관심 있는 분들이 아니면 그런 명칭들을 얼마나 알아볼까요.
    대체역사소설에 가장 큰 단점이 그런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의 반절 가량이 그런부분이니 , 사람과 사람사이에 사건이나 그사건에서 비롯되는 사람의 심리묘사나 상황 같은 사람냄새가 나는 글이 읽고 싶은데 대체 역사소설은 거의 대부분이 무슨 기관의 이름같은걸로 지면의 상당부분을 잡아먹더군요 굳이 그럴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마치 알아듣지도 못하는 영어를 보는 기분이었습니다 ;;;
    그래서 대체역사소설은 잘 안봅니다만 이분 소설도 역시나 더군요
    기본적인 소설전개에 필요한 것만 최소한도로 소개하고 사람에 대해서 써줬으면 책이 잘 읽히겠는데 말이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2 김갑환
    작성일
    10.11.24 22:41
    No. 18

    오늘 2권까지 봤는데 환국드립이 나오던데 그부분은 그냥 살포시 넘기고 봤습니다만..유사역사학이 이 책에 도입된 건가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4586 기타장르 마법무림 1, 2권 (미리니름) +9 Lv.30 설사(雪蛇) 10.11.27 2,680 1
24585 판타지 미리니름 有] 리바이벌 3권을 읽고 +5 Lv.89 사심안 10.11.27 1,730 2
24584 기타장르 탐정 클럽 을 일고 Lv.22 무한오타 10.11.26 670 0
24583 판타지 무한의 강화사 8권을 읽고..(미리니름 약간) +12 천기룡 10.11.26 2,656 2
24582 판타지 혈왕 드라몬 6권을 읽고(미리니름 매우 약... +2 천기룡 10.11.26 1,392 0
24581 무협 신디케이트를 읽고.(미리니름 약간) +3 Lv.30 설사(雪蛇) 10.11.26 1,448 0
24580 무협 백면마인 완결... +25 천기룡 10.11.26 3,624 2
24579 판타지 후아유 +11 Lv.99 금원 10.11.26 3,213 11
24578 판타지 연재물: 8층의 신화 추천!합니다. +7 Lv.46 백수k 10.11.26 2,315 5
24577 무협 로리마교, 솜사탕인줄 알고 물었는데 꽉찬 ... +27 Lv.77 Peuple 10.11.25 5,042 6
24576 무협 파멸왕 9권(미리니름) 임관설 정체 추측! +8 Lv.1 리뷰어블루 10.11.25 4,530 1
24575 무협 황제의검 3부 8권(완결)(미리니름) +7 Lv.20 레이반 10.11.25 3,704 0
24574 판타지 강찬 골드러쉬 1,2권 읽고 +6 Lv.1 낙산 10.11.24 2,231 0
24573 판타지 베스커스의 마법사 4권 +1 일리 10.11.24 1,811 0
24572 무협 천의문 +2 Lv.19 헤비메탈 10.11.24 1,967 0
24571 무협 파멸왕을 8권까지 +9 Lv.99 墨歌 10.11.24 2,401 1
24570 판타지 골드러쉬(강찬작가의 신작) 1,2권 +7 Lv.65 케이크 10.11.24 3,122 4
24569 무협 일보신권 10권 감상 ( 미리니름) +18 Lv.86 글네모 10.11.23 4,651 1
» 기타장르 대왕 인종을 읽고서 +18 Lv.4 바람의할배 10.11.22 3,429 1
24567 무협 야생화님의 살수 5권을 보고.. +3 Lv.15 난너부리 10.11.21 1,987 2
24566 일반 심야식당: 부엌 이야기 를 읽고 +5 Lv.22 무한오타 10.11.21 1,431 0
24565 무협 야생화작가님의 살수 +1 Lv.22 손도사 10.11.21 2,428 2
24564 기타장르 질주하는 열혈 - 덤벼! 시리즈 1~4 +5 Lv.29 스톤부르크 10.11.21 2,484 1
24563 무협 말도많은 전생부 5권까지 읽고...[아주 약... +7 Lv.40 이우지 10.11.20 10,261 0
24562 인문도서 무라카미 하루키 1Q84 어떻게 읽을 것인가 ... Lv.22 무한오타 10.11.20 1,978 1
24561 무협 용문쟁천[龍門爭天]1,2권 감상평 +7 Lv.1 [탈퇴계정] 10.11.20 3,837 4
24560 기타장르 옥스타칼니스의 아이들 +16 Lv.24 별의화신 10.11.20 2,897 3
24559 무협 마도협객전 4권을 읽고 (미리나름) +2 악련 10.11.20 1,833 0
24558 무협 운룡쟁천 5권까지 읽고 +2 Lv.99 단군한배검 10.11.20 3,983 0
24557 판타지 Return(귀환) 이라는 소설 추천하고싶어요... +24 곰탱이퓨 10.11.20 10,166 5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